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 로봇·3D 라이다 융합 공정 혁신 데모로 참관객 ‘이목 집중’ 쿠카로보틱스와 의량일렉트릭이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에 공동 부스를 꾸렸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양사는 부스에 쿠카로보틱스 산업용 로봇과 의량일렉트릭 3D 모델링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기술을 선보였다. 의량일렉트릭 관계자에 따르면, 이 기술은 로봇 끝단(End Effector)에 3D 라이다
망치, 삽, 니퍼, 커터, 롱노우즈, 드라이버, 임팩트·스크류 드라이버, 임펙트 렌치, 글루건 등 공구 제품 총망라 공구 솔루션 업체 파니코(PANRICO)가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에 출전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파니코가 이번 전시장에서 선보인 공구 솔루션은 망치부터 무선 제품군까지 다양하다. 망치, 삽, 니퍼, 커터, 롱노우즈, 드라이버, 임팩트·스크류
대만 하드웨어 페스티벌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가 개막했다. 개막 첫날에는 참관객·참가기업·VIP 등이 한데 모여 행사를 즐겼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화민국금속상업총회(Nat
다이완용(Amelia W.J.Day)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 사무총장이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 주요 내빈 투어에서 참가기업 및 참관객과 소통하고 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 주요 내빈이 개막식 이후 전시장 투어에 참석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화민국금속상업총회(National Joint Association of Hard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 주요 내빈이 개막식에서 3일 동안 이어질 혁신을 기대하고 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화민국금속상업총회(National Joint Association
주요 내빈이 참석한 가운데 ‘대만 국제 하드웨어 박람회(Taiwan Hardware Show 2024, THS 2024)’ 개막식이 진행되고 있다. 이달 23일(현지시간) 대만하드웨어쇼가 대만 타이베이 소재 타이베이 난강 전시장(Taipei Nangang Exhibition Center) 2홀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올해 전시회는 공구·툴·하드웨어가 전하는 혁신 방안을 소재로 열렸다. 이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인도, 인도네시아, 홍콩, 베트남, 이탈리아, 체코, 대만 등 10개국에서 300여 개사가 출격했다. 이들 300여 업체는 기계 및 플랜트 장비, 전동공구, 패스너·피팅, 하드웨어 액세서리, 건축자재, 배관 솔루션, 정원 장비, 자동차 용품, 안전 솔루션 등 하드웨어 관련 기술을 전 세계 산업에 소개했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전 세계 2만5000여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찾았다. 올해 박람회 첫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카이고(Kaigo), 대만 경제부 국제무역청(Secretary general of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중화민국금속상업총회(National Joint Association of Har
자체 제작 로봇 하드웨어 ‘브릴스 로봇 시리즈’ 첫 공개 산업용 로봇, 일반·특수 협동로봇, 하이브리드 자율주행로봇 등 내세워 “R&D, 기술 혁신에 앞장...로봇 도입 장벽 허물겠다” 브릴스가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에 참가해 각종 로봇 기술을 한자리에 배치한다. 로보월드는 산업용 로봇부터 휴머노이드 로봇까지 로봇 업계의 과거와 미래가 한데 펼쳐지는 로봇 축제다. 올해 전시회는 이달 23일 경기 고양시 전시장 킨텍스에서 열린다. 브릴스는 이번 행사에서 교육용 로봇, 자율주행로봇(AMR), 협동로봇 팔레타이징 솔루션, 인공지능(AI) 기반 관제 로봇 솔루션 등을 소개한다. 특히 이번 전시장의 하이라이트는 ‘브릴스 로봇 시리즈(BRS 시리즈)’다. 이 시리즈는 브릴스가 최초로 선보이는 로봇 라인업으로,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킬 계획이다. BRS 시리즈는 산업용 로봇, 협동로봇, 특수형 로봇, 하이브리드 AMR로 구성된 브릴스의 신규 로봇 라인업이다. 산업용 로봇 제품군은 4kg부터 210kg까지의 가반하중을 갖췄다. 브릴스는 현장 내 로봇 설치 및 배치가 용이하도록 해당 라
