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엔지니어링협회가 지난 27일 엔지니어링회관에서 제52회 정기총회를 개최하고 작년 사업실적 및 결산과 올해 사업계획 및 예산 등 부의된 안건을 원안대로 심의·의결했다. 협회는 2024년도 결산에서 효율적인 예산 집행과 전략적 사업 운영을 통해 목표 대비 일반회계 세입은 2.8% 증가하고, 세출은 12.9% 절감하여 안정적인 재정 운영을 실현했다. 특히 학·경력자 승급 제한 완화 등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령 일부 개정 지원, 협회 창립 50주년 기념사업의 성공적 수행과 적정 대가 산출을 위한 표준품셈 21건 마련, 한국엔지니어링산업연구원 설립 등 업계 발전과 산업 진흥을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했다. 2025년도 사업계획 및 예산 심의에서는 엔지니어링산업의 대국민 인지도 확산 및 이미지 개선, 엔지니어링산업의 국제 표준화 운영 지원, 연구원 운영재산 출연 등 전년 대비 6.9% 감액된 125.9억 원의 일반회계 예산을 편성했다. 협회는 2025년 사업계획으로 엔지니어링산업의 위상 강화, 업계 권익 도모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내실을 다지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해경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엔지니어링산업은 단순한 기술의 집
인공지능팩토리가 소이랩엑스와 생성형 AI 플랫폼 구축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인공지능팩토리에서 진행됐으며 김태영 인공지능팩토리 대표, 최돈현 소이랩엑스 대표, 박호열 인공지능팩토리 PM, 김원호, 송주현 소이랩엑스 연구원이 참석했다. 소이랩엑스는 comfyUI 기반의 고품질 실용 콘텐츠 생성 기술을 제공해 인공지능팩토리는 온프레미스 환경에서의 생성형 AI 추론 플랫폼 구축을 담당한다. 소이랩엑스는 comfyU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 및 교육,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comfyUI는 Stable Diffusion 기반의 이미지 생성 모델을 보다 직관적으로 사용하도록 설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도구다. 노드 기반 인터페이스로 이미지 생성 과정을 시각적으로 조작하고 최적화한다. 이번 협약으로 인공지능팩토리는 국내 최초로 온프레미스 comfyUI 기반의 생성형 AI 플랫폼 서비스를 연내 출시할 계획이다. 현재 초기 플랫폼이 구축된 상태로 고도화를 위한 기술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 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기능은 Text to Image, Upscale, Face Swap, Face Animation 등이 있으며 프롬프트 입력으로 이미지 생성과
브이캣이 브랜드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 ‘브이캣 크리젠(VCAT CREAGEN)’을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상품 사진 한 장만으로 브랜드 스타일을 반영한 다양한 컨셉의 이미지와 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는 생성 AI 서비스다. 브이캣 크리젠은 기존 스튜디오 촬영에서 발생하는 높은 비용과 긴 제작 시간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브랜드 퀄리티를 유지한 고품질의 상품 이미지와 영상을 자동으로 제작하도록 설계됐다. 크리젠 AI는 브랜드의 ‘촬영 스타일’, ‘상품 특성’, ‘연출 방식’을 분석한 뒤, 최적의 배경과 구도를 자동 생성한다. 이로써 단 한 장의 상품 사진만 업로드하면 다양한 컨셉의 이미지와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서비스는 글로벌 생성 AI와 연동돼 이용자는 변화하는 AI 기술과 트렌드를 파악하고 최적의 AI를 선택할 수 있다. 브이캣 크리젠은 오는 3월 공식 출시 예정으로 현재 사전 신청을 받고 있다. 정범진 브이캣 대표는 “브이캣 크리젠은 대형 브랜드의 스튜디오 촬영을 혁신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솔루션”이라 소개하면서 “마케팅 콘텐츠 제작 전 과정을 자동화하고 글로벌 시장에서도 입지를 넓혀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보그워너가 상하이자동차(SAIC) 상용차 브랜드 맥서스(Maxus)와 트랜스퍼 케이스 공급 계약을 맺었다. 보그워너는 SAIC 맥서스에 기계식 잠금 기능이 탑재된 온디맨드 트랜스퍼 케이스와 하이 토크 파트타임 트랜스퍼 케이스 두 종류를 공급하며, 해당 제품은 2026년 3분기부터 양산될 예정이다. 보그워너 트랜스퍼 케이스는 HY-VO 드라이브라인 체인을 적용해 고속 주행 시 효율성을 높이며, 2륜구동 하이 레인지(2H) 모드와 AUTO 모드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풀타임 4륜구동(4WD) 시스템 대비 포장도로 주행 시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온디맨드 4WD 차량의 안전성과 주행 성능을 개선한다. 또한, 기계식 잠금 모드를 통해 오프로드 성능과 경사로 주행 능력을 강화해 리커버리 성능도 제공한다. 보그워너의 트랜스퍼 케이스는 온디맨드 및 파트타임 4WD 시스템을 통합한 설계를 적용해 SAIC 맥서스 차량의 전반적인 성능을 극대화하면서 기술적 신뢰성과 시장 검증을 기반으로 강력한 기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사벨 맥켄지 보그워너 부사장은 “보그워너는 SAIC 맥서스와 10년 이상 협력해 왔고 중국 및 해외 시장에서 맥서스의 확장을 지원할 것”이라 말했다.
