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일반뉴스

배너

전기차 시대, 아세안 지역 글로벌 생산 거점으로 성장 가능성↑

URL복사

 

한국자동차연구원, '아세안(ASEAN) 자동차 시장 동향 및 시사점' 발표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아세안(ASEAN) 지역이 글로벌 자동차 생산 거점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2018년 1월 아세안상품무역협정(ATIGA) 발효로 완성차 수입관세가 폐지되고, 2022년 1월 아세안자동차장치상호승인(APMRA) 발효로 교역 절차가 간소해져 아세안 역내 무역 원활화가 개선됐기 때문이다.

 

APMRA는 1958년 협정(UN자동차및장치·부품형식승인상호인정협정)을 참조해 도입됐으며, 아세안 회원국 간 특정 자동차 장치를 거래할 때 승인 절차를 간소화해 무역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1958년 협정은 자동차 및 장치·부품의 통일 기술 규정을 정하고 가입국의 형식 승인을 상호 인정하기 위한 제도로 한 가입국에서 형식 승인을 받은 제품은 재시험 없이 다른 가입국에서 수입·판매·사용될 수있다.

 

또한 일본 자동차 제조사가 거의 독점해온 아세안 자동차 시장에 전기차 전환이라는 새로운 기회가 창출돼 우리나라 및 중국 자동차 제조사가 아세안 지역에 공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다는 점 또한 근거다.

 

아세안 회원국 중 전기차 산업 주도국으로는 투자·제조 여건 상 인도네시아, 태국이 유력하다. 인도네시아는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필수 원재료인 핵심 광물(니켈 등) 보유량이 풍부해 해외 기업의 대규모 투자가 이어질 전망이며, 내수 시장 절대 규모가 크고 잠재 성장률이 높은 점이 강점이다.

 

태국은 자동차 생산·수출 기지로서 그간 축적된 부품사·인력·공급망 네트워크가 강점이지만, 인도네시아보다 높은 임금 수준, 낮은 인구 성장률, 기존 내연기관차 관련 사업 전환 부담 등은 상대적 약점으로 꼽힌다.

 

인도네시아·태국 소비자간 선호 차종 등에 차이가 있어 시장은 분할될 전망이다. 인도네시아, 태국은 전기차 산업 지원 정책에 현지 생산 요건을 부가해 자국 산업 육성을 촉진 중이다. 인도네시아는 2020년 니켈 원광 수출 금지 조치를 도입해 자국 내에서 배터리 제조·가공 공정을 수행하도록 하고 부품 현지화율 요건을 충족하는 전기차에 한해 사치세(15%)를 면제하고 있다.

 

태국은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 전기차·부품 기업 조세 혜택 적용 시 자국산 배터리·부품 사용 요건을 부가하고 있다. 태국은 전기차 구매 보조금 제도를 2022년부터 도입해 아세안 회원국 중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다. 자국산 배터리·부품 사용 요건을 부가해 배터리 제조 산업 기반을 구축하려는 목적이다.

 

인도네시아, 태국의 현지 생산 요건은 기업에 부담으로 작용하나 경쟁국 중국·일본에 비해 우리나라에 불리한 관세율 요건을 만회할 기회로 작용할 여지도 존재한다.

 

우리나라 對아세안 승용차 관세율은 40%로 중국 0%, 일본 20%보다 높아 수출에 불리한 측면이 있다. 다만 2022년 RCEP(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이 발효돼 일부 품목 관세율이 인하됨에 따라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적 영향이 기대된다.

 

그러나 전기차 산업 지원 정책에 현지 생산 요건이 부과됨에 따라 한·중·일 완성차 제조사 모두 현지 생산이 불가피해지며 동일한 경쟁선상에 서게 됐다고 볼 수 있다. 아세안 전기차 산업 주도국이 되기 위해 인도네시아와 태국이 현지 생산 요건을 부가하는 바,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 자동차 제조사는 현지 생산을 적극 추진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부터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를 생산해 아세안 시장에 판매 중이다. 또 최근 태국에 생산·판매 자회사를 설립, 기존 위탁판매 체제에서벗어나 직접 판매를 시작하고 태국 내 전기차 생산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헬로티 이동재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