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이동재 기자 | 조선계기사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블루투스 무선 온도센서를 공개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조선계기사가 이번에 선보인 블루투스 무선 온도센서(T1, T2)는 광범위한 센서 & IoT(사물인터넷) 솔루션 '에펜토(Efento)'의 일부로, 다양한 현장에서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된다. 센서 내부에 메모리가 있어 스스로 측정 데이터를 6만개까지 저장해 무선 통신 장애 등의 상황에서도 데이터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플랫폼과 함께 사용해 센서를 원격관리 하거나 측정한 데이터를 보관, 분석,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로 최대 100m 거리에서 스마트폰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최소 3년간 배터리 교체 없이 사용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엑스퍼트아이엔씨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AR 스마트 글라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엑스퍼트아이엔씨가 이번에 선보인 AR 스마트글라스 VUZIX M400은 핸즈프리 경험을 통해 작업과 생활 방식의 혁신을 도울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증강현실 기술의 글로벌 리더 기업인 VUZIX의 신제품이다. M400은 스마트글라스 분야에서의 벤치마크 대상으로 물류창고, 원격 의료, 제조현장 서비스와 같은 많은 응용 분야에서 업무 프로세스를 개선하여 효율성과 정확성 및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켜 준다. 방수 및 방진 작동을 위해 2미터 낙하 테스트 및 IP67 등급을 받았다. 엑스퍼트아이엔씨는 산업용 AR 스마트글라스 제조사인 VUZIX, AI 및 로봇 스타트업인 중국의 ROKID사 등과 총판 및 리셀러 계약을 맺고 국내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아이씨엔아이티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스마트공장 수직형 통합 패키지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 전문 전시회다. 아이씨엔아이티가 이번에 선보인 스마트공장 수직형 통합 패키지는 생산 현장 설비(재봉기)에 센서 모듈과 패킹(Packing) 작업장에 센서 기반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하여 센싱되는 정보 수집 및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OPC-UA 기반 장비/센서 연결로 고도화된 모니터링 및 실시간 설비 제어가 가능하므로 섬유산업의 세부업종별로 범용성·확장성을 확보해 현장 적용을 통한 효과입증이 가능하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New Deal)’라는 주제 하에 약 500개사 스마트공장, 머신비전, 자동화 기업이 참가하여 1,800개 부스에서 최신 스마트 제조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헬로티 조상록 기자 | 오히너코리아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다기능 게이트박스, 안전 스위치, 라이트 그리드 및 라이트 커튼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다기능 게이트박스 MGB의 업그레이드 모델인 MGB2는 4차 산업에 맞게 통신기능을 사용하여 다수의 도어를 효과적으로 잠금처리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 설치 시 다수의 도어에 설치를 해도 쉽게 배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버튼구성에 대해 설치 및 변경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키고자 모듈식으로 제작하여 사용자의 희망에 맞게 쉽고 빠르게 도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공장 내 안전시스템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오히너코리아가 선보인 안전 스위치는 △가드 잠금 기능 탑재 트랜스폰더 코딩형 안전 스위치 △자기 코딩형 안전 스위치 △가드 잠금장치가 있는 전기기계식 안전 스위치 등으로, 슬림한 사이즈에 LED형, 버튼내장형, 통신형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용 가능한 모
헬로티 조상록 기자 | 한국쯔바키모토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드라이브 체인, 짚 체인 액추에이터, 웜 파워 드라이브, 파워 실린더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드라이브 체인은 사이즈별로 필요 성능을 향상시킨 롤러 체인으로, 핀 기구의 휠·랙과 특수 치형 기어의 조합에 의해 회전·직선 구동부의 설계 자유도가 광범위하다. 분할 방식이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하고, 핀 기어는 여유가 있는 모듈 설계로 큰 전달 토크를 가진다. 휠 타입은 세그먼트 수를 늘림으로써 대형 구동장치에서 채용이 가능하다. 짚 체인 액추에이터는 쯔바키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체인으로, 두 체인이 지퍼처럼 맞물려 밀고 당기기 위한 하나의 튼튼한 기둥을 형성한다. 짚 체인 액추에이터는 고속/주파수 작동과 공간 절약이 가능한 완전히 새로운 액추에이터 제품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위고(WeGo)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자율주행과 로보틱스 교육을 위한 플랫폼을 선보였다. 위고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율주행, 협동로봇 플랫폼에 인공지능을 통한 머신러닝, 딥러닝, 강화학습 솔루션 개발과 AR/VR 솔루션을 통한 사물인터넷(IoT) 기술 분야의 응용에 대한 액션 아이템(Action Item)을 제공하는 회사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물류이송로봇 ‘WeGo-TR’은 2륜 차동-방식이며 실내 운송 분야에서 매우 적합한 플랫폼이다. 