데이원컴퍼니와 엑스와이지가 AI·로봇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로봇 프로그래밍부터 실무 교육까지 연계하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데이원컴퍼니는 성인 교육 콘텐츠 기업으로, 교육 플랫폼 운영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엑스와이지는 바리스타 로봇, 혈액 운반 로봇 등 지능형 로봇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로봇 실무자 양성을 위한 아카데미를 운영 중이다. 엑스와이지 아카데미는 두산로보틱스의 협동 로봇 E-Series를 활용하며, 엔비디아 플랫폼 및 비전 카메라가 장착된 워크 스테이션,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실습 장비를 제공한다. 최신 AI 기술인 VLA(Vision Language Action)와 Agent-based Root Simulation을 교육하며, 국내 최초의 휴머노이드 로봇 교육도 상반기 내 개강할 예정이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세 가지 주요 사업을 추진한다. 첫째, 패스트캠퍼스의 S/W·AI 교육 수강생을 대상으로 특화된 로봇 교육을 제공하며, 오프라인 체험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둘째, ‘AI+로봇’ 정규 과정을 개설해 3개월간 로봇 프로그래밍과 AI 연계 기술을 교육한다. 셋째
A10 네트웍스가 글로벌 애플리케이션 및 API 보안 기업 ‘쓰랫엑스(ThreatX)’의 프로텍트(ThreatX Protect) 부문 자산과 핵심 인력을 인수했다. 이번 인수로 A10 네트웍스는 웹 애플리케이션 및 API 보호(WAAP) 기능을 강화하고 사이버 보안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더욱 높일 계획이다. 최근 웹 애플리케이션과 API에 대한 공격이 증가하면서 기업 보안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쓰랫엑스 프로텍트는 행동 및 위험 프로파일링 기능을 제공하는 고유한 WAAP 기술을 갖추고 있으며, AI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위협을 포함해 다양한 보안 위협으로부터 기업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AI 방화벽을 보완할 수 있는 SaaS 솔루션으로 ‘API 보호’, ‘봇 관리’, ‘차세대 웹 애플리케이션 방화벽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인수로 인해 쓰랫엑스의 나머지 자산인 eBPF(extended Berkeley Packet Filter) 기반 솔루션 ‘TX Prevent’는 쓰랫엑스가 런 시큐리티(Run Security)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RS Prevent’라는 명칭으로 새롭게 출시될 예정이다. 쓰랫엑스
KT가 업무용 종합 포털 비즈메카EZ에 적용한 ‘AI 위협메일차단 서비스’가 중소기업 등 B2B 시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비즈메카EZ는 메일·전자결재·메신저·회계·HR 등 다양한 업무용 솔루션을 통합 제공하는 B2B 서비스로, 현재 7만 개 기업에서 약 50만 명이 이용 중이다. 최근 이메일 해킹 공격이 특정 기업과 직원을 대상으로 진화하면서 보안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KT의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AI 분석·탐지 기술을 적용한 메일 보안 솔루션으로, 신종·변종 해킹 공격을 사전에 탐지하고 접근을 차단한다. 고객사는 별도의 장비 설치나 도메인 변경 없이 이용 가능하며 비용은 이용자당 월 2000원 수준이다. AI 위협메일 차단 서비스는 ‘비밀번호 만료 안내’, ‘구매주문 위장 메일’, ‘글로벌 운송사 사칭 이메일’ 등을 탐지해 기업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KT는 AI 기반 기업 업무 지원을 위한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해 외부 기술·서비스와 협력도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KT는 비즈메카EZ 서비스 리뉴얼로 고객 중심 UI/UX 개선과 PC·모바일 메신저 개편을 연내 공개할 예정이다. 또한 영업활동 관리, 설문조사, 자원예약
안랩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사이버 레질리언스 확보를 위한 보안기술 개발 과제’에 참여한다. 이 과제는 공공 안전 서비스 분야에서 사람을 대신해 고난도 임무를 수행하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보안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안랩은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 공동연구개발기관이 개발한 로봇 보안기술 실증(PoC), 실증된 기술을 통합한 로봇 보안 프레임워크 개발, 로봇 보안 솔루션 기획 및 사업화를 수행할 예정이다. 안랩 컨버전스개발실 한태수 실장은 “안전한 국가 사이버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에 참여하게 되어 뜻깊다”며 “안랩의 보안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차세대 로봇 보안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 전했다. 헬로티 구서경 기자 |
