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S가 물체 감지/인식, 빈 피킹, 팔레트 적재 등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설계한 스테레오 비전 3D 카메라 라인 Ensenso C 시리즈를 출시했다. Ensenso C 시리즈는 현재 C57-S 및 C57-M 모델이 있으며, 두 모델 모두 5MPixel 글로벌 셔터 스테레오 센서와 2MPixel RGB 글로벌 셔터 센서를 갖춘 투영 텍스처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이다. 모든 제품은 C-Mounts를 갖춘 200w LED 프로젝터와 함께 제공되며 초당 최대 10개의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캡처할 수 있다. 또한 GigE, 1xFlash/GPIO 및 1x Trigger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으며, 두 카메라 모두 IP65/67등급을 인증받은 제품이다. C57-S는 1m 거리에서 0.1mm의 Z 정확도를 갖춘 230mm 스테레오 베이스라인, 975mm 초점 거리 및 최대 12/800 – 1300mm의 작업 거리를 제공한다. 크기는 90 x 58 x 100mm이고 무게는 1160g다. C57-M은 2m 거리에서 0.2mm의 Z 정확도를 갖춘 455mm 스테레오 베이스라인, 1850mm 초점 거리, 최대 12/1300-3600mm의 작업 거리를 제공하는 제품이다. 크
Teledyne FLIR는 Lepton LWIR 열화상 카메라 라인에 Lepton UW 마이크로 열화상 카메라 모듈을 새롭게 추가했다고 밝혔다. 이 8.47 x 12.7 x 11.14mm, .7g, LWIR 카메라는 160 x 120 해상도, 12μm 픽셀 크기, 사용 가능한 120픽셀 직경 영역 및 57° FOV를 갖추고 있다. 8.7Hz의 유효 프레임 속도, < 0.050mK의 열 감도 및 10°C ~ +80°C의 최적 작동 온도 범위를 갖췄다. 카메라 온도와 관계없이 자동으로 이미지를 출력한다. 고이득 모드에서는 -10°C ~ 140°C, 저이득 모드에서는 -10°C ~ +400°C의 장면 동적 범위를 갖는다. Lepton UV는 화재 감지, 프로세스 모니터링, 인원 계수 등 넓은 시야가 필요한 비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WAME(웨임)이 아시아의 주요 크립토 투자회사 알파논스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해 아세안 시장 확장에 나선다고 밝혔다. 웨임은 전 세계적으로 30만의 사용자 기반을 보유한 웹3 DID 솔루션 전문 기업이다. 탈중앙화 ID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온라인 신원과 데이터를 사용자 스스로가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최근 P2EAll의 인수를 통해 P2E 에그리게이션 분야로의 사업 확장을 성공적으로 진행한 바 있다. 웨임은 베트남과 태국 시장에서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높은 암호화폐 사용자 기반과 시장 가치 증가 예측을 바탕으로, 태국에서는 웹3 산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금융기관의 투자 확대가 기대되는 환경에서 웨임은 각각의 시장에 최적화된 마케팅 전략과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시장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웨임의 대표는 “알파논스로부터의 투자는 웨임이 아세안 시장 내에서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의 혁신을 선도하는 데 필수적인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특히 베트남과 태국에서의 사업 확장을 통해 웹3 기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이 지역 내 디지털 경제 성장에 기여할 계획이다”
첨단기업∙대형 빌딩 등 청소 로봇 도입 활발 중대재해처벌법 영향으로 산업 현장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청소 로봇을 도입하는 기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 마로솔은 올해 자사의 청소 로봇 공급은 작년보다 500%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마로솔의 청소 로봇을 도입한 사업장으로는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한국타이어 등 대기업의 사업장은 물론 두원공조와 같은 중소기업 현장, 미래에셋센터원, 코엑스, 더시그넘하우스 등 다양하다. 청결한 작업환경을 유지해야 하는 반도체 제조 공장이나 대형 빌딩, 복합상업공간, 실버타운에서 마로솔의 청소 로봇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작업장의 청소는 근로자의 건강 보호는 물론 분진 등으로 인한 기계장치 오작동 방지, 화재 예방 등을 위해 필수적이다. 보통 대형 작업장에서는 이러한 청소를 기존 생산직 직원이 하거나 청소용역을 통해 해결했는데, 바닥 기름때 청소, 먼지 제거 등의 작업을 꺼리는 경우가 많았다. 어렵고 힘든 작업장 청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로 청소 로봇이다. 청소 로봇은 강력한 청소 기능과 함께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모델도 있어 사람이 로봇을 별도로 조작하거나 조정하지 않아도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구역을 청소할 수 있다. 마
