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케스트로의 AI 계열사인 오케스트로 AGI가 생성형 인공지능 지식 데이터베이스 검색 플랫폼 ‘G-AIDSP’로 GS(Good Software) 인증 1등급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인증을 통해 오케스트로 AGI는 AI 기술력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으며, 공공 및 민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공고히 하게 됐다고 전했다. GS인증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주관하는 국가 공인 인증 제도로 국내 소프트웨어 제품의 기능성, 사용성, 신뢰성, 효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한 품질을 갖춘 제품에 부여된다. 특히 GS인증 1등급은 최고 품질 기준을 충족한 제품에만 수여된다. GS인증 1등급을 획득한 G-AIDSP(Generative AI DB Search Platform)는 생성형 인공지능 지식 데이터베이스 검색 플랫폼으이다. 복잡한 학습 데이터 관리, 내부 문서를 활용한 AI 검색과 챗봇 운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관리 문제를 해결하는 최적화된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또한 글로벌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한 최신 GS인증 제품으로, W3C 글로벌 표준인 데이터카탈로그 v3.0(DCAT 3.0)을 기반으로 표준 학습 데이터 관리, 증강
엘리스그룹이 지난 11일 SaaS 전문기업 육성 우수 기업(CSP)으로 선정돼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2024 그랜드 클라우드 컨퍼런스’ 중 열린 클라우드 개발 지원사업 성과발표회에서 진행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국내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산업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해 ‘2024년도 유망 SaaS 개발·육성 지원 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엘리스그룹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업자(CSP)로 참여해 AI 전용 클라우드 서비스와 클라우드 활용 교육 및 기술을 지원했다. 엘리스그룹은 이번 시상식에서 고성능의 GPU·NPU 기반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해 AI 기업의 SaaS 개발 및 사업화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엘리스그룹은 직접 PMDC(Portable Modular Data Center) 방식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엘리스클라우드’를 제공 중이다. 국내 서버팜을 이용해 민감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주권 규정을 준수하는 것은 물론, 정보보안 국제인증인 ISO27001과 ISO27701를 보유하고 있어 보안 안정성이 입증된 환경에서 기업들이 SaaS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특히 국산 NPU 기반
플래티어는 지난 2일부터 3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중소기업기술마켓 ‘한-베트남 ICT 비즈니스 서밋 2024’에 참가해 베트남 현지 기업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중소기업기술마켓의 해외진출 지원 제도의 일환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 베트남 소프트웨어 및 IT 서비스 협회(VINASA, Vietnam Software & IT Services Association)가 공동 주관했다. 국내 중소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비즈매칭, 기업·기관 방문 등 현지 기업들과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제공했다. 플래티어는 자사의 AI 개인화 마테크 솔루션 ‘그루비(groobee)’의 개인화 마케팅 성공 사례를 소개하며 현지 주요 인사 및 IT 기업 전문가들의 큰 주목을 받았다. 심층 논의를 위한 비즈매칭도 진행했으며 그루비의 기술력에 대한 신뢰성을 인정받아 NTQ Solution, Luvina Software, VMO Holdings, Fabbi, LTS Group, VNEXT Holdings 등 현지 6개 기업과 업무협
아비바는 AWS와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양사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아비바 애플리케이션을 즉시 사용 가능한 통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솔루션으로 클라우드에 제공함으로써 인더스트리얼 고객 지원을 강화한다. 아비바는 AI를 통해 상호 운용성을 높이기 위해 AWS와 협력하고 있다. 