SK텔레콤이 3월 3일부터 열리는 MWC25에서 AI 기반 산업 혁신 기술을 공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건설 현장 안전과 보안, K-콘텐츠 수출을 지원하는 AI 기술이 포함된다. 자율주행 로봇 이동을 지원하는 ‘VLAM’, 금융 사기 방지 솔루션 ‘FAME’, 글로벌 콘텐츠 시장을 위한 ‘AI 미디어 스튜디오’가 주요 기술로 소개된다. SKT는 건설 현장·병원·사무 건물에서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VLAM의 실증 결과를 발표한다. 이는 공간 분석 AI와 정밀 측위 AI를 활용해 로봇이 실시간으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다. 복잡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자재 운반과 병원 내 물품 배송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금융권과 협력해 보이스피싱·스미싱 등 금융 사기를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차단하는 AI 보안 솔루션 FAME도 공개한다. SKT 위치 데이터와 통신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사기 가능성이 감지되면 계좌 이체를 중단하거나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LLM 기술을 활용해 스팸 문자·악성 앱·악성 URL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기능도 포함됐다. AI 미디어 스튜디오는 영상 콘텐츠를 해외 시장에 맞게 현지
에어빌리티가 오는 26일부터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DSK 2025(Drone Show Korea 2025)에 참가해 차세대 eVTOL(수직이착륙 전기 항공기) ‘AB-0’ 실물을 최초로 공개한다. 이번 전시로 미래 항공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할 혁신 기술과 연구개발 성과를 선보이며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DSK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 및 항공 모빌리티 전시회로, 세계 주요 기업과 기관이 최신 기술을 공유하고 업계 전문가들이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에어빌리티는 이번 전시에서 AB-0을 비롯해 자사 항공 모빌리티 솔루션을 공개한다. AB-0는 고정익 기반의 수직이착륙(VTOL) 기술과 분산형 전기 팬제트 추진 시스템을 적용한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로 높은 안정성과 효율성을 갖추고 있다. 특히 기존 드론 대비 최대 20배 넓은 활동 반경을 제공해 산불 감시, 해안 감시, 안티드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이번 전시에서는 AB-0 외에도 10미터급 기체 ‘AB-2’의 스케일 목업과 시뮬링크 기반 교육용 기체 ‘AB-RC’도 함께 선보인다. 이재현 에어빌리티 부대표는 “DSK 2025는 글로벌 항공 모빌리티 시장의
정부가 18년 만에 망 분리 보안 정책을 완화하면서 보안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이버 위협헌팅 보안기업 씨큐비스타가 보안보고서 씨큐리포트로 해킹 및 네트워크 보안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맞춤형 제로 트러스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에 발표한 망 분리 정책 완화에 따른 제로트러스트 아키텍처(ZTA) 구현 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망 분리 의무화 규제가 풀리면서 AI, 클라우드 등 신기술 도입이 활발해진 반면 네트워크 해킹 위험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씨큐비스타는 각 산업군에 특화된 맞춤형 제로 트러스트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제로 트러스트는 ‘절대 신뢰하지 말고 항상 검증하라’는 원칙에 기반한 보안 모델이다. 기존 네트워크 보안 방식과 달리 내부·외부 사용자를 모두 의심하고 지속적으로 검증하는 강력한 보안 체계로, 미국 국방부는 2000년대 초 유사 개념인 '블랙코어' 전략을 도입했고, 2020년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는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SP 800-207) 가이드를 발표했다. 이후 2021년에는 연방 기관에 공식적으로 ZTA 적용을 명령했다. 씨큐비스타는 이러한 해외 사례를 바탕으로, 정부기관·국방·금융