산업 내 기술이 지속 고도화됨에 따라, 품질 완성도는 선택의 기준을 넘어 기업 가치를 판단하는 척도가 됐다. 이러한 기술 관점의 트렌드는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산업 및 소비 측면에서의 체질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는 사용자 입장에서 개인화·맞춤화가 가능한 재화를 도출한다는 점에서 더욱 완성도 높은 품질을 요구한다. 제조업은 이 같은 혁신 사례를 경험하면서 품질 최적화, 수율 극대화라는 새로운 미션을 내재화했다. 설계단은 모든 가치 생산 활동의 기초공사 단계인 만큼, 시대가 변화할수록 수준 높은 기술적 면모를 필요로 한다. 컴퓨터지원설계(Computer Aided Design 이하 CAD)는 설계단의 디지털화 시대를 연 개척 기술이다. 인간이 직접 도면을 작성해 설계한 공정을 컴퓨팅 기술 기반 그래픽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현하는 설계 혁명 기술이다. CAD 등장 초반에는 2차원(2D) 도면을 그리는 용도로 활용됐지만,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이 급격하게 고도화되면서 입체 형상인 3차원(3D) 모델링이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했다. CAD 시장은 이 양상을 기반으로 유례없는 성장을 거듭하는 중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
불과 2년 전, 오픈AI(OpenAI)가 내놓은 챗GPT(ChatGPU)는 차세대 ‘인공지능(AI)’이라는 소용돌이 속에 전 세계를 몰아넣었다. AI가 새로운 먹거리이자 미래 방향성으로 급부상한 것이다. 이러한 AI는 인류에 편의와 효율을 제공하는 매개임과 동시에, 인간의 각종 권리를 침해할 수도 있는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미국·유럽연합(EU) 등은 AI가 무분별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갖가지 ‘안전장치’를 발표했다. 미국은 ‘안전·보안·신뢰를 보장하는 AI 개발 및 사용에 대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the Safe, Secure, and Trustworthy Development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을 내놨다. EU도 올해 초 결이 유사한 ‘AI 법(AI Act)’의 통과를 공표했다. 앞선 법안은 성장에만 맞춰진 AI 업계의 시각을 우회해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점이 특징이다.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안전성·보안성·신뢰성·윤리성·투명성 등이 확보된 ‘설득력’ 있는 AI를 전 세계에 전파하겠다는 방향성이 내포돼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흐름에 합류해
불과 2년 전, 오픈AI(OpenAI)가 내놓은 챗GPT(ChatGPU)는 차세대 ‘인공지능(AI)’이라는 소용돌이 속에 전 세계를 몰아넣었다. AI가 새로운 먹거리이자 미래 방향성으로 급부상한 것이다. 이러한 AI는 인류에 편의와 효율을 제공하는 매개임과 동시에, 인간의 각종 권리를 침해할 수도 있는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미국·유럽연합(EU) 등은 AI가 무분별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갖가지 ‘안전장치’를 발표했다. 미국은 ‘안전·보안·신뢰를 보장하는 AI 개발 및 사용에 대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on the Safe, Secure, and Trustworthy Development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을 내놨다. EU도 올해 초 결이 유사한 ‘AI 법(AI Act)’의 통과를 공표했다. 앞선 법안은 성장에만 맞춰진 AI 업계의 시각을 우회해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한 점이 특징이다. 기술적 측면뿐만 아니라 안전성·보안성·신뢰성·윤리성·투명성 등이 확보된 ‘설득력’ 있는 AI를 전 세계에 전파하겠다는 방향성이 내포돼 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흐름에 합류해
가반하중 5kg, 기체 무게 10kg 협동로봇 ‘HCR-5W’ 공개 “설치 용이성, 작업 유연성 확보한 솔루션...용접 작업에 최적화돼” 협동로봇·AMR 연계 자동화 시스템도 함께 전시해 이목 집중 한화로보틱스가 ‘2024 창원 국제 용접 및 절단 자동화전(Korea International Welding & Cutting Automation Show 2024 이하 웰딩코리아)’에 참가해 경량화 협동로봇 ‘HCR-5W’ 등 자동화 솔루션을 공개했다. 웰딩코리아는 이달 15일부터 나흘간 경남 창원 소재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용접·절단 기술 전시회다. 한화로보틱스가 이번 전시장에서 선보인 HCR-5W는 기존 가반하중 5kg 모델 ‘HCR-5A’ 대비 기체 무게를 줄인 제품이다. 무게 10kg, 가반하중 5kg으로, 용접 작업에 최적화된 기체다. 아울러 기존 대비 고도화된 안전 기능을 탑재해 협동로봇 고유의 가치를 발휘할 전망이다. HCR-5A는 이러한 설계를 바탕으로 직관적인 설치와 공정 도입의 유연성 등 이점을 제공한다. 이번 한화로보틱스 부스에는 협동로봇과 자율주행로봇(AMR)이 접목된 데모가 전시돼 참관객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AMR이 특정 목적지