작고 유연한 구조로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자유롭게 셔틀 가능하다. 지상고는 165mm이며 사이즈는 685×570×155mm의 사이즈이다. WeGo-TR은 고부하, 강력한 저비용 배터리 등을 특징으로 하는 2륜 차동 구동으로 휴대용 섀시로 실내에서 안내하는 로봇이나 물류이송 등의 시나리오에 적합하다. 배터리는 24V/30Ah를 권장하며, 100Kg의 페이로드가 가능하다. 제품의 무게는 30Kg이며, 제어기와 연결 통신은 RS232와 CAN 통신이 가능하다. 물류 연구 및 교육 로봇 ‘WeGo-ST MINI’는 WeGo-ST의 작은 사이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사이더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다양한 카메라 모듈 신제품을 선보였다. 사이더스는 임베디드용 USB/MIPI/GMSL 카메라 모듈 전문 공급 업체인 미국 이콘시스템스(e-con Systems)의 한국 총판으로 카메라 모듈을 주력으로 국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판매 및 공급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See3CAM_160’은 소니 16MP IMX298 센서 기반의 16메가픽셀(4640x3840) 자동초점 USB3.1 카메라로, 윈도우/리눅스/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별도의 드라이버 포팅 없이 사용이 가능 하다. 그리고 USB3.0 Type-C 인터페이스로 되어 있으며 USB3.0/USB2.0 둘 다 사용이 가능 하다. 또한 UYVY와 MJPEG의 2가지 출력 포맷을 지원한다. 또 다른 신제품 ‘NileCAM21_CUXVR’은 온세미 AR0233AT 센서 기반의 Full-HD(1920x1080) 멀티플 GMSL2 카메라로, 리눅스/안드로이드 환경의 NVIDIA Jetson AGX Xavier 임베디드 플렛폼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별도의 소프트웨어 드라이버 포팅이 필요 하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키웍스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듀얼 이미징 티디아이, AF변위 센서와 모션 컨트롤러가 포함된 iSFA 등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키웍스가 이번에 선보인 뷰웍스의 듀얼 이미징 TDI는 한번의 Scan으로 2장의 다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TDI Line Scan 카메라다. 두 가지 조명 조건의 영상을 한번의 스캔으로 얻을 수 있어, 빠른 검사속도로 인한 시간 단축, 공간적 절약으로 인한 공간효율성이 증가하며, 생산 효율도 증가한다. 또한 두가지 조건의 영상을 얻음으로써 불량에 대한 더 많은 정보 획득하기 때문에 검출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함께 전시된 CIS(Contact Image Sensor)는 Line scan imaging module로서 촬상 센서, 로드 렌즈, 광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Line Scan Camera와 비교하여 시스템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비용이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공간활용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센서리움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2021)에 참가해 FLATSCAN, LASER SCANER, WIDESCAN 등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자동화 및 안전과 관련된 센서와 코로나19 상황에 꼭 필요한 위생 관련 센서들을 선보였다. 센서리움은 보행자용과 산업용 센서 외에도 4차 산업혁명에 필요한 스마트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정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연구, 개발하고 있다. 주력 사업 분야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 스마트 도로교통, 스마트 인더스트리, 대중교통 안전 솔루션, 피플카운팅뿐만 아니라 보안 및 입출입감지, 인터랙티브 미디어 솔루션 등 다양한 센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선보인 레이저스캐너는 ToF(Time of Flight) 기술을 사용한다. 이 기술은 각각 4개의 레이저 신호를 평면으로 송신 및 스캔해, 각 신호의 되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한다. 감지뿐만 아니라, 물체의 속도, 길이, 위치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응용하여 ITS 뿐만 아니라 인터렉티브, 높이제한 등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공장 시스템에 다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세이지리서치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딥러닝 기반의 제품 외관 검사 솔루션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세이지리서치가 이번에 선보인 Saige Vision은 딥러닝 기반의 제품 외관 검사 솔루션이다. 룰 기반의 검사 알고리즘으로는 어려웠던 검사 자동화 문제를 Classification, Detection, Segmentation 기능을 통해 해결한다. Saige Vision은 최신 기계 학습 알고리즘, 최적화 및 다차원 분석 기법 등이 내재되어 있으며 ▲ 육안검사로만 가능했던 비정형 결함 검사 자동화 ▲ 비전 지식이 없는 비전문가도 가능한 검사 ▲ 룰 기반 검사 방식에 비해 정확한 검사 등을 가능하게 한다. 세이지리서치는 제조업에 최적화된 딥러닝 기반의 비전 검사 플랫폼 기업이다. 