영인모빌리티가 오는 2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되는 DSK 2025에 참가해 최첨단 드론 및 로봇 기술을 선보인다. 올해 10주년을 맞이하는 DSK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드론 전시회로, 15개국 290여 개사가 참여한다. 이번 전시에서 영인모빌리티는 ‘DJI Matrice 4 시리즈(4T, 4E)’, ‘Unitree 휴머노이드 로봇 G1’, ‘4족 보행 로봇 B2·GO2’, ‘드론 기반 첨단 감지 및 탐지 기술’을 선보인다. 영인모빌리티는 DJI 엔터프라이즈의 공식 파트너사로서 올해 1월 출시된 Matrice 4T와 Matrice 4E를 공개한다. 최신 Matrice 4 시리즈는 AI 기반 멀티 센서를 탑재한 컴팩트 드론으로 스마트 감지 기능, 레이저 거리 측정기, 향상된 탐지 기능을 갖추고 있어 수색 및 구조 임무에서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더불어 라이다, 3D 매핑, 분광 기술, 열화상 촬영, 대기오염 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등 다양한 드론 솔루션도 함께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글로벌 로봇 기업 Unitree사 휴머노이드 G1이 최초로 공개된다. ‘제2의 드론’으로 불리는 G1은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 속
파블로항공이 DSK 2025에 참가해 차세대 국방 드론 기술을 공개한다. 이번 행사에서 군집 드론 전투체계와 공격용 드론을 최초로 선보이며 국방 드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계획이다. 오는 2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DSK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드론 전시회로, 15개국 290여 개 기업이 참가한다. 파블로항공은 군집 드론 전투체계 및 공격용 드론 ‘PabloM S10s’, 저고도 운항 위험도 평가 시스템(L-ORAS), 대규모 불꽃드론쇼를 선보일 예정이다. PabloM S10s는 감시·정찰 및 공격 임무 수행을 위한 군집 드론으로, 메시 통신 기반의 군집 직충돌 공격이 가능하다. 다수의 소형 공격 드론이 경량 탄두(1kg급)를 탑재해 여러 방향에서 표적을 동시 타격하는 Salvo Strike 방식을 적용했다. 이는 기존 소형 드론의 낮은 탑재 중량 한계를 극복하고 목표물 타격 능력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적의 방어 능력을 무력화한다. 또한 K-MOSA(Korean Modular Open Systems Approach) 개념을 적용해 임무에 따라 장비를 신속히 탑재·교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자체 개발한 L-ORAS(Low-alt
한국훼스토가 GPTW 코리아(Great Place to Work Korea)로부터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을 포함한 6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지난 20일 콘래드 호텔 서울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한국훼스토는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 ‘대한민국 부모가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글로벌 ESG 인권 경영 인증’,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CEO(토마스 레킥 대표이사)’, ‘GPTW 파이오니아(신무경 R&D 본부장)’, ‘대한민국 자랑스러운 워킹맘(박정숙 파이낸스 매니저)’ 등 6개 부문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토마스 레킥 대표이사는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CEO 부문에서 수상하며 “이번 수상의 영광을 한국훼스토 임직원들에게 돌린다”고 전했다. 해당 부문은 신뢰경영 지수 평가를 기반으로 선정되며 회사 임직원들이 직접 경영자와 관련된 9개 평가 요소와 41개 설문 항목을 평가해 결정된다. GPTW 파이오니아 부문에서는 신무경 R&D 본부장이 수상했다. 이 상은 일하기 좋은 환경을 위한 리더십 혁신을 주도한 관리자에게 주어진다. 대한민국 자랑스러운 워킹맘 부문에서는 박정숙 파이낸스 매니저가 선정됐다. 해당 부문은 여성 직원
베스핀글로벌이 서울관광재단에 국내 관광 맞춤형 AI 여행 컨시어지를 공급했다. 해당 AI 에이전트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해 서울 관광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약 1630만 명에 달했다. 중국·일본·대만·미국 등 다양한 국적의 관광객이 방문해 이들 관심사는 연령과 여행 목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서울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에게 더욱 세밀한 관광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베스핀글로벌의 여행 컨시어지 AI 에이전트는 LLM 기반 AI 플랫폼 ‘헬프나우 AI(HelpNow AI)’를 활용해 개발됐다. 이 AI는 ‘명소·맛집·호텔·공연 정보 Q&A 및 요약’, ‘이색 맛집과 관광지 추천’, ‘주제별 여행 일정 생성’, ‘영어·일본어·중국어 등 다국어 서비스’, ‘생성형 AI 기반 하이브리드 검색’ 기능을 갖췄다. 향후 서비스 고도화로 멀티모달 및 다국어 지원 범위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AI 에이전트 개발을 위해 베스핀글로벌은 공공 데이터 포털·한국관광공사·서울 공식 관광 웹사이트 ‘비짓서울(Visit Seoul)’ 등 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