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 조정·관찰 및 분석에 이르기까지 자동화 기술 적용 지올(JEOL Ltd., 사장 겸 최고경영자 / 오이 이즈미[Izumi Oi])이 새로운 쇼트키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 ‘JSM-IT810’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FESEM)은 연구기관, 대학, 산업계 등 과학 및 기술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쉽고 정확할 뿐만 아니라 빠르기까지 해 관찰에서 분석까지 수행할 수 있는 현미경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네오 액션(Neo Action)’ 자동 관찰 및 분석 기능, 자동 교정 기능을 JSM-IT800에 추가한 JSM-IT810은 높은 작동성을 위해 제로맥(Zeromag) 및 EDS 통합과 같은 차세대 전자 광학 제어 시스템인 ‘네오 엔진(Neo Engine)’ 및 ‘SEM 센터(SEM Center)’를 장착함으로써 효율성과 생산성을 개선했을 뿐만 아니라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했다. 지올 관계자는 “‘JSM-IT810’의 대표적인 장점은 △자동 관찰 및 분석 기능 ‘네오 액션’ △자동 교정 기능 ‘SEM 자동 조정 패키지(SEM Automatic Adjustment Package)’ △라이브 기능(Live Function) △
더존비즈온(대표 김용우)은 고용노동부의 ‘2024년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ESG지원형)’을 통해 ‘The EJC 4기’ 모집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은 청년들에게 다양한 양질의 일경험 기회를 제공해 원활한 노동시장 진입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정부와 기업의 민관 협력 프로젝트다. The EJC (ERP Junior Consultant)는 더존비즈온과 한국생산성본부(KPC)가 ERP 주니어 컨설턴트 양성에 초점을 맞춰 현장실무 중심의 IT 인재 양성을 목표로 공동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다. 더존비즈온은 지난해 미래내일 일경험 사업 운영기관에 선정돼 The EJC 1, 2기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청년 일자리 창출과 사회적 가치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The EJC 프로그램은 직무 교육과 현장실습을 병행해 청년들이 ERP (전사적자원관리)를 쉽게 이해하고 디지털 전환에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이다. 매월 최대 100만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한국생산성본부의 ERP 정보관리사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기회도 제공받는다. 우수 참여자에게는 더존비즈온 3개
국내 ICT 기업 대상 마케팅 지원 및 수출상담회 참여기업 모집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국내 ICT 기업의 마케팅 및 해외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서비스 창출기반 확충프로그램 : 해외수출상담회’를 오는 12월까지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스마트서비스 창출기반 확충프로그램은 국내 ICT 기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수출상담회를 비롯해 온라인 전시관 운영, 해외 박람회 참여 등 다양한 지원 혜택을 부여해 국내 ICT 기업의 우수한 제품을 널리 홍보하고 산업 활성화 및 ICT 국가 역량 제고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지난 29일부터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 30개 사를 대상으로 1차 온라인 상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참여기업에는 수출상담 주선, 기업 및 제품 소개자료, 전담 통역원 지원, 온라인 상담회 실시간 모니터링 등 수출 상담 업무를 지원할 예정이다.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1차 수출상담회에 참여하고 싶은 기업은 7월 31일까지 ICTWOW 운영사무국 메일을 통해 접수를 진행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기술벤처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2~3차 수출상담회 참여기업은 추후 별도 공고를 통해 모집될 예정이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AI 영양관리 큐레이션 스타트업 알고케어가 직장인의 건강한 업무 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50인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한 ‘스타터 패키지’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대표 서비스 ‘알고케어 앳 워크’ 론칭 후 현대자동차, 기아, LG에너지솔루션, SK스퀘어 등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온 알고케어가 중소, 중견기업 및 스타트업의 니즈를 반영하고, 공급 대상을 확장해 대한민국 대표 ‘K-직장인 건강관리 솔루션’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다. 알고케어는 이번 ‘알고케어 앳 워크 스타터 패키지’를 50인 미만 규모의 사업장에서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비용으로 공급한다. 알고케어 홈페이지 채팅상담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상담을 통해 기업별 맞춤 컨설팅 후 B2B 형태의 오피스 영양관리 솔루션 '알고케어 앳 워크'를 회사로 받게 된다. ‘알고케어 앳 워크’는 개별적으로 영양제를 챙기지 않고도 최대 24종의 영양 성분을 맞춤 용량으로 섭취할 수 있는 AI 기반 맞춤 영양 관리 서비스다. 사용자가 터치 몇 번으로 건강보험공단의 건강데이터를 연동하면 개인의 건강 상태를 기반으로 필요 영양 성분을 추천하며, 매일 달라지는 컨디션에 따라 맞춤 영양성분과 용량을 4mm
