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술표준원은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로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주문형 음식 배달에 대한 콜드체인 서비스 품질 측정’ 표준안이 프랑스, 독일 등 회원국 대다수의 찬성을 통해 신규작업표준안(NP)으로 채택됐다고 밝혔다. 한국은 주문형 음식 배달 시장에서 세계 1위의 국가로, 코로나19와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인해 급성장하여 2023년 거래액이 26조 4천억 원에 달하고 있다. 또한 음식 배달을 넘어 식료품, 음식, 가정용품 배달서비스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배달 음식의 위생 및 안전 문제는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냉장 및 냉동식품을 안전하게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콜드체인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쿨링 온도, 포장 재료, 밀봉 조건, 저온 유통 라벨링 등의 서비스 항목 및 품질 측정 방법을 표준화하여 국제표준안을 제안하게 되었다. 이번 표준 개발을 통해 주문형 음식 배달 서비스 사업자들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온도 유지 및 식품 안전 목표와 관련된 위험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배달 식품의 유통 중 온도 관리 불량으로 인한 음식물 쓰레기 감소로 지속 가능한 순환 경제에도 기여할 것으
케이엠디바이오(대표 김명훈)는 중소기업벤처부가 주관하는 ‘딥테크 팁스’에 패스트트랙으로 선정되어 지난 1일 과제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케이엠디바이오는 HER2 유방암 표적치료제 개발을 위한 항체접합나노입자(ACNP)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딥테크 팁스는 정부가 유망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발표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민간 투자사가 우수한 창업기업을 선발해 3억 원 이상을 우선 투자하면 정부자금을 매칭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이 가능하도록 연구 개발비, 창업 사업화 및 해외 마케팅 자금으로 최대 17억 원까지 연계 지원이 이루어진다. 딥테크 팁스의 지원금은 기존 팁스의 3배 수준으로, 기술성, 사업성, 글로벌 진출 가능성 등 평가 기준이 매우 까다롭다. 케이엠디바이오가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항체접합나노입자(ACNP) 기술이 적용된 HER2 유방암 표적치료제 개발’이다. 항체접합나노입자는 항암성분을 탑재한 나노운반체와 표적단백질을 접합하여 나노항암제의 장점과 표적항암제의 장점을 융합한 약물전달체로, 기존 항체약물접합(ADC)보다 더 나은 효과와 안전성을 보여줄 것으로
(사)한국생성AI파운데이션(이하 KGAF)이 지난 3일, 경기도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KGAF 2024 워크샵 및 네트워킹 데이’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AI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로 구성된 KGAF 회원사들이 모여 최신 AI 기술 동향과 한국 AI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송세경 KGAF 회장의 강연이 주목을 받았다. 송 회장은 ‘생성AI 산업과 KGAF 글로벌 전략’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며, 한국 AI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통찰을 제시했다. 강연에서 송세경 회장은 생성 AI가 생산성, 속도,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잠재력이 있다고 언급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생성 AI는 기존 AI 기술과 달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방식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국이 이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송세경 회장은 한국의 AI 경쟁력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제시했다. 그는 한국이 AI 산업에서 국제적 역할이 부족하며, 비전 부재로 인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반도
