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고속 CAN 트랜시버의 새 제품군인 MCP2561/2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CAN 프로토콜 컨트롤러와 물리적인 2개의 와이어 CAN 버스간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품으로, CAN 규격에 요구되는 다양한 표준이며 C&S 그룹이 주관하는 "GIFT ICT 그룹 적합성 시험표준 버전1.0" 및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의 LIN, CAN, 및 FlexRay 인터페이스를 위한 OEM 하드웨어 자격 요건에 대한 버전 1.3”과 같은 글로벌 자동차 EMC에 대한 규격 등을 만족시킨다. 이와 함께, 고객의 개발 편의성과 시스템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뛰어난 강건성과 CAN 적합성을 보장한다. MCP2561/2 트랜시버 제품군은 두 가지의 장치 옵션을 제공한다. MCP2561은 8핀 패키지의 고속CAN(HS CAN) 트랜시버이며, SPLIT핀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SPLIT 핀은 바이어스된 분할 중단 기법으로 공통 모드를 안정화 하기 위한 도움을 준다. MCP2562도 역시 8핀 패키지 형태의 HS CAN 트랜시버로 Vio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 Vio 핀은 편리한 마이크로컨트롤러 인터페이스용 CAN 트랜시버 디지털 I/O의 내부
[벤처 1세대에게 배운다]미래부, 국가 자산 활용 추진 벤처기업의 수가 3만여 개에 육박하지만 20~30대의 청년 벤처기업 CEO 비중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벤처 육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창조경제실현계획의 후속 조치로, 벤처1세대의 경험을 국가의 자산으로 활용하기 위한 벤처 1세대 활용 및 재기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했다. 벤처 1세대는 지난 90년대 벤처 불모지였던 국내에 기술과 열정만으로 벤처DNA를 사회 전반에 확산시킨 주인공들로, 성공한 기업가는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 등으로 벤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여가고 있는 반면, 한번 실패한 벤처기업가는 사회의 낙오자로 대접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래부는 이번 계획이 기존 일회성, 강의 위주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넘어 벤처기업협회,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등의 추천을 받은 ‘성실 실패를 경험한 벤처 1세대’를 중심으로 상시적인 멘토단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데 주력한다. 정부는 누리꿈스퀘어 내에 마련할 예정인 벤처 1세대 멘토 사무실을 통해 벤처 동아리의 창업 및 경영 컨설팅 지원, 초기 벤처기업의 현장 애로 등을 지원할 계획이며, 멘토단은 기업가정신 교육, 윤리규정 준
무엇이 플랫폼형 융합기술인가? 과학기술·ICT 둘이 만나면 날개 단다 플랫폼형 융합기술은 기존 지식·기술·산업 간 창의적 융합을 통해 시장 성숙도는 낮지만 폭넓은 응용 가능성, 상업적·산업적 활용성·연관성을 내포해 신산업 창출 가능성이 큰 기술이다. 과학기술과 ICT의 융합의 경우, 웨어러블 컴퓨터, 스마트 콘텐츠, 지능형 로봇,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비롯, 생체인식, 보안, 에너지 수집 및 효율화, 클라우드 서비스, 스마트 자동차, 바이오 센서 등이 포함된다. 과학기술과 문화콘텐츠의 융합은 게임, 영상·뉴미디어, 가상현실, 창작·공연·전시, 디지털 컨버전스, 공공문화 서비스등의 해당된다. 대표적인 IT분야 싱크탱크인 ETRI가 추진하고 있는 융합기술 개발 현황을 보면 쉽게 그림이 그려진다. ■고신뢰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술 = 일반 소매 스토어 또는 대규모 물류창고에서 관련 제품의 정보를 표시하는 Smart ESL(Electronic Shelf Label) 서비스에 최적화된 고신뢰, 저전력, 대규모 무선센서네트워크 및 H/W 플랫폼 기술이다. 대규모 노드(~ 5,000EA)를 지원하는 리테일 서비스에 최적화된 무선센서 네트워크 기술이다. ■기능성 엔터