데이터 모델 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면 디지털 트윈 구축이 어려워지고, 데이터 모델을 만드는 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아비바와 AWS는 데이터 사일로 및 산업 데이터 표준 전반에 걸쳐 데이터 관리 복잡성을 줄여 가치 실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핑 기능을 AWS 플랫폼에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 체결은 아비바 고객에게 중요한 가치를 제공한다. AWS와의 협력을 통해 아비바는 화학 및 식음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그 이점을 더욱 확장해 솔루션 접근성을 향상시켜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아비바는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의 전환을 통해 모든 산업 부문에서 경제적이고 민첩한 기술 접근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지능형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대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상호 운용 가능한 솔루션은 고객
비젠트로가 인공지능(AI) 기반 SaaS 솔루션으로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꾼다. 비젠트로는 13년간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내년 초 혁신적인 AI 에이전트(Agent) 기반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비젠트로는 국내외 2000개 이상의 기업에 디지털 전환(DX) 솔루션을 제공해온 IT 전문기업으로 다양한 기업용 솔루션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지원해왔다. 기존의 온프레미스(구축형) 솔루션에서 나아가 이제는 SaaS형 클라우드 서비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비젠트로의 디지털 전환 핵심 전략은 전 솔루션에 AI 기술을 탑재하는 것이다. 특히 ▲전사적 자원관리 솔루션(UNIERP) ▲제조 실행 시스템(UNIMES) ▲통합 업무 솔루션(UNIPORTAL) ▲통합 인사 시스템(UNIHR)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솔루션(UNIBI) ▲AI 분석 솔루션(UNIAnalytics) 등 다양한 솔루션에 AI 기능을 도입해 챗봇 형태의 AI 에이전트가 추가되고 기능 고도화가 진행 중이다. 비젠트로는 자사의 AI 기반 실시간 데이터 분석 솔루션 제니틱스(Zenitics)와 SaaS형 통합 비즈니스 솔루션 제니원(Zeni
위베어소프트(대표 장영휘)가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에서 주관하는 ‘2024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3차 디딤돌’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 디딤돌 과제는 혁신적인 기술을 보유한 창업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R&D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번 선정으로 위베어소프트는 1년간 1.2억 원의 기술개발 자금을 지원받게 된다. 위베어소프트는 이를 통해 오픈 API 서버를 보호하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기반의 보안 SaaS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 솔루션은 API 보안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위베어소프트의 장영휘 대표는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와 API 연계를 사용하는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경계 기반 보안 모델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기업들이 민감한 데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위베어소프트는 2021년 티맥스소프트의 핵심 연구원 출신 3명이 창업한 기업으로, 미들웨어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Open API의 확산에 따라 API Gateway 및 Management와 같은 핵심 미들웨어 시장의 성
지엔(ZIEN)이 XIoT 펌웨어 보안 SECaaS(Security as a Service) ‘Z-IoT’ 오픈베타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Z-IoT는 IoT 디바이스에 탑재된 펌웨어(기기 내 주요기능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점검해주는 솔루션이다. 펌웨어를 이 솔루션에 업로드하면 패스워드, 암호화 파일, 바이너리,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제로데이 등을 분석해 펌웨어 내 보안 취약점을 찾아준다. Z-IoT는 지엔이 자체적으로 개발해 특허인증을 받은 자동화 솔루션으로 보안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보안점검 시간 등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이 솔루션은 취약점 분석시간을 기존 수동점검 대비 25%로 감축시켰다. 약 4배 가까이 빨라진 작업 속도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365일 연중무휴 사용 가능하다. 기존 펌웨어 취약점 분석은 리버스 엔지니어링(역공학)을 통한 전문가들의 수동 작업이 주를 이뤘다. IoT 디바이스 종류는 수백억 개에 달하는 반면, 이를 점검할 수 있는 관련 지식을 갖춘 보안 전문가의 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기업들은 디바이스 취약점 분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했지만 한정적인 자원량으로 보안점검 한계