한국요꼬가와전기는 7월 10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BioPlus InterPhex 2024(BIX 2024)에 참가한다. 이 전시회는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는 최대 규모의 글로벌 바이오·제약 전시회로, 지난해에는 8,000명이 넘는 국내외 참관객이 방문하며 ‘세계 최고의 실감 나는 바이오헬스케어 컨벤션’으로 자리매김했다. 올해는 연구개발부터 제조공정, 패키징, 첨단 바이오 및 디지털 헬스케어 등 바이오·제약산업 전반에 관련된 450여 개의 기업이 참여해 더욱 확대된 규모로 운영될 예정이다. 한국요꼬가와전기는 이번 BIX 2024에서 바이오·제약 비즈니스에 필요한 연구 및 제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디지털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전시회 부스 내 데모 공간을 통해 다양한 솔루션의 실시간 시연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특히, 한국요꼬가와는 제조 공정의 자동화된 제어 운영을 위한 분산제어시스템 ‘Centum VP’와 개별 공장의 생산 및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협업정보 서버 ‘CI Server’를 소개할 계획이다. 이러한 제조 관련 솔루션 외에도 실험실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글로벌 산업 자동화 솔루션 전문기업 한국훼스토가 포포인츠 바이 쉐라톤 서울 호텔에서 개최된 제13회 ‘ETG Member Meeting Korea’에 연사로 참여했다. 한국훼스토는 이번 행사에서 공압 제어와 EtherCAT을 결합한 기술적 시너지 사례를 발표하며 주목받았다. ETG(EtherCAT Technology Group)가 주관하는 ‘ETG Member Meeting Korea’는 산업용 이더넷 시장의 최신 동향과 EtherCAT의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사례를 공유하는 연례 컨퍼런스다. 올해로 13회째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는 한국훼스토를 비롯해 삼성전자, ETG의 마틴 로스탄 협회장 등이 연사로 참여해 신기술과 시장 동향을 소개했다. 한국훼스토에서는 마틴 에를레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 총괄과 이현아 공압 제어 제품 매니저가 발표를 진행했다. 이들은 공압 제어와 EtherCAT을 결합해 기술적 시너지를 극대화한 사례를 공유했다. EtherCAT은 기존에 모터 컨트롤러와 함께 널리 사용됐으나, 한국훼스토는 여기에 공압 제어 기술을 결합해 높은 정밀도, 빠른 제어, 낮은 전력 소비 등의 피에조 기술 장점을 극대화했다. 이는 EtherCAT의 빠르고 효율적인
보안AI 전문업체 제이에스아이랩(JSI LAB, 대표 하태용)이 Auto ML 기반 위협대응 솔루션인 ‘X-ITM 1.0’을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제이에스아이랩은 보안 전문가와 AI 전문가들이 융합하여 설립된 회사로, 기존 보안 기술과 AI 기술의 결합을 통해 사이버 보안 분석 및 AI 기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X-ITM 1.0은 트랜스포머 기반 보안 이벤트 예측, 딥러닝 기반 이미지 인식을 통한 해킹 탐지, 통계 기반 예측을 통한 보안 사고 예측, 비지도 학습을 통한 미인지 패턴 예측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솔루션은 기존 ESM이나 SIEM 시스템과 통합되어 보안 이벤트의 정확성을 높이고 알려지지 않은 패턴을 유추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 풀 패킷 캡처를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 위협 헌팅 시스템으로, 네트워크의 이상 행위 분석을 자동화하여 신뢰성 높은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제이에스아이랩의 하태용 대표는 “X-ITM은 기존 X-Chat과 융합되어 보안관제센터에서의 시큐리티 코파일럿 구현을 목표로 설계됐다”며 “한국 보안 시장의 특성과 인프라에 맞는 AI 기반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여 국내 AI 기반 보안 시장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고압반·저압반·전력 관리 시스템에 대한 사업 협력 강화 전략적 시장 개발로 솔루션 차별화 통한 시너지 창출 기대 ABB는 조선 기자재 업체 에스엔시스(S&SYS)와 고압배전반 주력 모델 UniGear ZS1 Marine version Power Parts에 대한 채널 파트너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 2월 체결된 저압·고압 배전반, 전력 관리 시스템 적용 확대 협약 이후, 양사 간의 협력 강화를 통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ABB의 UniGear ZS1은 다양한 선급 인증을 획득한 제품으로, 선박 및 해양 플랫폼 등 복잡한 환경에서도 수십만 대 이상 설치되어 그 안정성을 입증한 바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ABB는 UniGear ZS1 Marine version Power Parts를 에스엔시스에 공급하며, 에스엔시스는 부산 공장에서 저압 컴파트먼트를 조립 후 완제품을 고객사에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프로젝트 요구 조건에 따라 ABB의 저압 배전반 MNS 등의 배전 솔루션도 함께 공급할 계획이다. 에스엔시스는 ABB 고압 진공 차단기 VD4를 적용해 자체 개발한 배전반을 LNG 선박 등에 성공적으로 납품하고 있으