현지 인프라 확보 통해 유럽 내 물류 네트워크 확대 계획 종합 물류 서비스 전문 기업 태웅로직스(대표이사 한재동)가 크로아티아의 트럭 운송사 라트란스(LA Trans d.o.o.)와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태웅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인수는 크로아티아 최대 무역항인 리예카항의 현대화 개발 프로젝트에 주목한 결과로, 향후 리예카항을 교두보로 기존 헝가리법인, 독일법인과의 비즈니스 시너지 또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리예카항은 연간 처리 물량이 100만 TEU에 달하는 슬로베니아의 코퍼항과 더불어 동유럽 진입의 대표적인 항구다. 지난 2021년 글로벌 선사 머스크는 크로아티아 기업 엔나(ENNA)와 합작으로 리예카항의 컨테이너 터미널 확장 공사에 6억 유로 규모의 투자를 결정한 바 있다. 2단계로 나뉘어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의 1단계 완공 시기는 2025년으로 이에 따라 리예카항은 기존 연간 40만 TEU에서 65만 TEU의 추가 물량을 더 소화할 수 있게 된다. 태웅로직스의 한재동 대표이사는 “리예카를 통해 동유럽 이차전지 물류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는 한편, 남동부 유럽인 발칸반도 내륙 물류 루트를 개발하여 장기적으로는 유럽과 중앙아
엠비젼의 조명 솔루션 ‘260Q 시리즈’가 반도체 업계에서의 높은 활용도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근 반도체 업계는 다기능, 고집적화를 이해 다양한 첨단 패키징이 적용되고 있고 반도체의 크기 역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커지고 있다. 그만큼 반도체 패키지 검사를 위한 솔루션 역시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엠비젼은 대형 반도체 패키지 외관검사가 가능한 다파장, 다채널 조명을 개발해 상용화에 성공했다. 엠비젼이 개발한 다파장, 다채널 조명인 ‘260Q 시리즈’는 대형 패키지의 복합 외관검사에 최적화된 조명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13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80×80(㎜)의 넓은 F.O.V에서도 각 채널의 균일도를 80% 이상 구현하는 데 성공했으며 패키지 부품의 유무검사 및 정위치 여부, 오염 검출 등 다양한 검사를 하나의 조명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지 검사의 경우 대면 검사 시 렌즈의 크기도 매우 커지기 때문에 한정된 장비 공간안에 비전시스템까지 구성하는 것이 어렵다. 하지만 엠비젼의 조명은 대면적 검사를 위한 우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줄 수 있는 설계치 내에서 가장 컴팩트한 크기로 구성되어 있어 공간을 더 효율
기부금 4천만 원 전달과 함께 캠페인 진행 세계 최대 특송 회사 중 하나인 페더럴 익스프레스 코퍼레이션(Federal Express Corporation, 이하 ‘페덱스’)이 국내 축구 경기장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해 K리그 사회공헌재단 ‘K리그어시스트(이사장 곽영진)’에 기부금 4천만 원을 전달했다. 페덱스와 K리그어시스트는 이번 기부금을 토대로 K리그 경기장의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게 된다. 양사는 이번 협업의 일환으로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안전 캠페인을 펼친다. 이를 위해 인천축구전용경기장 벽면과 복도에 12개의 비상 대피 표지판을 설치했다. 해당 안내 표지판은 관중들이 긴급 상황 시 대피로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밖에도 안전한 축구 관람 문화 조성을 위한 에티켓 안내문 포스터와 입간판이 곳곳에 설치했는데, 여기에는 경기 장 내 이동, 관람 시 주의사항 등이 담겼다. 박원빈 페덱스코리아 지사장은 “K리그어시스트와 협력해 국내 축구 팬들의 안전에 기여할 수 있게 돼 영광이다”라며 “이번 활동은 페덱스가 모든 업무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안전 최우선(Safety Above All)' 원칙과도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말했