코오롱베니트가 텔레칩스에 클라우드 기반 인사관리(HR) 솔루션 ‘SAP 석세스팩터스’를 구축한다고 3일 밝혔다. SAP 석세스팩터스는 글로벌 HR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솔루션으로 모든 종류의 인사관리 서비스 모듈을 제공한다. 코오롱베니트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텔레칩스의 분산된 인사 데이터를 통합 전산화해 그룹웨어·SAP ERP 등과 연결하고, 인사 운영의 전 영역을 지원하는 HR 통합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한 코오롱베니트의 풍부한 HR 시스템 구축 경험과 석세스팩터스가 제공하는 모범 인사 운영 제도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를 기반으로 텔레칩스 조직 특성에 맞는 인사 시스템 도입을 지원한다. 김진희 텔레칩스 HR팀장은 “이번 프로젝트의 목표는 업무 효율성 개선은 물론 체계적인 팹리스 전문 인재 육성 및 관리를 통한 당사의 미래 경쟁력 확보에 있다”며 “코오롱베니트의 다양한 HR 솔루션 구축 경험과 AI, 클라우드 기술 지원 역량을 바탕으로 이번 구축 사업이 상호 도약을 위한 교두보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코오롱베니트는 이번 사업을 시작으로 기존 온프레미스 HR 및 SAP ERP 구축 영역에서 클라우드 HR 구축 영역까지 사업을
‘디지털 ESG 컨퍼런스’서 중소·중견기업의 국제 환경규제 해법 제시 “LCA도 디지털 전환 필수...SaaS 기반 탄소 배출 데이터 관리 플랫폼이 트렌드 선도” 이상기후에 따른 기후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하고 있다. 연년 기상이변 사례가 전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는 것을 체감한 인류는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형태의 전략이 필요함을 인식하기 시작했다. 사실 이상기후는 비교적 오래 전부터 인류와 함께했다고 분석된다. 이상기후가 새로운 글로벌 어젠다로 다뤄지기 시작한 초기에는 캠페인 형식의 범지구적 자발활동을 주문했다. 이 양상이 이어지던 중 지구에 지속 축적된 온실 및 배기 가스로 인해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강제성을 부여한 환경규제가 연이어 등장했다. 이러한 변화는 지난 2015년 열린 무기한 기후변화협약인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이 신호탄이 됐다. 이를 기점으로 기업의 환경·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ESG 경영 트렌드가 전파되면서 전 세계 산업은 새 차원의 국면을 맞았다. 이어 유럽연합(EU)이 ‘디지털 제품 여권(DPP)’, ‘배터리법(Battery Regulation)’,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환경규제 정책을 내놓으면서 제품 생애
스마트 온도 조절기, 가상 비서 기술, 디지털 도어락 등 여러 가정용 애플리케이션부터 의료 및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이르기까지, 사물 인터넷(IoT) 시스템을 통해 모든 것이 연결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 속에서 임베디드 시스템 보안 강화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는 Trust 플랫폼 제품군을 확장, 쿠델스키 IoT keySTREAM을 추가한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의 솔루션 ‘ECC608 TrustMANAGER’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를 통해 사물 인터넷 제품의 보안을 더욱 강화하고 보안 설정 및 기능 관리를 더욱 쉽게 구현할 수 있다고 마이크로칩은 설명했다. 새로운 ECC608 TrustMANAGER 솔루션은 keySTREAM을 통해 실제 사용되는 보안 자격 증명을 현장에서 바로 관리하고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제조 과정에서 한번 설정돼 이후 변경이 어려웠던 인증서 체인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정의 암호화 자격 증명을 별도의 공급망 변경 없이도 엔드포인트에 정확하게 프로비저닝하여 최종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keySTREAM은 기기와 클라우드 간의 연결을 통해
시마크로가 공정 디지털 트윈 SaaS 솔루션 ‘프로세스메타버스’ 기능을 소개하는 ‘프로세스메타버스 데모데이’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진행했다. 프로세스메타버스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화학·바이오 공정 관리 시스템에 존재하는 비효율을 해결하는 SaaS 솔루션이다. 고객사 제조 설비를 가상 공간에 그대로 구축, 실제 설비와 연동을 통해 효율적인 공정 관리를 실현한다. ▲설비 데이터 확인 ▲실시간 공정 운전 ▲메타버스 공정 시뮬레이션 등 설비 운영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다. 이러한 기능들은 프로세스메타버스 내 통합 대쉬보드 ‘프로세스 캔버스(Process Canvas)’에서 일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이 날 행사는 HD현대오일뱅크, CJ제일제당, 삼성엔지니어링 등 초청받은 주요 고객사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윤정호 시마크로 대표의 프로세스메타버스 소개를 시작으로 김왕수, 황희원 화학 공학 박사, 조명수 컴퓨터 공학 박사 등 시마크로 주요 엔지니어들이 자세한 기술적 강점을 설명했다. 윤정호 대표는 “시마크로는 약 5년간 쌓아온 상업 공정 모델링 디지털 트윈 구현 노하우를 기반으로 세상에 없던 서비스를 론칭하려고 한다”며 “바로