31만 건, 7억7799만 주 몰려...경쟁률은 1037대 1 “서비스 로봇 SW 통해 산업 성장에 기여할 것” 클로봇이 코스닥 상장 직전 진행된 일반청약에서 증거금 5조570억 원을 달성하며 상장에 청신호를 밝혔다. 클로봇은 이달 16일부터 이틀 동안 일반 청약을 진행했다. 그 결과 경쟁률 1037대 1, 건수 31만 건, 수량 7억7799만 주를 기록했다. 특히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2414개 국내외 기간이 참여했는데 이 중 95.3%가 1만3000원 이상의 희망공모가를 제시했다. 김창구 클로봇 대표이사는 “상장 이후 다양한 로봇 하드웨어와 연동되는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를 지속 고도화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선제적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시장 영향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클로봇은 범용 자율주행 솔루션 ‘카멜레온(Chameleon)’, 이기종 통합 관제 솔루션 ‘크롬스(Croms)’ 등 원천기술 기반 서비스 로봇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보유했다. 현재 제조·물류·운송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130여 개 고객사를 확보해 순항 중이다. 아울러 미국 로봇공학업체 보스턴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인천국제공항 등과 파트너십
IROS 2024 참가해 20관절 5지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 ‘DG-5F’ 최초 공개 “휴머노이드 로봇 활용 가치 극대화에 시작점 될 것” 테솔로가 ‘국제 지능화 로봇·시스템 콘퍼런스(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이하 IROS 2024)’에 참가해 그리퍼 신모델 ‘델토 그리퍼-5F(DG-5F)’을 처음 선보였다. IROS 2024는 이달 14일(현지시간)부터 닷새간 열리는 글로벌 로봇학회다. 미국전기전자기술협회(IEEE), 일본로봇공학회(RSJ)가 글로벌 로봇 엔지니얼 약 4000명을 초청해 개최했다. 테솔로가 이 자리에서 최초 공개한 DG-5F는 20관절 5지 휴머노이드 로봇 핸드로, 그리퍼 영역에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평가받는다. 도구 기반 공정, 물체 조립·분해 작업 등 기존 수작업 기반 프로세스를 대체하는 자율화 모델로 기대받고 있다. 김영진 테솔로 대표는 “현재 로봇 업계는 완전 무인화 현장을 위한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중”라며 “DG-5G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활용 가치를 극대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한편, 테솔로는 오는 23일
차세대 로봇의 새로운 시각...'산업자동화를 위한 로봇 활용 세미나' 열린다 로봇 업계 연례 페스티벌 ‘2024 국제로봇산업대전(International Robot industry Show 이하 로보월드)’ 개막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달 23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올해 로보월드는 ‘서비스형 로봇(Robot as a Service, RaaS)’이라는 업계 트렌드를 반영해 관련 최신 비전을 제시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로보월드에는 각종 부대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이 중 ‘산업자동화를 위한 로봇 활용 세미나’는 디지털 전환(DX) 트렌드에 발맞춘 로봇 융합 서비스·솔루션·플랫폼 등을 소개하고, 로봇이 제조·물류 등 국내 주력 산업에 제시하는 방향성에 대해 다룬다. 특히 인공지능(AI), 정보통신기술(ICT),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머신러닝(ML) 등 로봇 솔루션 고도화에 관여하는 차세대 기술과의 연계 방법론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물류센터 등 인프라 확립에 더해 ‘자율제조(Autonomous Manufacturing)’ 체제 실현에 대한 방안을 공개한다. 이번 세미나는 로보월드 개막 기간 중 이달 25일 킨텍스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