해양환경에서 객체 인식 가능한 새로운 모델 제시 업계 최초, 벤치마크 데이터셋 공개 인공지능(AI) 선박자율운항 솔루션 기업 씨드로닉스(Seadronix)가 해양 환경에 특화된 객체를 인식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관련 백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씨드로닉스는 이번에 발행한 백서를 통해 선박을 운항하면서 겪을 수 있는 빛 반사, 간섭, 기상 조건 등 열악한 해양 환경 조건에서도 효율적으로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새로운 인공지능(AI) 모델인 바다(VaDA, Vertical and Detail Attention Model for Maritime Object Segmentation)를 공개했다. 바다(VaDA) 모델은 씨드로닉스가 설립 이후 지금까지 데이터 수집 자체가 어려운 해양 업계에서 많은 연구진과 오랜 기간 실 운항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온 노력을 집대성한 결과다.수많은 실 데이터를 통해 개발된 인공지능(AI) 모델이라는 점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정확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씨드로닉스 측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씨드로닉스는 세계 최대 로봇 학회 중 하나인 IROS(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
가상현실(VR)체험 등 실물 체험장비 추가…안전교육 효과 증대 기대 안전모, 감전 등 사고체험존도 신설해 주목 CJ대한통운이 지난해 열었던 안전체험관의 시설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오픈했다고 지난 29일 밝혔다. 기존 가상현실(VR) 장비를 통한 간접체험에 더해 실제 체험교육 장비를 추가, 임직원 안전의식을 더욱 함양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안전체험관 업그레이드의 핵심은 현장감 강화를 통한 경각심 제고다. 안전교육장 내부는 건강존과 사고체험존, 두 구역으로 나눠 새롭게 구성됐다. 건강존에서는 기존 심폐소생술(CPR) 교육 외에도 금연, 음주예방, 정신건강 관련 체험장비를 추가해 일상생활로까지 영역을 넓혔다. 사고체험존에서는 각종 안전사고 가상현실 체험과 안전모 충격, 컨베이어벨트, 전기화재 및 감전 실제 체험 등의 교육이 진행된다. 교육 프로그램도 기존 심폐소생술, 안전사고 관련 가상현실 체험으로 구성된 190분 교육과정을 9개 과목과 이론 등으로 구성된 240분 과정으로 확대했다. 특히 사고체험존 교육은 가상체험과 실제체험을 병행함으로써 안전교육 효과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안전모 충격체험은 철제 추를 0.8m 높이에서 낙하시켜 충격을 줌으로
인공지능(AI) 및 3차원(3D) 비전 기술 융복합 로봇 솔루션으로 경쟁력 입증 국내 비전 AI 로봇 솔루션 기업 씨메스가 코스닥 상장을 본격화한다. 비전 AI 로보틱스 기반 지능형 로봇 솔루션 씨메스(대표이사 이성호)는 한국거래소로부터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26일 밝혔다. 상장 주관사는 삼성증권과 유진투자증권이다. 씨메스는 로봇의 눈인 3D 비전 센서, 뇌를 담당하는 이미지 프로세싱 알고리즘과 AI 기술을 로봇에 적용해 로봇이 사람처럼 생산 활동을 할 수 있는 기술을 만드는 기업이다. 씨메스의 지능형 로봇은 기존의 단순 반복 공정을 넘어 현장에서 사람만이 가능했던 비정형 공정들의 완전 자동화를 완성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씨메스의 3D 비전 AI 로보틱스 기술은 이커머스, 물류, 제조, 이차전지, 모빌리티 등 다양한 산업 분야 주요 글로벌 기업 현장에 적용되어 전 산업으로 확대되고 있다. 씨메스의 솔루션은 크게 지능형 로봇 솔루션과 3차원 검사 솔루션으로 나눌 수 있다. 지능형 로봇 솔루션은 물류와 제조 측면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데, 물류솔루션은 물류 프로세스 전반의 비정형 공정을 로봇 자동화한 솔루션으로 디팔레타이징, 팔레타이징,
데이터 기반 스마트 항공 물류 프로세스 설계 추진 관세청이 민간과 힘을 모아 스마트 항공 물류체계 구축에 본격 나선다. 관세청은 25일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 스위스포트코리아와 ‘스마트 항공물류체계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이날 협약식에는 관세청 고광효 청장,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 대한항공 우기홍 사장, 스위스포트 김일홍 사장 및 4개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스마트 항공 프로세스 구축을 위해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협의했다. 이미 홍콩과 싱가포르 등 주요 선진국 공항들은 항공물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데이터 플랫폼, 스마트 항공화물탑재용기(ULD) 도입 등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관세청과 국내 항공 물류업계도 이러한 항공물류의 스마트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이번 협약을 추진하게 됐다. 관세청은 항공물류의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통관, 보세화물 관리 등 관세행정상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스마트 물류 설계 단계부터 합류, 관세행정 절차 및 시스템을 디지털 방식으로 재설계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관세청은 △스마트 화물터미널의 사물 인터넷(IoT) 센서, 무인 운반 로봇, 플랫폼 등에서 발생하는 화물 이동, 위치
