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개발 엘리베이터 연동 솔루션 ‘rEMS’ 접목 “케어 로봇 디지털 관리 솔루션의 새로운 표준 제시할 것” 라이노스가 인공지능(AI) 청소로봇 시리즈 ‘휠리(Wheelie)’에 자체 개발 엘리베이터 동기화 솔루션 ‘rEMS(Elevator Management System)’을 적용했다. rEMS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최신 엘리베이터 오픈 API(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부터 구형 엘리베이터까지 호환 가능한 엘리베이터 연동 기술이다. 라이노스 측에 따르면, 이 기술은 현대엘리베이터, 티케이엘리베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 미쓰비시엘리베이터, 쉰들러, 삼일엘리베이터, 대성엘리베이터, 누리엘리베이터, 새한엘리베이터, 미래엘리베이터, SL&C 등 업체 엘리베이터와 폭넓게 연동된다. 현재 일본·유럽 등 제품에도 호환되도록 검증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앞서, 라이노스는 서울대학교병원에서 2년 동안 ‘휠체어 로봇 시범사업’을 진행했다. 이를 확장해 휠리에도 해당 기술을 이식했다. 향후 국내 한 요양병원에 rEMS 기반 휠리를 공급하기로 했다. 이 병원 관계자는 “휠리는 청소 및 시설관리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라며
요꼬가와전기는 재생 에너지 관리 솔루션(REMS)의 선도적인 공급업체인 BaxEnergy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요꼬가와는 유럽 전역의 주요 전력 회사에서 이미 채택한 검증된 솔루션을 제공받게 된다. 요꼬가와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 및 애프터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글로벌 에너지 자산 소유자에게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재생 가능한 발전 시설을 운영하는 전력 회사들은 각 자산의 출력을 극대화하고 유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운영의 수익성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BaxEnergy는 2010년에 설립된 회사로, 핵심 IT 및 비즈니스 시스템을 수정할 필요 없이 유연하고 확장 가능한 REMS를 제공한다. 이 솔루션은 다양한 재생 가능 발전 시설의 관리를 통합할 수 있는 고유한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제조업체의 터빈, 인버터 및 기타 발전 장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BaxEnergy 솔루션은 플랜트 가용성을 최대 10% 향상시키는 능력을 입증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관리를 통합함으로써 고객은 스마트폰, 태블릿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장치에서 맞춤형 KPI 및 알람 정보를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