헬로티 조상록 기자 | 텔콤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전원공급장치, 파워 서플라이, 모터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텔콤이 공급하는 몬선(MORNSUN)의 산업용 전원공급장치는 고품질의 AC/DC 컨버터, DC/DC 컨버터, IGBT 드라이버용 파워, LED 드라이버 등이다. 또한 산요덴키(SANYO DENKI) 제품은 서보시스템, 파워시스템, 쿨링시스템 제품군으로 구성돼 있으며, 고효율·고품질이 특징이다. 특히 쿨링시스템은 일반 AC팬 외에 방수/방진, 원심, 이중반전, 장수명팬 등 다양한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델타(Delta) 파워 서플라이는 딘레일(Din Rail), 패널 마운트(Panel Mount), 오픈 프레임(Open Frame) 등의 제품으로 구성돼 있으며, 컴팩트 한 크기, 고효율 및 극도의 무부하 전력 소비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융합 산업 솔루션 전문기업 나온웍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플런저 리프트 자동 제어 솔루션 '알리타(ALITA)', 엣지 컴퓨팅 보안 솔루션 '세리브로 엔씨(CEREBRO-NC)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에 주력상품으로 전시된 알리타(ALITA)는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 플런저 리프트 자동제어 솔루션으로, 원유 및 가스 생산시 유정(well) 의 상태를 인터넷을 통해 감시 및 제어하여 지속적으로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과정에서 역할별 구성 플랫폼은 독립적으로 구분되며, 각 유니트 간 산업용 표준 프로토콜로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의 확장이 이뤄짐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유지 관리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 밖에 세리브로 엔씨(CEREBRO-NC)는 이기종 공작기계 통합 관제를 위한 엣지 컴퓨팅 보안 솔루션으로, 나온웍스 고유의 세리브로(CEREBRO)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엡손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고객의 요구 사양과 니즈에 맞는 제품 라인업을 선보였다. 엡손은 초정밀, 초소형, 고효율 기술을 바탕으로 잉크젯, 비쥬얼, 웨어러블, 로보틱스 4개 분야의 혁신을 추진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엡손 로봇은 현재 9년 연속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스카라 로봇을 비롯하여, 소형 6축 로봇, 폴딩암 구조 6축 로봇, 컨트롤러 내장형 스카라 및 6축 로봇 등 다양한 고객의 요구 사양과 니즈에 맞는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엡손은 스카라 로봇 LS10B와 센서를 활용해 컨베이어 위로 자나가는 소형 PCB를 인식해 백플레이트에 빠르고 정확하게 나사를 체결, 그 후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나사 체결 유무를 검사하는 공정의 데모기를 선보였다. 이 외에도 엡손 스카라 로봇 T3가 PCB를 작업대로 이송하면 스카라 로봇 G6가 IC Chip을 비전시스템을 활용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한 후 PCB에 미세 조립하고 T3가 완성품을 이송하는 공정을 데모기를 통해 선보여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한편 첨단, 한국산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이하 SF+AW 2021)이 9월 8일(수)인 오늘부터 10일(금)까지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SF+AW 2021은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로, 올해 31주년을 맞았다. 특히 이번 전시회에는 산업단지 입주 기업이 참여하는 산업단지 특별관이 올해 처음으로 마련돼 많은 참관객의 관심을 끌었다. 전시장 D홀에 배치된 산업단지 특별관에는 총 72개 기업이 참여한 특별관에는 자동화 설비를 비롯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자동차 부품, 스마트 소방 시스템 등의 품목이 전시됐다. 전시회 첫째날인 8일에는 김정환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 김기원 KIBA 회장, 이계우 KIBA 서울 회장 등의 주요 내빈이 전시회에 방문해 안내 일정에 따라 참가 기업 부스를 순회했다. (왼쪽부터) 김기원 KIBA 회장, 김정환 산단공 이사장, 이계우 KIBA 서울 회장, 진덕수 (사)글로벌선도기업협회 감사가 아쿠아픽 부스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김정환 이사장과 진덕수 감사가 영일엔지니어링 부스에서 설명을 듣고 있다. 1994년에 설립된 영일엔지니어링은 자동차부품 생산용 자동화 설비를 전문으로 제조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팩토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고성능 임베디드 컨트롤러인 RCX-1430F PEG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팩토스가 이번에 선보인 슬롯 확장형 임베디드 컴퓨터인 RCX-1430F PEG는 기존에 사용됐던 16인치 4U 렉마운트 컴퓨터/월마운트 컴퓨터를 대체할 수 있는 제품으로 내구성이 높다. 또한 공간이 협소한 현장과 소형 장비에 적용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고사양 그래픽 카드 장착이 가능해 주로 인공지능이나 딥러닝 등 고속, 다량 연산에 필요한 산업에 특화되어 있다. 이외에도 팩토스는 자율주행, AGV 등에 적용된 ECS-9000 PoE를 선보였다. 현재 다양한 업체의 자율주행 산업에 적용되고 있는 제품인 ECS-9000 PoE는 4개의 PoE 포트를 비롯하여 2개의 LAN 포트, 4개의 시리얼 포트, 7개의 USB 포트를 포함, 16개의 Isolation DIO 포트가 있다. 