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개발한 기술·솔루션은 물론 내·외부 합동 개발 성과를 외부에 소개해 SK텔레콤(SKT)이 ‘제6회 데보션 테크 데이’를 열고 102명의 개발자가 12주간 자발적으로 운영한 AI 기술 스터디 사례를 공유한다고 8일 밝혔다. ‘데보션(DEVOCEAN)’은 ‘개발자들을 위한 영감의 바다(Developers’ Ocean)’라는 뜻을 가진 SK ICT 패밀리가 주도하는 대표 개발자 커뮤니티다. SKT는 매 분기마다 ‘데보션 테크 데이’를 열고 직접 개발한 기술·솔루션은 물론 내·외부 합동 개발 성과를 외부에 소개해 왔다. 8일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개최된 데보션 테크 데이의 주제는 ‘데보션 오픈랩’으로 모인 개발자 102명의 12주간 성장 스토리다. SKT는 지난 4월 데보션 전문가가 주도하는 AI 중심의 스터디 프로그램인 ‘데보션 오픈랩’을 신설한바 있다. 데보션 오픈랩은 약 3개월 동안 최근 개발 생태계에서 주목받는 생성형 AI, 오픈 LLM, LLM옵스 등 AI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백엔드, 네트워크 등 AI 개발자에게 필요한 총 10개의 스터디 프로그램을 운영해 왔다. 이번 테크 데이에서는 자폐 아동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LLM 기반 곰인형 ‘에코테디(
각사가 보유한 역량으로 풀스택 AI 서비스 제공하고 파이프라인 늘린다 AI 올인원 서비스 사업화를 위해 AI 인프라와 AI 컨설팅, 그리고 AI 솔루션 기업 3사가 뭉쳤다. 코난테크놀로지가 7일 에스넷시스템 및 델 테크놀로지스와 함께 ‘AI 올인원 서비스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3사는 인공지능(AI) 및 생성형 AI 도입을 검토 중인 고객사 대상으로 구축, 운영부터 컨설팅에 이르는 AI 올인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IT 인프라 구축 및 운영, AI 솔루션, AI GPU 및 컨설팅에 이르기까지 각사가 보유한 전문 역량을 활용해 풀스택 AI 서비스를 제공하고 파이프라인을 늘림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국내 AI 시장을 주도하는 것이 목표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자체개발 대형언어모델 코난 LLM 및 AI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AI 알고리즘 개발, 데이터 처리 및 분석, 모델 최적화 등의 기술적 지원도 연계된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자체 데이터와 컴퓨팅 인프라를 기반으로 지난해 8월 코난 LLM 파운데이션 모델을 출시했다. 한국의 토종 생성형 AI로 7월에는 美 스탠퍼드대 ‘에코시스템 그래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에스넷
가온칩스와 삼성 파운드리 5, 14, 28나노 공정을 활용한 MPW로 시제품 제작 딥엑스가 AI 반도체 1세대 제품의 양산에 돌입한다. 그 첫 단계로, 딥엑스의 5나노 공정 반도체인 'DX-M1'의 양산을 위해 삼성 파운드리의 디자인 하우스인 가온칩스와 양산 계약을 체결했다. 딥엑스는 올해 6월 DX-M1의 커머셜 샘플을 삼성 파운드리로부터 받아 여러 양산 검증 테스트를 진행했고 중요 지표에서 양산성을 확보했다고 판단했다. 이로써 작년에 제작된 엔지니어링 샘플에 비해 연산 성능, 전력 소모 등이 향상됐음이 확인됐다. 가온칩스는 AI 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는 팹리스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며 선단 공정 기술을 포함해 반도체 전 공정에 걸쳐 풍부한 경험과 숙련된 기술을 보유한 대표적인 국내 디자인 하우스 중 하나다. 딥엑스는 가온칩스와 삼성 파운드리 5, 14, 28나노 공정을 활용한 MPW로 시제품을 제작했으며 이를 통해 미국, 중화권, 유럽, 일본 등 120여 곳 이상의 글로벌 회사에 AI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개발 툴인 DXNN을 제공했다. 이들 고객사와 파트너사는 딥엑스의 시제품 성능을 평가했고 현재 20여 기업에서 양산 응용 제품 개발을 진행하
AWS 스타트업 고객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돼 서비스 도입 위한 리소스 지원 받아 식신은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아마존 베드록을 활용한 LLM(거대언어모델) 기반의 AI 대시보드 ‘외식메타 인덱스’를 구축했다고 8일 밝혔다. 아마존 베드록은 AI 스타트업과 아마존의 고성능 파운데이션 모델을 활용한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지원하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다. 외식메타 인덱스는 식신이 보유한 100만 개 이상의 맛집 데이터 및 월간 350만 명의 이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융·공공·검색·SNS·GA(방문자 정보, 유입경로, 웹사이트 내 사용자 행동, 전환) 등 다양한 이기종 데이터를 통합·분석한다. 이를 통해 지역별 인기 메뉴, 스토리가 있는 메뉴 트렌드, 상황이나 장소에 맞는 테마 데이터, 메뉴별 사용된 식자재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구축된 데이터는 수요처의 니즈에 따라 API, 콘텐츠형 위젯, 분석형 대시보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한다. 식신은 AWS 스타트업 고객 지원 프로그램에 선정돼 전략적 서비스 도입을 위한 리소스를 지원받았다. 이번 프로젝트는 AWS, 메가존클라우드, 스노우플레이크와의 협력을 통해 진행됐다. AWS의 주요 서비스인 아