클라이온 박윤지 대표가 ‘2023 ICT R&D 주간’ 개막식 행사에서 IITP 원장상을 수상했다. 2023 ICT R&D 주간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 주관한 디지털 신질서 주도를 위한 대국민 소통 행사다. 이 행사에서 박윤지 대표는 여성 IT 벤처인으로서 지난 20여 년간 대한민국 IT 기술의 발전과 기술 기반 성과 개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클라이온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플랫폼 기술력을 인정받아 지난 8월 ‘DPG HUB 구축 ISP’ 사업을 수주헤 현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네이버 클라우드의 생성형 AI 전문 기술기업으로 지정되어 서울시, 경기도,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현대건설 등에 생성형 AI 기반 혁신 자문도 진행 중이다. 또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 기반 플랫폼 솔루션 개발 및 LLMOps 개발에 힘쓰고 있다. 창립 3년 차인 클라이온은 2023년 올해 매출 200억 원을 달성했으며, 앞으로 기술 인력을 65명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윤지 대표는 "20년간의 IT 경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기술의 발전과 확산에 기여하고자 노력헸다"며 "앞으로도 클라이온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미소정보기술이 안전한 의료데이터 활용과 양질의 연구데이터 생성을 위해 건양대학교병원 ‘K-헬스 데이터 안심존 시스템 구축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의료데이터 안심존 시스템 구축사업은 건양대병원의 의료데이터 활용 포털 구축을 통한 디지털 혁신 의료기술 활성화와 디지털헬스 혁신기술 지역 적용 및 확산에 있다. 미소정보기술은 보안 조치가 필요한 의료데이터의 성격상 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해 본원에 분리된 공간에 데이터 안심존 포털을 구축한다. 이번 사업은 민감한 정보가 담긴 의료데이터를 연구자들이 오프라인 폐쇄망 환경에서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안심존'을 구축하고 1~3차 의료기관 간 환자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의료데이터 안심존 구축은 진료와 치료의 품질을 높일 새로운 기회로 향후 개인의 의료데이터를 통합 수집, 관리하면 빅데이터를 통한 개인 맞춤형 진료는 물론 질환별로 가장 알맞은 치료 기술 연구가 가능하다. 미소정보기술은 전국 국공립대병원 및 상급 종합병원 등에 의료데이터 솔루션 구축 및 전환, 이관 등 풍부한 수행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EMR, 판독문, 영상진단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적재, 연구 데이터 추출과 데이터분석, 어노테이션, 인공지능분석 및
Photoneo는 최근 투명하고 반투명한 빛나는 물체를 스캔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한 새로운 3D 스캐너 라인인 MotionCam 3D Color를 발표했다. 이 스캐너는 366~558mm에서 1300~3780mm까지의 스캔 범위와 최대 1680mm의 포인트 크기를 가지며, 최대 20fps의 프레임 속도, 최대 40m/s의 개체/카메라 속도. 초당 최대 1,500만 포인트의 3D 포인트 처리량이 가능하다. 또한 256 CUDA 점수를 갖춘 NVIDIA Pascal Architecture GPU를 갖추고 있으며, IP65 등급을 받은 이 제품은 물류, 자동차, 제약 부문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3D 머신비전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양사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 ‘원더버스’ 내 XR 기술 적용한 체험 교육 콘텐츠 기획 및 개발 NHN에듀와 YMX가 메타버스 기반 체험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해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와이엠엑스는 메타버스 가상 공간부터 디지털 트윈까지 구현할 수 있는 기술과 노하우를 지닌 XR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전문기업이다. 제조, 건설, 항공, 국방, 의료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디지털트윈 기술을 활용한 교육 시뮬레이터 등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 중이며 최근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으로 XR 기술을 결합한 메타버스 기반 체험 교육 콘텐츠 기획과 개발에 주력한다. 특히 NHN에듀가 공개한 교육용 메타버스 플랫폼 ‘원더버스’에 탑재될 체험 교육 콘텐츠에 YMX의 XR 기술과 노하우를 더해 생생한 현장감을 구현할 예정이다. 예컨대 디지털트윈 기술로 가상의 공장을 만들면 오프라인 직업체험관인 잡월드에 가지 않고도 설계, 생산 과정에 포함된 현장 기계소리나 이물질 등까지 미세한 부분까지 경험할 수 있다. 체험형 콘텐츠 개발을 위해 양사는 각자가 보유한 XR 기술, 플랫폼, 솔루션, 데이터 등 주요 IT 인프라를 제공하고