세이지리서치는 제품 외관 검사 소프트웨어인 SaigeVision을 시작으로 Saige VAD(비디오 이상 감지), Saige OCR(문자 인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아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에이치엠에스 AI 엣지 스마트 디바이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아솜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선보인 일본 HMS사의 AI 엣지 스마트 디바이스 'iNGRAY시리즈'는 영상 입력부터 AI처리까지 일체화한 각종 AI Edge Device 및 AI Deep Learning 트레이닝 환경을 포함해서 자사 개발, 생산한 라인업을 제공한다. AI내장 세계 최고 성능 VSLM카메라 모듈, 산업용 AI내장 스마트 카메라, 신세대 AR스마트 글라스 및 독자적으로 개발한 산업용Deep Learning네트워크 소프트웨어 ‘SiNGRAYNET’도 있다. 아솜은 각종 AI디바이스의 글로벌 브랜드인 HMS사의 SinGRAY AI SMART 카메라 등의 디바이스와 각종 금형 가공기 위에서 바로 측정할 수 있는 KUMAKEN사의 기상 계측기, 각종 진동과 지진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하는 NITTOKU사의 N-GRIP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맥콘트롤즈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Factory+AutomationWorld 2021)’에서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AI MECH’과 라인 스캔 디텍터 등의 머신비전 제품을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 전관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맥콘트롤즈가 이번에 선보인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인 ‘AI MECH’은 양불 판정이 모호했던 기존 검사 분야에 돌파구를 제시하고 있다. 저가형 웹캠을 활용해 임베디드PC를 갖추고 좁은 설치공간에서도 사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표면검사에 특화된 AI MECH은 시료 및 결함의 족잡도 정도에 관계없이 결함의 특징을 추출한다. 검출하고자 하는 항목이 정형화되지 않은 결함(비정형 결함)일지라도, 다양한 경우의 수를 만들어 학습하기 때문에 까다로운 검사 환경에서도 높은 검사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함께 한맥콘트롤즈는 고속 1차원 라인 패턴 디텍터도 선보였다. 검사별 다양한 렌즈와 조명이 선택이 가능하고 단순한 돌출 및 홀 검사는 물론 흐리는 쇳물의 굵기까
헬로티 이동재 기자 | 쓰리디산업영상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비전 검사 시스템 ‘핀박스’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핀박스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필수요소인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용 가능한 비전 검사 시스템이다. 검사제품 사출부터 제품 양불 판정 및 제품 적재의 공정까지 가능케 하는 솔루션으로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해,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쓰리디산업영상의 비전 전용 소프트웨어 AnyLook은 산업용 카메라를 이용해, 치수불량, 미성형, 부품누락, 표면이상, 이물 및 오염 등의 불량을 검사한다. 검사 대상의 제품이 변경되거나 검사사양이 추가되더라도 누구나 손쉽게 새로운 작업을 생성하거나 기존의 작업을 편집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한편 첨단, 한국산업지능화협회,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코엑스가 공동주최하는 이번 전시회는 ‘디지털뉴딜의 미래(The Future of Digital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지테크시스템이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 + Automation World 2021)’에서 산업용 PC, 컨트롤러를 선보였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지테크시스템이 이번에 선보인 산업용 PC 'FLX06R01’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모든 자동화 산업 장비에 사용될 수 있다. FLX06R01는 ▲공간 효율성 확보하는 소형화 PC ▲NVMe M.2 Slot이 내장돼 Data 고속 처리 ▲전면 2.5" SSD Rack 2개 지원해 여유 용량 확보 ▲다수 I/O 및 PCI Card Slot 지원을 통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구현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MMC(Multi Module Controller)는 ▲6개 모듈을 1개의 컨트롤러에 내장해 공간 효율성 확보 ▲EtherCAT & POE 지원을 통해 네트워크 안정성과 효울성 증가 ▲안정적인 전원 설계로 과전압/과전류 보호 ▲모듈 별 핫 스왑 기능 지원으로 쉬운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테크시스템
헬로티 함수미 기자 | 남동스마트모빌리티MC(미니클러스터) 소속 4개 업체(한일프라튜, PKFC, 나오테크, 세인아이엔디)가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1)’에 모여 각기 다른 분야의 생산제품을 소개해 이목을 끌었다.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1은 9월 8일(수)부터 10일(금)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공장 및 자동화산업 전문 전시회다. 한일프라튜는 플라스틱 튜브, 스틸 튜브의 성형가공 전문회사로 자동차의 연료라인, 브레이크라인용 튜브와 진공펌프의 냉각용 튜브를 생산한다. PKFC는 CT정밀가공 기술을 바탕으로 전기자동차의 핵심부품을 생산하며 차별화된 기술의 멀티포밍(MULTI FORMING), 프레스(PRESS), 스프링(SPRING) 부품을 자동차, 전기전자, 핸드폰, 가전 등 각 분야에 공급하고 있다. 나오테크는 특수 기능성도료의 제조 및 판매 기업이며 와이퍼 블레이드, 특수 페인트 및 차량용 제품은 고객 요청에 따라서도 제작한다. 세인아이엔디는 자동차, 전자, 통신 부품 생산에 필요한 각종 워셔 제품을 생산 및 보급해오고 있는 기업이다. 먼저 한일프라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