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을 맞이하기 전에 오랫동안 써온 안경을 벗기 위해 라식, 라섹 등 시력교정술을 알아보는 사람들이 있다. 대중적인 시력교정수술로 알려진 라식과 라섹 외에도 다양한 수술법과 이후 관리 등 확인해보는 것도 좋다.
시력 교정을 위해서는 먼저 각 수술법의 특징과 차이점 및 장단점을 알아보고 다각적인 정밀검사를 통해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친 뒤 내게 적합한 수술 방법이 무엇인지, 부작용 우려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식은 얇은 각막절편을 만들어 드러내고 각막을 깎은 뒤 다시 덮는 방식의 수술법이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통증이 적고 회복기간이 짧아 빠른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한 대신, 각막절편을 만들기 위해 20㎜ 이상을 절개하여 수술 후 안구건조증, 빛 번짐 등이 나타날 우려가 있고 절편을 만들기 때문에 외상에 취약해질 수도 있다고 한다.
라섹의 경우, 자연재생이 되는 각막 상피를 벗겨낸 뒤 각막 실질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각막 두께가 얇은 고도근시 및 초고도근시 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게 전문의들의 설명. 이들은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낮고 충격에 강해 우수한 안정감을 가질 수 있지만 수술 후 보호렌즈를 덮는 라식수술과 달리 통증이 심한 편이고 시력 회복도 3일후부터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해 빠르게 일상으로 복귀해야 하는 경우 적합하지 않다고 덧붙인다.
기존 라섹수술 방법의 각막상피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알코올이나 브러시 대신 레이저를 활용하는 방식의 올레이저 라섹와 같은 시술도 있다. 적은 각막 절삭으로 불필요한 각막 손상을 줄여 통증 부담은 덜고 회복 기간은 단축시켰으며 절편을 남기지 않아 외부 충격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레이저를 이용한 시력교정수술 방법으로 각막 절삭이 필연적이라 각막이 얇거나, 고도근시 등으로 각막 사용량이 많다면 시행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특수 콘택트렌즈를 삽입, 근시를 교정하는 안내렌즈삽입술(ICL)도 시행하고 있다.
인천부평성모안과 녹내장파트 권준기 원장은 “난시 교정용 안내렌즈를 삽입해 근시와 난시를 동시에 교정할 수 있어 근시뿐 아니라 난시가 심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수술 결과에 문제가 있을 경우 눈 속 렌즈를 제거하면 수술 전 상태로 돌릴 수 있어 안전성을 중요시하는 경우 렌즈삽입술을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이어 “라식, 라섹 등의 굴절 수술은 환자의 눈 상태에 따라 수술법이 달라지므로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한 시력교정술을 위해서는 각막 두께, 모양, 시력 검사, 망막검사 등 정밀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