코그넥스 코리아는 신제품 DataMan 380(데이터맨 380)을 출시했다. 이 제품은 보다 넓은 시야각과 인공지능 기반 고급 이미징 및 디코딩 기술을 갖추어 제조부터 물류까지 다양한 바코드 스캐닝이 가능하다. 데이터맨380은 이미지 기반 바코드 리더기로 빠르게 지나가는 물류 라인에서 중요한 제품 및 패키지 정보를 캡처하고 추적해, 물류 자동화 라인에서 활용 가능한 유의미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특히 강력한 AI 가속 디코딩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1D 및 2D 코드를 통시에 처리해 제품 및 패키징에 부착된 다양한 바코드를 동시 처리가 가능해 물류 처리량을 높여준다. 사용자는 물류 라인을 최고 속도로 가동하는 동시에 높은 판독률을 유지해 1D /2D QuickSort와 근접한 효과를 느낄 수 있다. 기존 멀티코어 디코딩의 경우 10 스캔/초의 처리량을 가졌다면 코그넥스의 신제품 데이터맨 380의 16MP 디코딩은 18스캔/초의 처리량으로 80% 이상 더 높은 처리량을 소화해 낼 수 있다. 제조 및 물류 라인 전반에 걸쳐 한 대의 바코드 리더기로 더 넓은 시야각을 지원해 처리량을 개선해 준다. HDR+ 기능으로 가려져 있거나 판독하기 어려운 코드를 찾아
DGIST-UNIST-서울대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고 성능의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친환경 양자점 광센서’와 다양한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맥박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맥박 센서'를 선보였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김대형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기술로 만든 친환경 양자점 광센서는 광전압 효과에 의해 외부 전원 없이도 안정적으로 광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공동연구팀은 해당 광센서를 사용해 매우 얇은 ‘피부 부착형 초박막 맥박 센서’도 제작해 다양한 변형에도 안정적으로 맥박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웨어러블 맥박 센서도 소개했다. 최근 인구 고령화, 코로나19와 같은 유행성 질환의 대유행으로 인해, 장기간 몸에 부착해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기존의 실리콘 기반 광센서는 무겁고 딱딱해 장시간 착용이 불편하다는 단점과 함께, 피부와 밀접하게 접촉하지 못해 생체 신호를 정확하게 획득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어 실생활에서 흔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 ‘나노기술의 씨앗’이라고 불리는 양자점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과학자 3인이 노벨
파스토셀프가 중소상공인 온라인 사업을 지원하는 '비즈부스터' 서비스를 오픈했다. 파스토셀프가 아세아제지, 제이블 등과 제휴해 지원하는 비즈부스터 서비스는 택배 박스, 택배 봉투, 기타 부자재를 10% 추가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으며, 전 품목 무료 배송을 제공한다. 또한 일본 상품 소싱 제휴몰을 통해 매월 새로운 일본 상품들을 특가로 구매할 수 있다. 모든 혜택은 파스토셀프 무료 회원 가입 후 비즈부스터 메뉴를 통해 확인 및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6만 회원 돌파 기념으로 진행되었던 8월부터 건당 200원 추가 할인한 ‘CU편의점 택배 특가 이벤트’도 12월 31일까지 연장 운영한다. 파스토셀프에서 CU편의점택배 예약 시 500g 기준 2,890원에서 200원 할인된 2,690원 특가로 이용 가능하다. 파스토셀프 진현우 PO는 “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아임웹 주문이 무료 연동되는 편리함뿐만 아니라 최저가 택배로 10월 현재 7만 명의 판매자들이 파스토셀프를 이용하고 있고, 작년 6월 택배 예약 서비스 오픈 이후 10월 현재 총 택배 발송량이 이미 작년 대비 700% 성장했다. 성원에 힘입어 중소상공인들의 판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혜택을
오아시스마켓은 15일까지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 제품 인지도 확산과 판매 촉진을 위해 전체 직영매장 57곳에서 할인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이란, 농업인과 연계해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기업을 일컫는다. 냉압착 생들기름, 강된장 시래기 표고버섯밥, 아람드리 유자주스, 모짜렐라 치즈가래떡 등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 150여 개 상품을 최대 51% 할인 판매한다. 단, 매장 규모별로 판매 상품은 상이할 수 있다.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으로 진행한다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다. 그동안 온라인몰 위주로 판매하던 것에서 나아가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이 소비자와 직접 마주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오아시스마켓은 2019년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 상품을 처음 선보인 이후 2020년부터 해당 사업을 본격화하며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 상품 전용관 ‘찬들마루’를 개설해 운영 중이다. 전용관 개설 이후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 상품들의 평균 매출이 매년 꾸준히 10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는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오아시스마켓 측은 “이번 행사는 올해 신규 지정된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 상품이 처음으로 소비자에게 선보이는 뜻깊은 자리”라며, “농공상융합형중소기업과 함
