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0만주, 공모금액 176~240억 원 규모 “공모금 통해 R&D 경쟁력, 글로벌 파트너십, 마케팅 등 강화할 계획” 웨어러블 로봇업체 엔젤로보틱스가 증권 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입성의 신호탄을 쐈다. 엔젤로보틱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총 160만주를 공모할 예정이다. 공모 희망가 범위는 1만1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176~240억 원 규모로 알려졌다. 수요예측은 내달 6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되고, 같은 달 14일부터 양일간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청약을 실시한다. 엔젤로보틱스는 지난 2017년 설립 이후 보행재활(MEDI), 산업안전(GEAR), 일상 보조(SUIT), 로봇 부품(KIT) 등 영역에서 활용되는 웨어러블 로봇을 다루고 있다. 이 중 재활 로봇 엔젤렉스 M20은 전국 병원 70여 곳에 공급돼 환자 재활 훈련에 활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엔젤로보틱스 매출은 지난 2021년 8억 원, 2022년 22억 원, 지난해 3분기 누적 37억 원 등 우상향을 기록하는 중이다. 엔젤로보틱스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온기 매출액은 약 51억 원이 예상된다. 공경철 엔젤로보틱스 대표이사는 “이번 상장으로 확보되는 공모급을 통해 연
환경·투자실적·핵심기술·지적재산권·경쟁력 등 기준 비전 AI 역량 인정받아 “R&D 기술 개발에 최선 다할 것” 비전 AI 기술 업체 인텔리빅스의 영상 정보처리 연구소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주관 ‘우수기업연구소’로 선정됐다. 우수기업연구소는 연구개발(R&D) 역량 및 기술혁신성과를 기준으로 우수 기업 연구소를 선정하는 제도다. R&D 환경, 핵심기술, 지식재산권, 시장경쟁력 등 역량 평가와 발표·현장 평가, 종합심사를 거쳐 우수기업연구소를 지정한다. 해당 제도에 선정된 기업은 정부포상, 국가 R&D 사업 가점 부여 등 혜택을 받는다. 이번에 우수기업연구소에 선정된 인텔리빅스 영상 정보처리 연구소는 전체 인력 중 65%가 연구 관련자로 구성됐다. 비전 AI 분야 R&D를 통해 영상분석 솔루션 상용화에 성공한 바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해 화재, 보안, 교통사고, 사회문제 등 각종 이슈를 탐지·전파할 수 있다. 현재 국내 100여 개 지자체·공공기관·민간조직 등에 지능형 CCTV 솔루션이 제공됐다. 최은수 인텔리빅스 대표이사는 “인텔리빅스는 이번 우수기업연구소 지정을 계기로 세계 수준의 AI 영상분석 전문 기업을
‘EXT 타이탄’ 론칭 세미나서 펠릿 압축 기술 선보여 펠릿 비롯해 필라멘트 압출 노즐, 3축 가공 스핀들 등 신규 추가 사양 소개 실제 해외 도입 사례 통해 활용성 강조 2020년대 들어 메타버스·협동로봇·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거듭 출몰한 트렌드 기술에 가려 주목도가 다소 하락한 모습의 3D 프린팅. 이에 반해 정부는 14대 뿌리기술로 3D 프린팅 기술을 선정해 제조 영역 내 3D 프린팅 기술 도입을 장려하고 있다. 특히 3D 프린팅 기술은 항공우주·로봇·의료·자동차·전기전자 등 고부가 산업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장하는 모양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밴티지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전 세계 3D 프린팅 시장은 약 130억 달러(약 17조3000억 원) 규모를 기록했다. 이어 연평균 성장률(CAGR) 17.8%를 도출하며 오는 2030년에는 약 480억 달러(약 64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이렇게 성장성이 확보되면서도 고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3D 프린팅 기술은 원자재 및 소재, 도입 및 운용 비용, 효율성 등 제고해야 할 숙제를 안고 있다. 여기에 펠릿 압출 기술이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3D 프린팅 기술 업체 3D
주제 : 스마트물류를 위한 RFID 발표 : 에이펄스테크놀리지 김남중 대표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주제 : 스마트이력추적과 RFID 발표 : 에일리언테크놀로지아시아 염동석 과장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주제 : 스마트제조를 위한 RFID 발표 : 지브라테크놀로지스 김재오 매니저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주제 : 스마트자산관리를 위한 RFID 발표 : 보아스소프트 정영호 대표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캡스톤파트너스, 인터베스트, SV인베스트먼트, 이그나이트 이노베이션 등 투자 참여 누적 투자 유치 약 197억 원 달성 로봇 키친 스타트업 에니아이가 약 157억 원 규모의 프리 시리즈 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국내 벤처 캐피털 인터베스트의 주도하에 SV인베스트먼트를 비롯해 영국 투자사 이그나이트 이노베이션 등이 참여했다. 