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테스코 e-모빌리티 역량과 DHL 물류 노하우 융합 지속가능성·공급망 견고화·회복탄력성 확보 도모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이하 비테스코)가 DHL 서플라이 체인(이하 DHL)이 주요 물류 파트너(LLP) 파트너십을 맺고 물류 분야 지속가능성·회복탄력성·효율성 등 제고에 나선다. 비테스코는 앞선 3월부터 유럽 12개 지사 물류 물량을 폴란드 바르샤바 소재 DHL LLP 센터에서 처리하고 있다. 이 공장은 유입되는 물품부터 고객에게 인도되는 물품까지 전주기로 다루고 있다. 비테스코 관계자에 따르면 이는 비테스코 전체 화물량의 30% 이상에 달한다. 이 관계자는 “DHL의 중앙 집중적 화물 프로세스는 운송 경로의 투명성을 극대화하면서도, 친환경적 운송 수단을 활용해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감소시킨다”라며 “비테스코의 e-모빌리티 분야 전문성과 전기차 관련 물류를 처리하는 DHL의 노하우가 만나 시너지를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토마스 키르허마이어(Thomas Kirchermeier) 비테스코 공급망 관리 총괄은 “우리 비즈니스의 주요 동력은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지속가능한 기술 개발과 생산”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속 가능한 물류 솔루션은 이를 위한 중요한
기술 간 접목과 융합이 하나의 핵심 어젠다로 떠오름에 따라 ‘연결성(Connectivity)’가 지속 강조되고 있다. 이에 커넥티비티를 관장하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기술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중이다. ICT는 사람 간, 사람과 사물 간, 사물 간의 연결을 최적화하는 ‘완성형 초연결’를 지향한다. 이런 ICT 기술은 수많은 요소가 연결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데 인프라를 제공할 전망이다. 여기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 등 개념이 ICT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면서 해당 요소가 비전 실현의 주춧돌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더불어 로봇·인공지능(AI)·디지털 트윈 등 차세대 기술과의 접목이 진행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2022년 ICT 기업 연구개발(R&D)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국내 ICT 기업의 R&D 투자 규모는 52조8900억 원에 달해 모든 산업 분야 기업의 R&D 투자 비용 89억4200억 원의 약 60%가량을 차지했다. 그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호 한국경제신문사장, 강병준 전자신문 사장 등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기아 부스에 방문해 전기차(BEV) 모델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참관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호 한국경제신문사장, 강병준 전자신문 사장이 LG전자의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부스 외부에 전시된 미래형 자동차 'LG 알파블(LG αble)'에 탑승해 미래 모빌리티를 시연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LG전자 부스에 방문해 새로운 형태의 가전기기 신기술을 경험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술과 더불어 디지털 트윈(Digital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으로 초청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소위 ‘각그랜저’로 언급되는 그랜저에 탑승해 카폰 이용 모습을 재현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통신 40년’ 역사를 맞이한 SKT 부스에 방문해 기록을 축하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술과 더불어 디지털 트윈(Digita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전시회에 출격한 주요 기업의 의지를 고무하는 차원에서 전시부스를 방문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술과 더불어 디지털 트윈(Dig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으로 초청된 홍진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장이 이번 전시회에 참가한 업체 관계자의 설명에 집중하고 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술과 더불
'전시 주관사' 강병준 전자신문 사장이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으로 전시장에 방문해 참가기업의 기술을 참관하고 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술과 더불어 디
디지털 혁신에 기여하는 업체가 총망라한 ‘디지털혁신관’에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입장해 기술 설명을 듣고 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술과 더불어 디지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카카오 전시부스에 입장해 기술을 경험하고 있다. 이날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카카오 기술에 대한 질문을 연이어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LG CNS 전시부스를 방문해 기술 시연 중이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술과 더불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및 메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등 2024 월드IT쇼(World IT Show 2024, WIS 2024) 주요 내빈이 전시장에 들어서며 전시회 시작을 알리고 있다. ICT 기술의 향연 ‘2024 월드IT쇼’가 이달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AI가 만드는 일상의 혁신, 월드IT쇼(Innovation in Everyday life, Created by AI)’를 슬로건으로 개막한 이번 전시회는 연결성(Connectivity)가 글로벌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지난해 대비 더욱 확장된 기술을 선보인다. 전시회 주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맡았고, 한국무역협회(KITA)·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대한정보통신연구센터협의회(ITRC)·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경제신문·전자신문·코엑스·케이훼어스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WIS 2024는 ‘뉴노멀시대에 ICT 기술을 선보일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을 캐치프레이즈로 선정한 만큼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에 초점을 맞춰 기획됐다. 이에 ICT 융합 기
고카트 300 옴니 정식 출시...고중량 커스텀 AMR도 함께 선보여 기존 고카트 옴니 라인업 보강과 맞춤형 요소 적용한 고중량 AMR로 선택권 확장 유진로봇이 자율주행 물류 로봇 라인업 ‘고카트(GoCart)’ 신모델 ‘고카트 300 옴니(Omni)’와 가반하중 최대 2톤 ‘고중량 커스텀 AMR’을 시장에 내놨다. 유진로봇이 공개한 신제품 두 종 중 고카트 옴니 제품군은 360°로 가동하는 옴니 휠(Omni Directional Driving)을 이식한 전방향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 제품군이다. 여기에 유진로봇 자체 개발 3D 라이다(LiDAR) 센서, 3D 센서, SLAM, 로봇 관제 시스템(FMS) 등 기술이 접목돼 장애물 감지, 비상 정지, 다중 로봇 제어 등 상황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300 옴니는 가반하중 200kg인 기존 모델 고카트 200 옴니에서 가반하중을 300kg으로 확장해 고중량에 대한 시장 수요를 충족하겠다는 전략으로 출시됐다. 특히 300 옴니에는 45°로 기울어진 롤러 기반 휠을 탑재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이동과 주차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출시를 앞둔 고중량 커스텀 AMR은 최대 2톤에 달하는 적재물까지 다룰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