코코넛사일로는 자사의 김승용 대표가 ‘제47회 국가생산성대상’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올해 47회를 맞이하는 '국가생산성대상'은 매년 모범적인 생산성 향상 활동으로 탁월한 경영 성과를 창출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한 기업∙법인 및 단체와 유공자를 발굴하는 정부 포상제도다. 코코넛사일로 김승용 대표는 자체 개발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을 통해 물류 생산성 향상 및 국제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등 국가 경제 발전에 이바지했다는 노력과 성과를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코코넛사일로는 ▲빅데이터 기반 자동 가격 제안 ▲동적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 ▲실시간 위치 기반 스마트 혼적 시스템 등의 자체 기술력을 이용한 디지털 물류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는 기업이다. 코코넛사일로는 최적화된 화물 운송 솔루션을 제시해 중소벤처기업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및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비콥(B Corp) 인증 등을 통해 경쟁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헬로티 함수미 기자 |
신도리코가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를 도입해 자사 클라우드 MPS 솔루션 사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신도리코는 퍼블릭 클라우드 운영사로 CJ올리브네트웍스를 선정하고, 기존 자체 서버에서 운영하던 서비스를 AWS로 이관했다.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보다 유연하게 확장해 나갈 수 있도록 개발, 구축, 배포, 관리에 클라우드MPS 서비스를 중단 없이 이어 나가기 위한 ‘네이티브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앞서 신도리코는 대기업 및 공공기관, 정부 기관, 중소사업자 등 다양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서버를 이용한 ‘온프레미스’ 환경에 최적화된 MPS 솔루션을 공급해 왔다. 특히 패스트파이브, 스파크플러스 등 국내 주요 공유오피스 플랫폼 사업자에 클라우드 MPS 솔루션을 제공하면서 시장점유율을 키워왔다. 공유오피스 플랫폼 사업자는 전국 지점 어디에서나 대규모 입주사 사용자들에게 365일 상시 무중단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점에서 무엇보다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필수적이다. 글로벌 1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인 AWS를 이용하게 되면 클라우드 공간을 무한하게 활용하고 스마트 업무환경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도리코 클라우드 MPS
씨큐비스타가 '한국의 실리콘밸리' 성남시 판교 소재 신사옥으로 본사를 확대 이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본사 확대 이전은 조달청 공공시장 및 수출 수요가 늘어나 연구개발 인력과 영업, 지원 인력을 확충하기 위함이다. 씨큐비스타는 업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위협헌팅 시스템 '패킷사이버(PacketCYBER)'와 NDR·FDR 원천기술을 보유한 사이버 보안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으로, 한국 및 일본의 공공기관과 금융기관, 국가기관 등에 채택돼 최고의 보안솔루션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패킷사이버는 씨큐비스타가 독자 개발한 차세대 NDR·FDR 기술을 접목시켜, 시스템 전반에서 실시간으로 해킹 공격 행위를 찾아 제거하고 모든 파일을 추출·분석·탐지하는 강력한 NDR·FDR 기반 보안솔루션으로 손꼽힌다. 소프트웨어 품질인증(GS) 1등급을 획득했고, 국내 최초 위협탐지 및 대응 플랫폼으로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돼 있다. 씨큐비스타는 "패킷사이버가 높은 수준의 보안전문가가 아니어도 쉽고 편리하게 지능형 위협을 관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 플랫폼으로, 조달청을 통해 공공 보안 시장에 진출한 후 관제센터나 공공분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패킷사이버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