여기에 기존 투자사 캡스톤파트너스도 후속 투자를 이었다. 이에 따라 에니아이가 모집한 총 투자금은 약 197억 원으로 알려졌다. 에니아이는 해당 투자 유치 성공에 대해 국내 및 미국 햄버거 시장에서의 사업 성과를 핵심 배경으로 꼽았다. 현재까지 국내외 7개 햄버거 브랜드에 조리로봇 ‘알파 그릴’을 공급했고, 여러 햄버거 프랜차이즈로부터 선주문 500대를 확보한 상태다. 아울러 미국 햄버거 프랜차이즈 두 곳과 알파 그릴 공급을 위한 비밀유지계약(NDA)을 체결한 후 파일럿 테스트 중이다. 에니아이는 이번 투자를 통해 알파 그릴 생산공장 ‘팩토리 원(Factory One)’ 가동을 본격 시행한다. 더불어 향후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AI) 기술을 로봇 비전 센서와 융합한 조리 품질관리 기술을 선보일 예정이다. 황건필 에니아이
생성형 AI, AI 비전, AICC, AI 데이터 등 AI 공동 사업 추진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업체 코난테크놀로지와 SK텔레콤(이하 SKT)가 AI 기술 고도화에 뜻을 함께했다. 양사는 지난 2022년 10월 AI 기술협력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데 이어 앞으로도 함께 협력해 AI 사업을 위한 협력체계를 공고히 할 계힉이다. 이번 업무협약(MOU)을 통해 생성형 AI, AI 비전, 인공지능 고객센터(AICC), AI 데이터 등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김영섬 코난테크놀로지 대표이사는 “양사 간 공동 사업 기회 발굴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AI 시장 선도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코난테크놀로지는 지난해 8월 거대언어모델(LLM) ‘코난 LLM’을 출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대한민국 초거대 AI 출정식에서 AI 기술을 선보인 바 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오토닉스 안전 시스템, 국제 안전 규격 ‘SIL 3’ 인증 “기술 및 역량 인정받은 것...기술 자립 위한 선도형 R&D 지속하겠다” 자동화 기술 업체 오토닉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주관하는 ‘IR52 장영실상’을 획득했다고 알렸다. IR52 장영실상은 대상 연도를 기준으로 매주 하나의 기술 혁신 기업을 선정하는 시상제도다. 오토닉스는 세이프티 시스템 기술을 통해 올해 제4주 차 IR52 장영실상의 주인공으로 선정됐다. 이 세이프티 시스템은 국제 안전 규격 SIL 3 등급을 받은 기술로, 자동화 현장에서 작업자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는다. 해당 시스템은 지난 2020년 처음 론칭한 전기 감응 방호 장치 ‘세이프티 라이트 커튼’을 시작으로, 컨트롤러·도어 시스템·스위치·전용 소프트웨어 등 제품군을 확장해왔다. 세이프티 시스템은 외산에 의존했던 기존 흐름에서 원천 기술 기반으로 국산화에 성공한 혁신 제품으로 평가받는다. 오토닉스 관계자는 “이번 수상은 독자적인 기술 및 역량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이어 “오토닉스는 앞으로도 기술 자립을 위한 선도형 연구개발(R&D) 정책을 통해 국내 자동화 산업을 이끌 계획”이라고 부
‘IT 내부통제 시스템’ 개발에 뜻모아 금융권 고객 개인정보 탈취, 내부 횡령사고 예방 등 효과 기대 보안 업체 씨큐비스타와 정보보호 솔루션 업체 나일소프트가 각 기업 및 조직 내부자 위협에 대응하는 보안 솔루션 ‘IT 내부통제 시스템’ 공동개발에 나선다. 내부자 위협은 조직 내 내부자가 시스템·네트워크·데이터 등에 대한 접근 권한을 오남용해 조직 내부 정보를 훼손하는 행위다. 양사는 이 내부자 위협에 대응하는 ‘IT 내부통제 시스템’ 개발을 위해 협력한다. 시큐비스타는 자사 NDR·FDR 보안 시스템 ‘패킷사이버’를 통해 조직 네트워크 통신 영역과 파일을 분석한 후 외부 해킹에 대응한다. 나일소프트는 UEBA 및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조직 정보 이상을 탐지하는 ‘IT 내부통제 이상징후 시스템’을 보유했다. 이 같은 보안 취약점 분석 관련 원천기술을 토대로 IT 내부통제 시스템 개발에 힘을 보탠다. 시큐비스타의 패킷사이버는 조직 내 모든 양방향 통신 및 기록, 30여 종의 주요 프로토콜을 실시간으로 수집·분석해 현황을 제시한다. 또 고속 검색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이슈를 탐지한다. 전덕조 씨큐비스타 대표는 “양사 솔루션을 융합해 내부자 위협을 원천 차단하