매스웍스코리아는 중앙대학교와 MATLAB, Simulink를 포함한 50여 개의 자사 제품에 대하여 캠퍼스 내에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캠퍼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라이선스 계약이 체결된 매스웍스의 제품들은 자동차, 항공기, 선박, 고속 철도 차량, 철강 제조 등의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 수학적 모델링, 알고리즘 개발, 병렬 컴퓨팅 등의 핵심 솔루션을 제공한다. MATLAB과 Simulink는 초정밀 제작, 자동화 기계 기술 등의 반도체 제조와 IT 기기 제조 등 첨단 산업의 핵심 기반 기술에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 캠퍼스 라이선스 도입으로, 중앙대학교는 산업 전반에 적용되는 모델 기반 설계와 기계, 전기, 제어 및 임베디드 등의 다양한 도메인을 설계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매스웍스 제품을 기계 분야의 수치해석, 자동제어 및 전기전자 분야의 디지털 제어, 디지털 신호처리, 이동통신 등의 자연 공학계열 수업 및 연구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학부 학생들에게 필요한 수치해석적 이론과 방법을 습득시키고 컴퓨터를 이용하는 많은 예제를 다룸으로써 실제로 수치해를 구하는 능력을 배양하고 공학 실무에 필요한 기술, 방법, 최신 공학도구를
빅데이터가 만드는 미래 잠재력 끝없다…먼저 시장 선점하라 빅데이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국제 IT 시장 조사기관인 IDC의 분석에 따르면, 2010년 32억 달러에서 2015년에는 169억 달러로 연 39.4%씩 초고속 성장한다. 이는 ICT 전체 성장률의 약 7배에 이른다. 아직은 초기 단계 빅데이터 산업이 이처럼 주목받는 이유는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 등의 직간접적인 경제 효과 때문이다. 제조업 제품 개발비용을 50% 절감할 수 있으며, 소매업 이윤이 60% 증가할 것이란 분석이다. 세계적인 경영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도 빅데이터 활용 시 미국 의료분야에서 연 3,000억 달러, 유럽 공공분야에서 연 2,500억 유로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리나라는 데이터의 단순한 활용을 넘어 빅데이터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는 기업은 아직 많지 않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빅데이터를 보통 이상 알고 있는 경영자의 비율은 56.4%이나 적극 활용하는 경우는 19.4%로 저조하다. 이동통신 사업자나, 포털 사업자 등은 보유 데이터를 바탕으로 빅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은 초기단계. 삼성전자의 경우, 내부 지식
사물인터넷이 뜬다 자동차에서 의료까지 서비스 혁신 모든 기기의 스마트화에 따라 사람이 중심이던 인터넷에서 사물은 물론 현실과 가상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작용하는 사물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으로 진화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ICT 기반의 주위의 모든 사물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정보를 상호소통하는 지능형 인프라이다. 주요 적용 유망분야 및 서비스는 ▲자동차 분야(텔레메틱스)로 자동 차량제어, 응급 비상 콜, 지리정보 서비스 등 ▲원격 검침(가스, 물, 전기망) 부문에서 사용량의 원격 검침 통보, 고객관리, 원격 진단 ▲물류/유통(RFID 네트워크)의 경우 식품 운송·보관상태 확인, 컨테이너 위치 추적 등 ▲보안/관제(CCTV 등 감시망)에선 빅데이터를 결합한 사전 위험 감지·경고, 범인 감식 ▲의료(개인 스마트폰)는 u-헬스 서비스, 혈압, 당뇨 등 개인 건강 체크 솔루션 ▲장비 제어(가전)에서는 냉장고 식품 신선도 관리, 스마트 TV 연계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정부는 이와 관련 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서비스의 확산을 촉진하기 위해 올해 u-IT신기술확산사