이는 각종 타입의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크레켄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방수커넥터와 푸시풀 커넥터, 로터리 엔코더 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크레켄이 이번에 선보인 방수커넥터는 산업에 주로 사용되는 통신용 IP67 등급으로 방수/방진 분야의 최적의 커넥터 솔루션 제품이다. 방수/방진 환경이 요구되는 공장자동화, 의료산업, 통신, 철도, 에너지, 선박 등의 분야에 사용된다. 고온, 저온, 내화학성이 요구되는 특수 환경에 적합한 방수/방진 등급 IP67~IP69K 제품이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M시리즈 원형커넥터 / 푸시풀(Push-Pull) 커넥터 / 케이블그랜드 등이 있다. 독일에서 제조되는 크레켄 로터리 엔코더 제품은 별도의 배터리나 기어가 필요하지 않은 콤팩트한 제품이며 EnDra 기술을 활용해 전원 차단 시에도 위치 정보가 유지된다. 특히 절대형 엔코더의 경우 CANopen, SSI, Profinet, EtherCAT 등 다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성우스마트랩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산업용 2D 라이다 센서와 자동차용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전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성우스마트랩이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2D 레이저스캐너(LiDAR)은 회전 미러를 이용한 레이저 송수신 장애물 감지 스캐너다. 이 제품은 로봇, AGV(LGV) 및 전동 지게차등에 설치하여 장비의 작업영역내 장애물 감지 안전, 보안 및 물류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고해상도 원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사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열에너지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영상으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빛이 전혀 없는 야간이나 기상악조건에서도 사물 및 주변인식 가능한 센서이므로 살아있는 생명체 감지에 우수하다. 열화상 카메라는 산업안전센서, 스마트시티, 의료기기, 자동차 나이트비전/자율주행용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사이로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인라인 진동검사 시스템과 인라인 전달오차 측정시스템, 포터블 진동 모니터링 측정시스템(PDSA)을 소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사이로직이 이번에 선보인 인라인 진동검사 시스템 이니시스(iNisys–inline NVH inspection system)는 주파수분석(Frequency Analysis)과 오더분석(Order Analysis)을 기본으로 한 회전체 진동 분석용 어플리케이션이다. 이니시스는 엔진, 모터 등의 충격성 진동신호 검사와 변속기, 리어 액슬, 프론트 액슬, 유압펌프, 토크 컨버터, 토크 트랜스퍼 등의 기어 박스(Gearbox)류의 소음, 진동 품질 검사하는데 유용하다. TEMS(Transmission Error Measurement System)은 구동축과 종동축에서 발생하는 속도차를 측정해 전달오차를 연산하는 시스템이다. 포터블 진동 모니터링 측정시스템(PDSA)는 Dynamic
헬로티 이동재 기자 | 키슬러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차축 부하 및 총 중량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WIM(Weigh In Motion) System’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키슬러가 이번에 선보인 WIM System은 도로 및 교량 사용을 추적하는 해결책으로써 비교적 저비용으로 장시간 동안 도로 및 교량 위에서의 차량 번호와 등급, 차축 하중 및 총 중량 등의 교통 정보를 데이터로 제공한다. 고성능 고속축중기 패키지 ‘KiTraffic Statistics’로 ‘Lineas Compact 센서’와 ‘WIM Data Logger’ 등을 이용한 WIM System은 속도 및 중량 데이터를 포함해 차량 감지 및 분류를 자동으로 수행하며 측정 반경 역시 광범위하다. Lineas Compact 센서는 특수한 에폭시 그라우트(Epoxy Grout)에 덮여 노면 2cm 아래 지점으로 견고히 설치된다. WIM Data Logger는 4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키미이에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제품, 설계 및 생산 라인의 Process 설계와 공정 최적화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키미이에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Siemens PLM 소프트웨어의 ALM용 Polarion 소프트웨어을 선보였다. Polarion은 국제 인증기구에서 기능 안전에 대한 ISO 26262/IEC 61508 표준을 준수하는 것으로 인증받은 최초의 ALM 솔루션이다. 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협업 개선, 효율성 및 생산성 증대 ,개발 가속화, 소유 비용 절감, 워크플로 제어 향상 등의 기능을 얻을 수 있다. 키미이에스는 CAD, CAE 및 CAM 통합 솔루션 제품인 NX도 선보였다. NX는 HD-PLM을 제품 개발에 이용해 강력한 CAD, CAE 및 CAM 통합 솔루션 제품군을 선사한다. HD-PLM 기술 프레임워크를 충분히 활용해 제품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의사 결정 과정을 향상시킬 수