초기 데이터가 부족한 ‘콜드 스타트’ 상황에서도 최고 성능 발휘해 클래스팅은 자사의 AI 기반 지식추적 정·오답 예측 모델인 ‘CLST’가 한국인공지능검증원(KAIC)의 제3자 객관 성능 평가에서 최고 91.5%의 성능(AUC)을 달성했다고 7일 밝혔다. AI 지식추적 모델은 학생의 학습 수준을 진단하고 학습 경로를 제시하는 교육 분야에서 중요하게 활용된다. 이 모델의 성능은 진단의 정확성과 학습 경로 추천의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AI 교육 서비스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즉, AUC 지표의 상승은 해당 AI 엔진이 보다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학습 추천을 할 수 있게 됐음을 의미한다. 클래스팅은 수학 교과 AI 디지털교과서를 출원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지난 7월 2일부터 5일까지 AI 디지털교과서 자체 기술 검증의 일환으로 제3자 객관 성능 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이번 평가에 활용된 클래스팅의 AI 지식추적 엔진은 자체 특허를 보유한 CLST 엔진의 1.5 버전으로, 트랜스포머 신경망을 활용한 CLST-1에 자체 데이터로 학습시킨 Private LLM을 접목해 데이터가 충분한 상황은 물론 초기 데이터가 부족한 ‘콜드 스타트’ 상황에서
경쟁력 갖춘 200mm 실리콘 카바이드 전력 반도체 팹으로 추진돼 전 세계적인 탈탄소화 노력으로 전력 반도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이하 인피니언)는 말레이시아 신규 공장의 첫 번째 단계를 오픈했다고 발표했다. 이 공장은 세계 최대 규모의 경쟁력 있는 200mm 실리콘 카바이드(SiC) 전력 반도체 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팹의 첫 번째 단계에는 20억 유로가 투자됐으며, 실리콘 카바이드 전력 반도체 생산에 중점을 두고 질화 갈륨(GaN) 에피택시를 포함할 예정이다. 최대 50억 유로가 투자되는 2단계에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효율적인 200mm SiC 파워 팹을 건설할 예정이다. 요흔 하나벡(Jochen Hanebeck) 인피니언 CEO는 "SiC와 같은 혁신적인 기술 기반의 차세대 전력 반도체는 탈탄소화와 기후 보호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인피니언의 기술은 전기 자동차,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시스템, AI 데이터 센터 등 유비쿼터스 애플리케이션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 우리는 고객사와의 강력한 협력에 힘입어 말레이시아에서 최대 규모의 효율적인 첨단 SiC 생산 시설에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피니언은 총 50억 유로에 달하
신뢰도, 투명성에 대한 심도 있는 관점 제시 및 실질적 적용이 가능한 방안 공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국제연대(TRAIN)가 지난 7일 서울시 강남구 앙트레블에서 ‘제1회 BEER TRAIN 2024(Bridging Engagement Exchange Roundtable TRAIN)’을 개최했다. 최근 유럽과 미국에서 AI 규제에 관한 법안과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며, 구체적인 로드맵이 공개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강조되는 개념은 '투명성'이다. 투명성은 신뢰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필수 항목이다. BEER TRAIN 2024는 투명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국내외 요구사항을 비교해 실제 사례에 기반한 투명성 확보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뒀다. 세미나에서는 신뢰할 수 있는 AI 구축에 필수 요소인 투명성에 대한 고찰과 기술 개발 현장에서 투명성을 어떻게 확보해야 할지에 대해 분야별 전문가가 관련 법과 표준에 기반에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최신 사례에 근거한 투명성 확보 방안이 다채롭게 소개됐다. 씽크포비엘 박지환 대표는 행사에 앞서 "이제 원론적인 이야기보다 실질적으로 AI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에 초점을 맞출 시기다"며 "BEE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를 통합한 클라우드 IaaS 솔루션 제공 자다라(Zadara)가 국내에서 'zCompute 서비스'를 런칭한다고 발표했다. 자다라 엣지 클라우드 서비스는 전 세계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며, 사용자들에게 뛰어난 기술과 안정성을 제공한다. zCompute는 완전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로서, 컴퓨팅, 네트워킹, 스토리지를 통합한 클라우드 IaaS 솔루션을 제공한다. zCompute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사용량에 따라 과금 되는 요금 체계와 숨겨진 비용을 제거해 기업 및 개발자에게 비용 효율적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한다. 