왜 융합형 인터넷 신산업인가? 2017년 10조원 시장 향한 출발선 재정비 글로벌 시장에서는 구글, 페이스북 등 인터넷 기업이 사물인터넷·클라우드·빅데이터 등 인터넷 신산업 투자를 통해 일자리 창출 및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신성장동력으로 인터넷 신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선진국 대비 인터넷 신산업 분야의 경쟁력은 낮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편집자> 경쟁력 다시 올린다 정부는 최근 ‘인터넷 신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했다. 이 방안이 체계적으로 추진될 경우, 오는 2017년까지 인터넷 신산업 관련 1,000개 창조기업이 등장하고 시장 규모는 10조원으로 성장하여, 일자리 5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보편화로 인터넷의 영향력은 기존 IT 영역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정치분야에선 모바일 선거운동 등이 일반화된지 오래고, 모바일 결제 등 경제부문에서의 활용, 증강현실이나 N스크린 등 사회 문화분야에서도 인터넷의 파이는 더욱 커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창조기업들이 클라우드·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인터넷 신산업을 기반으로 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기사 (2011년 1회 기출문제) 디지털 전자 회로 1 3개의 T 플립플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첫단에 1,000[Hz]의 입력 신호를 인가하면 마지막단 플립플롭의 출력 신호는? ㉮ 3,000[Hz] ㉯ 333[Hz] ㉰ 167[Hz] ㉱ 125[Hz] 2 트랜스터의 스위칭 동작에서 turn-off 시간은? ㉮ 지연 시간(td) ㉯ 지연 시간(td)+상승 시간(tr) ㉰ 축적 시간(ts) ㉱ 축적 시간(ts)+하강 시간(tf) 3 아래와 같은 4변수 카르노 도표를 간략화했을 때 논리식은? ㉮ ㉯ ㉰ ㉱ 4 진폭 변조에서 신호파 χs(t)=4cos2πfst, 반송파 χc(t)=5cos2πfct로 주어질 때 피변조파 χ(t)를 나타낸 것은? ㉮ χ(t)=4(1+0.8sin2πfst)cos2πfct ㉯ χ(t)=4(1+0.8cos2πfst)cos2πfct ㉰ χ(t)=5(1+0.8sin2πfst)cos2πfct ㉱ χ(t)=5(1+0.8cos2πfst)cos2πfct 5 B급 푸시풀 전력 증폭기(Push-pull Power Amp)에서 제거되는 것은? ㉮ 기본파 ㉯ 제2고조파 ㉰ 제3고조파 ㉱ 제5고조파 6 하틀리(Hartley)형 발진 회로에서 콜
무선설비기사 (2011년 1회 기출문제) 디지털 전자 회로 1 정현파 발진기로서 부적합한 것은? ㉮ LC 발진기 ㉯ 수정 발진기 ㉰ 멀티바이브레이터 ㉱ CR 발진기 2 궤환에 의한 발진 회로에서 증폭기의 이득을, 궤환 회로의 궤환율을 β라고 할 때 발진이 지속되기 위한 조건은? ㉮ βA=1 ㉯ βA < 1 ㉰ βA > 1 ㉱ βA=0 3 다음 계수형 전자계산기(Digital Computer)의 기억 장치 중 보조 기억 장치가 아닌 것은? ㉮ 자기 드럼(Magnetic Drum) ㉯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 자기 코어(Magnetic Core) 4 플립플롭 4개로 구성된 계수기가 가질 수 있는 최대의 2진 상태는 몇 가지인가? ㉮ 8가지 ㉯ 12가지 ㉰ 16가지 ㉱ 20가지 5 다음 주어진 회로는 어떤 종류의 회로인가? ㉮ 클리핑 회로 ㉯ 공간 탭 전파 정류 회로 ㉰ 브리지 전파 정류 회로 ㉱ 전압 체배 회로 6 그림과 같은 발진 회로에서 높은 주파수의 동작에 적절한 발진 회로 구현을 위한 리액턴스 조건은 무엇인가? ㉮ Z1=용량성, Z2=용량성, Z3=용량성 ㉯ Z1=유도성, Z2=유도성, Z3=유
IBIS AMI vs. SPICE - 커뮤니케이션 시뮬레이션을 위한 최선의 선택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엔지니어들은 회로기판(PCB Assembly)이 만들어지기 전에 완벽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이러한 과제는 모델링을 통해 해결할 수 있지만, 매우 복잡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세계에서는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채널의 행동을 모델링하기 위한 두 가지 솔루션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사실상 표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시뮬레이터가 지원하고 있는 SPICE이고, 나머지 하나는 새로 등장한 제품으로 입출력에 대한 아날로그 모델링을 포함한 입출력 버퍼 정보 스펙(IBIS, Input-output Buffer Information Specification)의 확장판인 IBIS 알고리즘 모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모델이다. 