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5차 광역 교통 시행 계획 수립 가속화
충청권 메가시티 실현 박차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 이하 대광위)는 5월 14일(화) 한국철도공사 대전 충남본부에서 '제5차 광역 교통 시행 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충청권 간담회를 개최하고, 대전‧세종‧충청권의 교통 인프라 전략을 본격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강희업 대광의원장을 비롯해 유득원 대전광역시 행정부시장, 박정주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이동옥 충청북도 행정부지사 등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들과 한국교통연구원, 지역 연구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대광위는 이번 간담회에서 충청권 광역 교통망 확충과 대전~세종 간 통행 수요 대응 등 지역 현안을 점검하고, 2026년부터 시행될 제5차 광역 교통 시행 계획에 반영할 8건의 신규 사업 제안을 논의했다.
충청권 교통 현안 및 신규 사업 제안
대전시는 충청남도와 함께 추진 중인 충청권 광역철도(1단계) 사업(연장 35.4km, 12개 정거장)을 비롯해, 제4차 계획에 반영된 기존 9개 사업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새로운 환승센터 1건의 추가 반영을 요청했다.
충청남도는 세종~공주 광역 BRT(간선급행버스) 사업의 진행 상황을 보고하고, 신규로 ▲광역철도 2건 ▲광역도로 1건 ▲광역 BRT 1건 등 총 4건의 신규 사업 반영을 건의했다.
충청북도 역시 대전 세종 충북 광역철도 등 5건의 기존 사업 진행 현황을 공유하고, ▲광역도로 1건 ▲환승센터 2건 등 총 3건의 신규 사업 반영을 요청했다. 해당 철도사업은 현재 민자 적격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교통 거점으로서의 충청권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대전‧세종‧충청 지역은 행정과 교통의 중심축이자 수도권 과밀 해소와 국가균형발전 실현의 전략 거점”이라며, “광역 교통망을 통해 충청권의 통합적 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지난해 출범한 ‘충청 광역 연합’을 언급하며, 지자체 간 협력이 본격화한 만큼 초광역권 교통 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향후 일정 및 계획
한국교통연구원은 간담회에서 신규 제안된 8건의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B/C) 결과와 향후 추진 절차(공청회, 지자체 협의 등)를 설명했다.국토부와 대광위는 오는 6월 수도권 간담회를 개최하고, 연말까지 제5차 광역 교통 시행 계획을 최종 확정‧고시할 계획이다.
한편, 제4차 광역 교통 시행 계획(2021~2025)에는 ▲광역철도 47건 ▲광역도로 25건 ▲광역 BRT 12건 ▲환승센터 44건 등 총146개 사업(국비 28조 원 규모)이 포함된 바 있다.
헬로티 김근태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