자다라는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서의 전문성과 함께, 고성능 대용량의 블록 스토리지와 무한 확장 가능한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글로벌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기존 퍼블릭 클라우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zCompute는 AWS EC2 호환 API를 제공해 재교육 없는 클라우드 사용을 보장한다. 고객사 IDC 안에 위치해 데이터 유출 및 지연 없는 클라우드를, IDC/코로케이션 위치해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를 쉽게 구현한다. 또한, 세계에 분포된 500개 이상의 클라우드 로케이션을 활용해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가
MagPack 통합 마그네틱 패키징 기술로 크기 최대 23% 축소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는 전력 밀도를 개선하고 EMI를 줄이도록 설계된 6개의 새로운 전력 모듈을 출시했다. 이 전력 모듈은 TI의 독점적인 MagPack 통합 마그네틱 패키징 기술을 활용해 경쟁 모듈에 비해 크기를 최대 23%까지 축소해 산업, 엔터프라이즈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가 개선된 성능 수준을 달성하도록 지원한다. 특히, 6개의 새로운 디바이스 중 TPSM82866A, TPSM82866C 및 TPSM82816 세 가지 제품은 업계에서 가장 작은 6A 전력 모듈로, 1mm2 면적당 약 1A의 업계 최고 수준의 전력 밀도를 제공한다. 제프 모로니(Jeff Morroni) TI 킬비 랩의 전력 관리 R&D 책임자는 "지금까지 엔지니어는 시간, 복잡성, 크기, 부품 수를 줄이기 위해 전력 모듈을 사용해 왔지만, 동시에 일정 부분 성능 저하를 감수해야 했다"며, "약 10여년에 걸쳐 개발한 TI의 통합 마그네틱 패키징 기술을 통해 전력 설계 엔지니어는 더 작은 공간에서 더 많은 전력을 효율적이고 비용 효과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오늘날의 전력 트렌드를 충족하게 됐다"고 전했다.
연구 통해 NextPower 80/100V MOSFET에서 생성되는 스파이크 수준 크게 줄여 넥스페리아가 오늘 NextPower 80V 및 100V MOSFET 포트폴리오를 업계 표준 5mm x 6mm 및 8mm x 8mm 실장 면적의 새로운 소형 폼팩터 패키지인 'LFPAK'로 늘리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 새로운 NextPower 80/100V MOSFET은 낮은 RDS(on)및 낮은 Qrr에 최적화해 서버, 전원 공급 장치, 고속 충전기, USB-PD를 비롯해 통신, 모터 제어, 기타 다양한 산업용 장비에서 높은 효율과 낮은 스파이크를 제공한다. 이에 설계자는 1.8mΩ에서 15mΩ에 이르는 RDS(on) 값의 80V 및 100V 소자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게 됐다. 여러 MOSFET 제조업체들은 타사 제품들과 비교해 소자의 스위칭 성능을 벤치마킹할 때 낮은 QG(tot) 및 낮은 QGD를 통해 높은 효율성을 달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그러나 넥스페리아는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스파이킹에 미치는 영향과 소자 전환 중에 생성되는 전자기 간섭(EMI)의 양으로 인해 Qrr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넥스페리아는 이 매개변수에 집중함으로써 NextPow
두 제품 모두 테이프 아웃 이후 두 분기 내에 목표 달성...2025년 본격 생산 예정 인텔은 인텔 18A 공정 기반의 주력 제품인 AI PC용 프로세서인 ‘팬서 레이크(Panther Lake)’와 서버용 프로세서인 ‘클리어워터 포레스트’가 운영 체제를 성공적으로 부팅했다고 발표했다. 해당 두 제품 모두 테이프 아웃 이후 두 분기 내에 이 같은 이정표를 달성했으며, 2025년에는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인텔은 내년 상반기 중 첫 번째 외부 파운드리 고객이 인텔 18A 기반 제품을 테이프 아웃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 총괄인 케빈 오버클리(Kevin O’Buckley) 수석 부사장은 “인텔은 AI 시대를 위한 다양한 시스템 파운드리 기술을 개척하며, 인텔과 파운드리 고객을 위한 차세대 제품에 필요한 혁신을 전방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러한 진전을 고무적으로 생각하며, 2025년 인텔 18A를 시장에 선보이기 위해 고객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7월 인텔은 18A 공정 설계 키트(PDK, Process Design Kit) 1.0을 배포했다. 이 설계 툴은 파운드리 고객이 인텔 18A에서 게이트
