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배너

국토부, OECD·ITF 회의 참석, 글로벌 리더십 강화 정책 협력 확대

URL복사

 

저출생·기후변화 등 국제 현안 공동 대응… K-Pass 등 우수 정책 홍보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가 5월 19일부터 22일까지 폴란드 바르샤바와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열리는 주요 국제회의에 잇따라 참석하며 글로벌 국토·교통 분야의 리더십 강화에 나선다.

 

박 장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지역개발 정책 장관급 회의(5.19~20)와 OECD 국제 교통 포럼(ITF) 교통 장관회의(5.21~22)에 참석하여 미래 국토 및 교통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다양한 양자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회의 참석은 저출생, 기후변화, 디지털 전환 등 전 세계적인 공동 과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한국 정부의 우수한 정책 사례를 국제 무대에 알리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광역 메가시티 구축 구상과 혁신적인 대중교통 지원 정책인 K-Pass 등을 소개하며 대한민국의 선도적인 역할을 강조할 예정이다.

 

OECD 지역개발 정책 장관급 회의, ‘회복력 있는 지역’ 위한 정책 논의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개최되는 OECD 지역개발 정책 장관급 회의는 OECD 지역개발 정책위원회의 주관으로 약 5년마다 열리는 최고위급 회의다. ‘회복력 있는 지역을 만들기 위한 지역 정책 강화’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회의에는 50여 개 국가 및 국제기구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며, 박상우 장관은 리드 스피커 중 한 명으로 지명되어 한국 정책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입증했다.

 

박 장관은 이 자리에서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한국의 초광역 메가시티 구축 방향과 혁신 성장 거점 조성 전략을 발표하고, 국제 사회와 함께 지역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OECD 국제 교통 포럼, 기후변화 대응 및 교통 복원력 강화 논의 독일 라이프치히에서 개최되는 OECD 국제 교통 포럼(ITF) 교통 장관회의에서는 ‘기후변화 대응과 교통 복원력 강화’를 핵심 의제로 논의가 진행된다. 전 세계 60여 개국 교통 장관 및 국제기구가 참여하는 이 회의에서 박상우 장관은 한국의 탄소 중립 교통 전환 정책과 재난·기후 위기 대응 방안을 국제 사회와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5월 21일 열리는 ‘기후변화 장관급 라운드테이블’에서는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K-Pass 정책을 소개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교통 거버넌스 개선 및 협력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더불어, APEC 회원국을 대상으로 올해 경주에서 개최되는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국제적인 관심과 지지를 요청할 예정이다.

 

양자 협력 및 기업 간담회를 통해 실질적 성과 도출

 

박상우 장관은 이번 회의 기간 폴란드, 우크라이나 등 주요 국가와의 양자 면담을 통해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현지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적극적인 소통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폴란드 기금 지역정책부 장관과의 면담에서는 스마트시티 분야 협력 강화를 위한 MOU 체결을 추진하고,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전권대표와의 면담을 통해 한-폴란드 간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다. 또한, 폴란드 인프라부 장관을 만나 폴란드 신공항 고속철도 및 신규 도로 건설 사업 등 교통 인프라 사업에 우리 기업의 참여 확대를 위한 지원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우크라이나 재건 부총리와의 면담에서는 양국 간 재건 협력 현황을 점검하고, 투자 개발 사업(PPP) 등 다양한 방식의 재건 사업에 우리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폴란드에 진출한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기업 관계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의지를 강조할 예정이다.

 

박상우 장관은 “이번 OECD 및 OECD ITF 회의를 통해 당면한 글로벌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 사회와의 연대에 적극 동참하고, 주요 의제를 선도하기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를 분명히 밝힐 것”이라며, “한국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국내 국토·교통 분야 정책을 포용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글로벌 공동 현안 해결을 위한 OECD의 가치와 규범 확산에 적극 협력하고 역할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









배너









주요파트너/추천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