철도물류 확대 및 탄소저감 협력…국제복합운송체계 공동구축 HMM(대표이사 김경배)이 한국철도공사(이하 코레일)와 철도수송량 증대와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한 ‘친환경 철도물류 활성화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코레일 측에서 운영 개시 예정인 냉동컨테이너 철도수송 서비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상호협력하고 신규 개장 예정인 서해선 송산CY(컨테이너 야적장)를 서북부 내륙운송 허브기지로 활성화하는데 힘을 모으기로 했다. HMM은 △국내 내륙물류 철도운송을 통한 탄소배출량 감소 △탄소저감을 통한 지속가능한 운송체계 구축 △해운-철도가 결합된 국제복합운송 협력체계 강화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특히, 선박과 철도 간에 화물수송이 바로 연결되는 ‘인터모달(Inter-modal) 원스톱 운송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철도수송 분담률 증대, 저탄소 물류 교통체계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코레일은 △냉동컨테이너 철도수송 인프라 구축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통한 친환경 운송서비스 제공 △송산CY의 컨테이너 기지 활용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정엽 HMM 컨테이너사업부문장은 “코레일과의 협약을 통해 당사가 중점 추진 중인 친환경 운송생
클라우드 사업 전년 동기 대비 25.1% 성장한 5560억 원 달성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 가입 고객 14800개사 돌파 삼성SDS는 2분기 매출액 3조 3690억 원, 영업이익 2209억 원의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전기 대비 매출은 3.7% 증가, 영업이익은 2.2%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4% 증가, 영업이익은 7.1% 증가했다. IT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 증가한 1조 5,864억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 매출은 지속적인 수요 급증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5.1% 증가한 5560억 원을 달성했다. 클라우드 사업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CSP 사업은 고성능 컴퓨팅(HPC), 생성형 AI를 위한 구독형 GPU 서비스(GPUaaS) 확대로 꾸준히 매출이 증가하고 있다. MSP사업은 금융 업종의 클라우드 전환, 생성형 AI 및 데이터 플랫폼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EMM 등 SaaS(Software as a Service) 솔루션 매출도 증가했다. 물류 사업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해 1조 7826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능형 공급망 관리의 한 축
모듈 판매량 증가·폴리에틸렌 판가 상승…신재생에너지·케미칼 부문 적자 폭 축소 한화솔루션은 2024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2조 6793억 원, 영업손실 1078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매출 9802억 원, 영업손실 918억 원을 기록했다. 모듈 판매량이 증가하고 개발자산 매각 및 EPC 관련 실적이 개선되면서 분기 적자 폭이 직전 분기 대비 50% 이상 감소했다. 케미칼 부문은 매출 1조 2224억 원, 영업손실 174억 원을 기록했다. 글로벌 석유화학 수요 회복이 지연됐지만 폴리에틸렌(PE) 등 일부 제품 가격이 상승해 적자 규모가 전 분기보다 줄었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2659억 원, 영업이익 90억 원을 기록했다. 주요 고객사의 판매호조에 힘입어 매출이 직전 분기보다 증가했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모듈 판매량이 증가하면서 3분기에도 적자 폭이 축소될 전망”이라며 “케미칼 부문은 주요 제품 가격 상승으로 수익성이 일부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
HD현대 전 사업부문 흑자…HD한국조선해양은 5분기 연속 흑자 달성 HD현대는 공시를 통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7조 5549억 원, 8799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12.4%, 영업이익은 86.2% 각각 증가한 것으로 양호한 실적 흐름을 이어갔다. HD현대 측은 이러한 결과가 조선 부문 실적 개선과 전력기기 및 선박 AM·디지털 솔루션 사업의 호조세 유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HD현대는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34조 693억 원, 영업이익 1조 6735억 원을 기록했다. 2분기 실적을 주요 사업별로 살펴보면, 조선·해양 부문의 HD한국조선해양은 친환경 이중연료 선박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매출이 실적에 본격 반영되면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1.3% 증가한 6조 615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선별 수주에 따른 수익성 개선과 생산 안정화를 통한 비용 절감 노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8.7% 증가한 3764억 원을 기록, 5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HD한국조선해양의 자회사인 HD현대중공업은 전년 동기 대비 26.7% 늘어난 3조 8840억 원, HD현대삼호는 16.9%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