보쉬 전동공구 사업부가 전문가용 충전 대패 ‘GHO 18V-26 Professional’을 새롭게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교체 방식의 신형 우드 레이저 절단날을 적용하여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정밀한 작업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GHO 18V-26 Professional’은 알루미늄 베이스 플레이트와 깊이 조절 플레이트가 정밀하게 정렬되어 작업 중에도 대패가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정확한 위치와 깊이로 절단할 수 있어 손쉬운 평면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모터 내 마찰이 없는 브러시리스 모터를 탑재하여 강력한 파워와 긴 작동 시간을 자랑한다. 쾌적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위한 ‘이중 톱밥 배출 방식’도 도입됐다. 사용자는 왼쪽이나 오른쪽에 청소기를 연결하거나 목재 톱밥을 배출할 수 있어 작업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각재 및 기타 목재 부품들을 조정하고, 목재를 매끈하게 다듬는 작업에 최적화됐다. 특히 대패 작업, 홈 가공, 도어 피팅 및 모서리 챔퍼링 작업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브레이크’와 ‘정속도 유지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모터 브레이크는 공구의 작동을 중지
미들웨어 전문기업 위베어소프트(대표 장영휘)가 최근 한양대학교 기술지주회사로부터 Seed 투자를 성공적으로 유치했다고 3일 발표했다. 또한 후속 투자 2건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위베어소프트의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지원하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베어소프트는 오랜 미들웨어 기술 경험을 바탕으로 Rust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해 ‘OSORI API Gateway 및 Management’ 솔루션을 자체 개발했다. Rust는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난 프로그래밍 언어로, 미 백악관에서도 권고하고 있으며, Microsoft, Google, Meta, AWS 등 주요 기업들이 적극 도입하고 있는 언어이다. 위베어소프트의 OSORI 제품은 작년 D 금융사의 PoC를 통해 Java로 만들어진 제품 대비 성능이 78% 이상 뛰어나고, 메모리 사용은 87% 절감되어 안정성을 확보했다. 특히, API 사용량 제한 등의 보안 및 변경사항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특허로 등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API 사용자와 제공자 모두를 위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위베어소프트는 GPT, Gemini, Claude와 같은 인공지
지난 6월 11일, 산업 자동화 분야의 주요 조직들이 협력하여 PA-DIM(Process Automation Device Information Model) Version 1.1 사양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는 FDT Group, FieldCommGroup, ISA 100 WCI, NAMUR, ODVA, OPC Foundation, PROFIBUS 및 PROFINET International, VDMA 및 ZVEI 등이 참여했다. 이들 공동 소유자는 산업 사용자 및 공급업체 제조 커뮤니티에 큰 도움이 될 이번 새로운 릴리스를 통해 공정 분석기에 대한 확장된 장치 유형 지원과 새로운 확장을 통한 향상된 기본 계층 구조를 제공하게 됐다. PA-DIM 사양의 주요 목표는 프로세스 자동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정보 표준화를 개선하는 것이다. 모든 공동 소유자는 OT 데이터 교환을 IT 시스템 및 기타 상위 수준 애플리케이션과 원활하게 통합하는 통합 정보 모델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이 모델은 NAMUR Open Architecture(NOA) 이니셔티브를 기반으로 하는 핵심 매개변수, 기능, 상태 및 진단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필드버스 프로토
버넥트가 충북과학기술혁신원 주관의 ‘2024년 충청북도 AI·메타버스 기반 산업 재난 안전 관리체계 강화’ 과제에 선정됐다. 이번 프로젝트는 2025년 말까지 2년간 진행될 예정이다.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산업현장에서 3D 메타버스 기반의 통합 실시간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를 추론하며, 디지털 트윈 등 XR 기술로 시각화를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재난안전 관련 감시 효율성과 대응력을 극대화하는 3D AI·메타버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이번 과제의 주관기업은 에이치에스소프트로, AI 안전 관제 기반 위험성 평가 관리모델 개발 및 IoT 데이터 연동을 담당한다. 버넥트는 3D 메타버스 기반 통합 산업재난안전관리 모니터링 체계 플랫폼 구축에 참여하며, 휴먼시스템은 인프라 구축 및 Legacy 시스템 연계를, LS 일렉트릭은 IoT 연동을 위한 PLC 개조를 담당한다. 버넥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AI 머신러닝 기반 컴퓨터비전 기술과 자사의 핵심 XR 솔루션인 리모트(Remote), 메이크(Make), 뷰(View),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등을 활용해 실시간 재난안전 대피경로 시각화 및 직관적인 3