헬로티 함수미 기자 | 한국테크넷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특화된 MES솔루션 '비즈엠이에스'를 공개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국테크넷의 '비즈엠이에스(Biz-MES)'는 생산공정관리 솔루션으로, 도장·사출·금형 분야에 특화되어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 솔루션과 POP장비를 연계시킴으로써 실시간 생산현황, 바코드, RFID, PDA, 전광판(현황판), 무선시스템, 관제(제어 및 통제, 통계)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통합해낸다. 이러한 특성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위험상황을 예방함과 함께, 생산공정관리에 효율성을 높여 생산성도 향상시킨다. '비즈엠이에스'는 품질에 중점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현대·기아차의 SQ심사에 적합하게끔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만들어졌다. 데이터(온도, 습도, 압력, 전류, 전압, PH농도, 수량)의 수집분석 차트도 제공되며, 개인 스마트폰을 통해서도 현재 작업조건 등을 라인이나 기기별로 확인할 수 있어 비상시 외부에서도 빠르게 대처할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울파기술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디ㅌ지털 압력계와 차압계 등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울파기술이 이번에 선보인 PDT Series 차압계는 공기 또는 비부식성 기체의 차압, 정압, 연성압, 진공압, 게이지압을 정밀하게(±0.25%) 측정해 전류(4~20mA) 신호로 출력한다. Zero점의 조정, Range의 변경은 전면의 key를 통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다. 간단한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정하는 작업자에 의한 오류·편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P-Series 차압계는 2Level의 Switch 출력 기능이 가능하다. SET or SDT Series 압력계는 액체 또는 호환성 기체의 압력을 정밀하게(±0.25%) 측정해 디지털로 표시하고, 전류(4~20mA)를 출력한다. 또한 공급압력의 최대치를 측정하는 기능과 어느 레벨의 압력을 기준으로 해 변화량을 측정하는 △P 모드가 있다. Panel의 key를
헬로티 임근난 기자 | 레인보우로보틱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휴머노이드 기술이 집약된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대거 선보였다. 2011년 설립된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카이스트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의 연구원들이 창업한 로봇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이 회사는 인간형 이족보행 로봇인 '휴보'(HUBO) 등을 개발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바탕으로 협동로봇 RB 시리즈를 개발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구동기, 엔코더, 브레이크, 제어기 등 협동로봇에 필요한 핵심부품을 자체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관계자는 “해당 부품을 통해 RB 시리즈는 높은 구동 속도, 정밀한 제어 성능, 유격 현상 없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현했다. 또한 자체 부품을 사용해 타사 제품 대비 30% 가량 저렴해 높은 가격 경쟁력을 갖췄다”고 설명했다. RB 시리즈는 RB5-850, RB3-1200, RB10-1300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어 사용자의 작업 환경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함께 선보인 RB-N 시리즈는 F&B 시장에서의 안전하고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스토브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 참가해 높은 안전 등급의 협동로봇 ‘TX2touch’를 공개했다. 스토브리는 1892년에 설립된 커넥터, 산업용 로봇, 섬유 기계의 3가지 주요 산업 활동을 위한 전문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글로벌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과 협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스토브리는 1892년에 설립 된 커넥터, 산업용 로봇, 섬유 기계의 3가지 주요 산업 활동을 위한 전문 메카트로닉스 솔루션 글로벌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고객과 협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TX2touch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안전한 협업을 위해 설계된 차별화된 협동로봇이다. 검증된 TX2 산업용 로봇을 기반으로 고급화된 터치 스킨 기술과 신속한 반응시간 및 내장된 모듈식 안전 기능 더하여 다이내믹하고 안정적인 동작과 높은 정밀도를 제공한다. 스토브리 관계자는 “TX2touch는 SIL3/PLe의 높은 안전 등급을 가진 로봇으로 TX2 로봇과 CS9 컨트롤러의 성능을 바탕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알티자동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서 국제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인 나노버블 발생 기술을 선보이며 호응을 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알티자동화가 이번에 소개한 나노버블 발생기는 물리적으로 형성된 균일한 조직구조를 이용해 수중 가스 용해도와 분산력을 향상시킨, 새로운 자기배열(self arrangement) 기술 기반에 의한 제품이다. 나노버블은 육안으로는 확인이 불가한 직경 1㎛(100만분의 1미터) 이하의 초미세 기포다. 이는 상온·상압하 개방조건에서 수개월 이상 안정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는 일본에서 개발된 혁신기술이기도 하다. 이 발생기는 버블의 생산 효율이 매우 높고, 다양한 사이즈의 버블을 발생시키게끔 제어도 가능하며, 대용량부터 소용량까지 다양하게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바이오 및 환경 분야의 나노 신소재 개발을 위한 반응기(Reactor)로 응용 또한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