소비재, 금융, 모빌리티 등 전 산업 영역에서 혁신 사례 나타나 마이크로소프트가 AI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 전반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낸 전 세계 다양한 산업의 파트너 및 고객의 혁신 사례 발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 세계 조직이 AI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 5월 발표한 Work Trend Index 2024(업무동향지표)에 따르면, 전 세계 근로자 4명 중 3명이 직장에서 AI를 활용하며, 리더의 79%는 AI 도입이 경쟁력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AI 도입 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정립해 성장을 촉진하고 비용을 관리하며, 고객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 파트너 및 고객 사례를 공개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애저 오픈AI 서비스'와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이 있다. 애저 오픈AI 서비스는 고객들이 다양한 AI 기술과 기능을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에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 세계 1만8000개 이상의 조직과 포춘 500대 기업 중 65%가 이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조직 데이터
우수제품 선정으로 자사의 기술력 및 제품 우수성 인정받아 비트센싱이 자사의 C-ITS(협력 지능형 교통 시스템)용 교통관제시스템 솔루션이 조달청 우수제품으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이번 선정은 비트센싱의 기술력과 제품의 우수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로, 국가 공공사업에 대한 기여도와 기술적 우수성을 높이 평가받은 것이다. 조달청 우수제품 지정 제도는 국내 중소기업이 생산한 제품 중 기술력과 품질이 뛰어난 제품을 선정해 공공기관이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중소기업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공공 조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됐다. 우수제품으로 지정된 제품은 공공기관의 구매 시 우선 고려되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판로 확대와 경영 안정에 기여하고 있다. 비트센싱의 교통관제시스템은 레이더 센서, 카메라 센서, GPU 및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술을 통합시킨 일체형 솔루션으로 교통량 및 교통객체 감지, 차종 구분, 돌발 상황 감지, 보행자 및 무단횡단 감지, 주행 방향 감지, 교통 이벤트 감지 등을 제공하여 도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방대한 교통 데이터를 분석해 차량검지시스템(Vehic
파이프라인, 고품질의 데이터를 빠르게 확보하도록 클러스터 서버 기반으로 병렬 처리 스트라드비젼이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데이터 파이프라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서 수집된 원시 데이터를 분석이 용이한 형태로 변환해 데이터 웨어하우스로 저장하는 전처리 과정을 말한다.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보통 ETL(Extracting, Transforming, Loading)을 포함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SVNet의 경우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높고 정밀한 데이터로 학습하기 때문에 ETL 과정을 여러 단계로 세분화했다. 이러한 이유로 전체 과정이 복잡하고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데이터 품질이 SVNet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기에, 스트라드비젼은 SVNet 고도화를 위해 자동화를 택했다. 스트라드비젼이 구축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자동화 시스템은 크게 세 단계로, 전처리, 품질, 효율 파이프라인이다. 파이프라인은 SVNet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고품질의 데이터를 빠르게 확보하도록 클러스터 서버 기반으로 병렬 처리되며 모든 데이터는 데이터 센터를 통해 처리된다. 데이터 센터는 스트라드비젼에서 자체 개발한 데이터 웨어하우
고품질 제품을 적기에 출하함으로써 반도체 공급망 선순환에 기여할 계획 쿠어스텍이 경상북도 구미 한국본사 지역에 3번째 공장을 준공하고 기념 행사를 진행했다. 1992년 한국 진출 이후 구미 공장의 연구 및 제조 시설 투자를 지속해 온 쿠어스텍은 이번에 제3공장까지 확장함에 따라 급변하는 반도체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반도체 생태계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꾸준히 구미 공장에 투자해 온 쿠어스텍은 이번 제3공장을 신제품 출시를 위한 구심점으로 삼고, 고객이 요구하는 고품질의 제품을 적기에 출하해 반도체 공급망의 선순환에 기여할 계획이다. 특히, 지난 2010년부터 14년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고도화한 초고순도 물질을 제조하는 CVD SiC 제조 공정을 제3공장에도 적용함으로써, 반도체와 같이 극한의 공정을 요구하는 시장에 빠르게 대응할 것으로 기대된다. 쿠어스텍은 경상북도 및 구미시와 첨단 세라믹 제조시설 투자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후 구미국가산업단지에 첫 공장을 2002년에 준공한 이래, 지난 2019년에 제2공장, 2024년에 제3공장을 증설하면서 한국 내 투자를 확대하고 고용을 창출하고 있다. 쿠어스텍 구미 공장에서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