협동로봇 전문기업 뉴로메카가 이차전지 배터리팩 전문기업 씨티엔에스의 배터리팩 유연생산 라인 자동화 사업을 수주했다. 계약 금액은 20억 원으로, 이는 작년 온기 매출액 대비 14.55%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이번 계약은 2024년 6월 27일부터 2025년 3월 20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뉴로메카 관계자는 “협동로봇 기술 기반의 자동화 솔루션이 생산 공정에 도입되면 산업 안전을 제고하고 수율 향상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씨티엔에스는 2017년 설립된 맞춤형 이차전지 배터리팩 제조기업으로, 중·소형 E-모빌리티, 캠핑·레저, 서비스 로봇, 물류 로봇, 무선 가전 등 다양한 산업용 배터리에 대한 200여 개 이상의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왔다. 뉴로메카 박종훈 대표이사는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왔다”며, “이번 수주를 기반으로 씨티엔에스와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여 공동사업 확장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과 기업으로 제조 자동화 사업을 점차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헬로티 임근난 기자 |
(재)전남정보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인용)은 지난달 28일 전남콘텐츠코리아랩에서 ‘전남 메타버스지원센터 XR 융합콘텐츠 제작 지원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킥오프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전남 메타버스지원센터 XR 융합콘텐츠 제작 지원사업’은 지역 특화산업인 스마트전력과 생태환경, 그리고 전·후방 연계 가능 산업을 기반으로 한 XR 기술 융합콘텐츠 제작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에서는 지정 2개, 고도화 2개, 자유 3개로 총 7개의 과제를 선정했으며, 참여 기업들은 오는 11월 말까지 지원을 받아 제품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킥오프 행사에는 7개 과제를 수행 중인 8개 기업의 대표 및 사업 담당자, 지자체 관계자 등 총 25명이 참석했다. 행사에서는 과제별 발표 및 질의응답, 회계교육 및 시스템 활용법, SW품질컨설팅 등 과제 수행을 위한 향후 일정들이 안내됐으며, 기업 간 네트워킹을 통해 다양한 의견이 교환됐다. 수행기업 중 스마트큐브는 수소 에너지 전주기 통합운영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특화형 디지털 트윈 저작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으며, 에스씨크리에이티브는 순천만자연생태관의 일부 공간에 XR 기술을 활용한 흑두루미 비행체험 어트랙
고성능 전력 모듈 분야의 선도기업 바이코는 7월 4일 서울에서 열리는 ‘2024 오토모티브 이노베이션 데이’(AID)에서 전기차(EV) 전력 공급 네트워크의 설계를 혁신할 수 있는 두 개의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이코의 차량 부문 마케팅 디렉터인 그렉 그린은 ‘고밀도 전력 DC-DC 모듈을 통한 차량 경량화 실현’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 발표에서는 배터리 전기차(BEV)의 주행 거리를 제한하고 충전 문제를 악화시키는 중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밀도 모듈을 활용해 차량의 중량과 전체 설계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바이코 수석 필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인 최연규 이사는 ‘BEV 배터리 팩 내부에 고전압을 유지하는 48V 존 아키텍처 설계’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이 발표에서는 전력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차량의 중량을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며, 48V 전력 모듈을 활용해 고전압 시스템을 배터리 팩 내부에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할 예정이다. 자동차 업계가 완전 BEV 쪽으로 경로를 변경함에 따라, 전력 시스템 설계 엔지니어들은 우수한 중량, 크기 및 확장성을 갖춘 새로운 고전압 전력 변환 솔루션을 모색하고 있다. 바이
서울시·SBA, 작년 일본 오사카에 이어 2번째 해외 판로개척 지원사업 서울 소재 기계금속 소공인 15개사, 일본 매뉴팩처링 월드 도쿄 행사 참석 서울 소재 기계금속 소공인기업 15개사가 지난 6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일본 빅사이트에서 개최된 ‘일본 매뉴팩처링 월드 도쿄 2024’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두며 일본 시장 판로개척에 청신호를 밝혔다. 이번 박람회에 참여한 기업들은 ‘2024년 도시제조업 국내외 박람회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선정된 기업들로, 서울경제진흥원(SBA)의 지원을 받아 홍보마케팅 및 판로개척을 활발히 진행했다. 이 지원사업은 서울시와 SBA가 서울시 유망 기계금속 소공인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마련한 프로그램으로, 작년 오사카 박람회에 이어 두 번째 해외진출 지원이다. 이번 박람회에 참가한 주요 기업으로는 에어몬(유해가스분해장치, 살균키오스크), 에이이티피(에어플라즈마), 에이포하우스(용지공급스마트서비스), 미가ENC(초음파커팅기), 서울공예(명품금고), 세븐카워시코리아(소형 스팀세척기), 스마트온돌(온풍구들장 모듈 세트), 열전사(전기열풍기), 윈스코리아(초경엔드밀), 케이원(소형검사장비) 등이며, 거산정밀, 선우테크, 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