CES 2024 출품작 ‘오토 트래킹 스탠드 프로’부터 스탠드·패드·보조배터리 등 모바일 무선 충전 솔루션 ‘Qi2’ 제품군 공개 2020년대 들어 전 세계 연평균 출하량 약 12억 대 규모의 스마트폰 시장. 이렇게 전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스마트폰 시장 양상에 따라 충전 기기·케이스·보조배터리 등을 아우르는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도 반사이익을 도출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인포메이션(Global Information Inc)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모바일 액세서리 산업 규모는 연평균 성장률(CAGR) 6.8%를 기록하며, 2030년 약 1500억 달러(약 200조 원) 규모에 달할 전망이다. 현재 전 세계에는 다양한 형태로 설계된 모바일 액세서리 제품이 활동 중이다. 그러다 보니 성능·내구성·불량 등 제품 관련 이슈가 동반된다. 이에 모바일 액세서리 제조사는 제품 신뢰성 확보를 위해 각종 인증을 제품에 녹여내 출시한다. 1983년 설립된 모바일 액세서리 업체 벨킨은 지난 2010년 무선전력컨소시엄(WPC)이 지정한 치(Qi) 규격을 내놨다. 이 규격은 최대 5W급 무선 충전 표준인 BPP(Baseline Power Profile)을 기반으로 한 무선
국내외 시장 토큰 증권 발행·유통 관련 협력체계 구축 협의체 ‘에셋 얼라이언스’, 핀헤이븐 플랫폼 통해 加 토큰 증권 발행 “토큰 증권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할 것” 토큰 증권 플랫폼 업체 핀헤이븐과 한국ST거래가 국내외 시장에서 토큰 증권 발행 및 유통을 위해 손잡았다. 양사는 이번 협력체계 구축을 기반으로, 한국ST거래가 설립한 토큰 증권 협의체 ‘에셋 얼라이언스(Asset Alliance)’ 구성원이 캐나다 등 해외 시장에서 핀헤이븐 플랫폼을 통해 토큰 증권을 발행하는 데 뜻을 같이했다. 핀헤이븐 관계자는 “국내 토큰 증권 시장 개설이 지연되면서 캐나다로 관심이 옮겨진 가운데, 핀헤이븐의 플랫폼의 활용해 캐나다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토큰 증권을 발행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양사는 향후 한국 토큰 증권 시장이 활성화되면, 핀헤이븐과 관련한 해외 사업자가 한국 시장에서 토큰 발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핀헤이븐은 2021년부터 캐나다에서 토큰 증권 발행·거래 플랫폼 ‘핀헤이븐 프라이빗 마켓’을 운영 중이다. 캐나다 내 부동산 리츠, 비상장 기업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토큰 증권 발행을 도맡았다고 평가받는다. 김도형 핀헤이븐
경상이익 1020억 원, 순이익 776억 원 달성 물류기기 풀링 및 SCM 사업서 두각 로지스올 그룹이 지난해 달성한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 2조583억 원, 경상이익 1020억 원, 순이익 776억 원이다. 로지스올 그룹은 이번 실적의 배경으로 물류기기 풀링 및 SCM 사업 확대와 원가 개선 노력을 꼽았다. 구체적으로, 국내 전 산업군 30여만 고객사에 KKP 파렛트 2730여만 매, KCP 컨테이너 5000여만 매 등 풀링 시스템을 공급했고, 맞춤형 물류 솔루션 개발 및 서비스도 이번 성과 달성에 한몫한 것으로 분석됐다. 아울러 말레이시아·튀르키예 등 해외법인을 설립하고, 전 세계 100여 개 물류거점 기업에 IoT 기반 RRPP(Recycled, Re-usable Plastic Pallet), 접이식 IBC(FOLDPAC), 접이식 해상 컨테이터(FOLDCON), 이차전지 패키징 폴링 등을 제공한 글로벌 사업 경쟁력 제고 전략도 성장의 밑받침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올 그룹은 이 밖에 이커머스 풀필먼트 및 유통물류 시장에 진출하고, 물류장비 임대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해 신규 법인 ‘로지스올렌탈’을 설립해 지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물류 및 청소 로봇 필두로 전년 대비 200%↑ “로봇 생태계 건강성 회복과 로봇 자동화 확산에 주력한 해” 로봇 솔루션 업체 마이로봇솔루션(이하 마로솔)이 지난해 300여 건에 달하는 로봇 자동화 솔루션을 국내 기업에 제공했다. 이는 전년대비 200% 상승한 수치다. 마로솔이 공급한 300여 건의 사례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분야는 물류·서비스다. 물류 분야에서는 상품 분류, 입출고, 운반 등 다목적 공정에서 물류 로봇이 활약했다. 특히 공장·대형 물류창고·공항·항만·병원 등에서 주로 활용되는 중이다. 이어 마로솔 서비스 로봇은 지난해 청소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했다. 반도체 공장·병원·대형 쇼핑몰·호텔 등에서의 활용 사례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전년대비 500% 증가한 성과다. 마로솔 관계자에 따르면 마로솔 청소로봇은 자율주행 모델 라인업도 갖춰져있어 활용 시 자율성이 보장됐다. 김민교 마로솔 대표는 “2023년은 국내 로봇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과 로봇 자동화 확산에 주력한 해”라고 평가했다. 이어 “올해는 통합 로봇 관제 솔루션 ‘솔링크’의 고도화 및 보급 확대에 역량을 동원해 로봇 활용도를 높이는 데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헬로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