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루프리즘이 제조산업의 스마트화를 총망라하는 '제1회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이하 컨퍼런스)'에 참여해 지능형 자동화(RPA)를 통한 미래의 디지털 공급망 구축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고 밝혔다.
올해 첫 개최를 앞둔 스마트제조 대전망 온라인 컨퍼런스는 국내 스마트 제조의 완성도를 높일 정부 제도 및 지원 정보를 시작으로, 스마트 제조를 구축하는 초기 단계부터 설계, 제조, 품질 검사, 유통 등 제품을 생산하는 각 과정의 기술과 특정 솔루션을 다룬다.
이에 블루프리즘은 지능형 자동화를 통한 공급망 물류 및 주문 프로세스 관리부터 공급망 장비 관리 및 공급망 개인화 대응, 관련 사례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발표연사로는 블루프리즘코리아 이준원 지사장이 참여한다.
제조 공급망의 다양한 기능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상호 영향을 주지만,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운영돼 비효율을 개선할 기회를 얻지 못하기도 한다. 제조업체가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을 갖기 위해서는 여러 공급망 기능에 걸쳐 일관되고 신뢰하는 데이터 흐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능형 자동화는 IoT, 센서 및 기타 첨단 기술로 생성된 압도적인 양의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수집, 전처리 및 분석한다. 장비 마모 및 파손 상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문제가 있는 프로세스를 보다 일관되게 찾아낼 수 있다.
이뿐 아니라 IoT 데이터를 보다 잘 이해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인사이트를 확보하며, 문제 발생 시기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수요의 최고점과 최저점을 파악해 수요가 가장 적은 시점에 비용 효율적으로 유지보수 일정을 정하고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블루프리즘 자동화 플랫폼은 문제에 대해 사전 예방적으로 대처하면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휴먼 시스템 간의 가교 역할을 수행한다. 공장 생산 라인에서는 하드웨어 및 IoT 센서를 사용해 제품 생산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고장이 발생할 경우 하드웨어 센서 경보가 황색·적색으로 점멸해 담당자에게 문제를 알린다.
블루프리즘 지능형 자동화 플랫폼은 IoT 데이터 등을 수집할 뿐 아니라, 센서 경보를 모니터링한다. 가시 경보 외에도 여러 채널로 사람에게 경보를 더 확실하게 알리는 가교 역할을 하고, 추가적인 조치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스마트제조 대전망 컨퍼런스는 24명의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정부의 정책은 물론, 스마트 제조 기술 및 솔루션 트렌드를 소개하고, 각 분야에 대한 업황을 전망하며, 이를 통해 2022 대한민국의 스마트 제조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컨퍼런스 사전 등록은 두비즈(duBiz)에서 진행 중이며, https://dubiz.co.kr/Event/44로 접속하면 된다. 사전 등록 신청자는 이메일로 참여 링크를 받게 된다.
헬로티 서재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