여기서는 이 두 가지 모델링 시스템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검토하고, 고속 채널의 시뮬레이션과 관련된 각각의 주요 장점을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 엔지니어들은 전자 산업 초기부터 수학을 사용하여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 모두에서 회로의 동작을 계산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용 오실레이터 실리콘랩스의 크리스탈 오실레이터(Si535와 Si536 XO)는 10G, 40G, 100G 클라우드 컴퓨팅 및 네트워크 장비를 위한 초저지터 레퍼런스 타이밍을 제공한다. 이 제품에는 10/40G 데이터 센터의 코어 및 액세스 스위치, SAN(Storage Area Networking) 장비, 보안 라우터, 엔터프라이즈 스위치/라우터와 캐리어 이더넷 스위치 및 라우터에 우수한 성능과 안정성,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실리콘랩스의 DSPLLⓡ 기술이 적용되었다. 실리콘랩스 ☎ (02)551-8600 www.silabs.com
32비트 마이크로컨트롤러 제품군 마이크로칩의 64/16KB, 256/64KB 및 512/128KB의 플래시/램 구성의 PIC32MX3/4 마이크로컨트롤러(PIC32MX3/4 MCUs) 제품군은 연결, 그래픽, 디지털 오디오, 범용 임베디드 컨트롤 개발을 위한 종합적인 소프트웨어 및 툴과 결합됐다. 이 제품군은 저렴한 비용으로 더 높은 RAM 메모리 옵션 및 주변장치 통합을 지원하며 28배속 10비트 ADC와 5 UARTS, 105 DMIPS 성능, 그래픽 디스플레이, 정전용량 터치 등을 지원한다.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 ☎ +1(480)792-7200 www.microchip.com
10세대 FPGA 및 SoC Altera의 10세대 FPGA 및 SoC는 공정 기술과 아키텍처에 기반하여 최저 전력 조건으로 최고의 성능과 시스템 통합성을 제공한다. 초기 10세대 제품군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Arriaⓡ 10과 Stratixⓡ 10 FPGA 및 SoC 등이 포함되어 있다. 10세대 디바이스는 인텔의 14nm Tri-Gate 공정과 TSMC의 20nm 공정을 포함한 공정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초기 접근 고객은 10세대 제품 개발을 위해 현재 Quartusⓡ Ⅱ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Altera ☎ (02)538-6895 www.altera.com
전원 관리 칩셋 2종 TI의 특허 기술인 새로운 맥스라이프(MaxLife)TM 고속 충전 기술을 적용한 전원 관리 칩셋 2종(bq27530/bq27531)은 단일 셀 리튬 이온 배터리를 보다 빠르게 충전할 수 있도록 하며 배터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bq27530 및 bq27531 배터리 게이지 IC와 bq2416x 및 bq2419x 충전 IC를 결합시킨 이들 칩셋은 배터리 열화(Battery Degradation)를 최소화하면서 가능한 가장 빠른 충전 속도를 이용하여 배터리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 (080)551-2800 www.ti.com/ww/kr
동기식 벅부스터 DC/DC 컨버터 동기식 벅부스터 DC/DC 컨버터(LTC3115-1)는 고온 H 등급(접합 온도 범위 -40℃~150℃)과 고신뢰성 MP 등급(55℃~150℃) 버전이 있다. 이 제품은 20핀의 열 성능이 향상된 TSSOP 패키지로 제공된다. LTC3115-1은 단일 셀 리튬이온을 비롯하여 24V/28V 산업용 전압부터 40V 자동차 입력에 이르는 광범위한 전원에서 최고 2A 연속 출력 전류를 제공한다. 또한 최고 95%에 이르는 효율은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킨다. 리니어 테크놀로지 코리아 ☎ (02)792-1617 www.linea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