오늘날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중소기업은 클라우드의 힘을 활용해 혁신을 이루고 새로운 고객과 신규 수익원을 발굴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에 각각의 중소기업이 요구하는 지역 및 산업의 조건, 선호하는 배포 모델, IT 역량 등 고유한 개별 니즈를 이해하는 전문가와 협력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 파트너는 고객이 AWS를 통해 비즈니스 성과를 가속화도록 지원한다. AWS는 고객의 이러한 비즈니스 여정을 지원하고자 다양하고 진화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파트너 솔루션을 찾을 수 있도록 AWS SMB 컴피턴시를 발표했다. AWS SMB 컴피턴시 파트너들은 중소기업의 모든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솔루션과 제품을 제공한다. 마이그레이션 및 현대화, 보안, 데이터 스토리지, 재해 복구, 인공 지능(AI)·머신러닝(ML) 등의 플랫폼 솔루션과 더불어 회계, 리소스 관리, 고객 서비스 및 관계 관리 등의 SaaS 솔루션 또한 제공한다. AWS 파트너들은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아키텍처 및 고객 사례 세부 검토를 포함한 AWS 솔루션 및 실행에 대한 엄격한 기술 검증과 평가를 거친다. 함기호 AWS 코리아 대표는 "AWS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KOSA) 산하 SaaS추진협의회(이하 사추협)는 성공적인 디지털플랫폼정부 구축과 국내 SaaS 솔루션의 글로벌 진출 기반 마련을 위해 메가존클라우드를 제2대 회장사로 추대한다고 29일 밝혔다. 대한민국 디지털 혁신과 국내 SW의 SaaS 전환 지원을 위해 지난 2021년 발족한 SaaS추진협의회는 제1대 회장사인 베스핀글로벌과 함께 국내 SaaS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제도 개선 및 정책 건의, SaaS 전환 사업 지원, SaaS 특화 컨퍼런스 SaaS Summit 개최 등 여러 활동을 수행해왔다. 사추협 사무국은 그간 활동을 기준으로 ▲정책·제도 마련 위한 대정부 협상력 ▲SaaS 생태계 조성 기여도 ▲사추협 회원사 내 영향력 등을 고려해 후보 리스트를 선정하고, 임원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적으로 메가존클라우드를 제2대 회장사로 추대했다. 또한 회장사 추대와 동시에 새롭게 부회장사 직책을 신설해 역량있는 SaaS 기업을 부회장사로 선임, 사추협 활동의 새로운 동력을 부여하고 SaaS 업계가 원하는 방향에 맞춰 역량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기존 SW의 SaaS 전환 확대 ▲공공부문 내 민간 SaaS 활성화 ▲국내 SaaS의 글로벌 진
베스핀글로벌이 AWS 기반 SaaS 솔루션의 설계 및 구축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받아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로부터 'AWS SaaS 컴피턴시'를 획득했다고 27일 밝혔다. AWS SaaS 컴피턴시는 AWS 기반 SaaS 솔루션의 설계 및 구축에 특화된 전문성을 갖추고, 검증된 고객 성공 사례를 다수 보유한 컨설팅 파트너에게 수여하는 인증 프로그램이다. AWS 파트너 네트워크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AWS SaaS 컴피턴시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AWS 기반의 SaaS 및 클라우드 네이티브 솔루션의 설계와 구축 경험을 다수 보유해야 한다. 또한 레거시 애플리케이션을 AWS 클라우드로 성공적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어야 하며, SaaS 솔루션의 효과적인 구축과 최적화에 필요한 엔드 투 엔드 솔루션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전문성 역시 필수적이다. 베스핀글로벌은 AWS의 엄격한 검증 절차와 다수의 고객 사례 평가를 거쳐 SaaS 컴피턴시를 획득했다. AWS 인프라를 토대로 복잡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SaaS 솔루션을 설계하고 구현할 수 있는 전문성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SaaS 애플리케이션 개발 지원 능력을 인정받았다. 베스핀글로벌은 지난 해 SaaS 상품의 개발과 운영
퀸텟시스템즈는 BI(Business Intelligence) 솔루션 'CALS 애널리틱스(Analytics)'를 출시했다고 7일 밝혔다. CALS 애널리틱스는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는 시각화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는 SaaS형 BI 솔루션이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쉽고 빠르게 데이터를 분석해 사용자 그룹별 대시보드와 리포트를 추출해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ICT 환경에서 빅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은 기업의 비즈니스와 직결된다. CALS 애널리틱스는 불필요한 데이터 활용 리소스를 절감하는 한편, 유의미한 정보를 분석 결합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퀸텟시스템즈는 CALS 애널리틱스 출시를 기념해 고객 특별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프로모션 기간 동안 '라이센스형' 패키지를 선택하면 라이센스 비용만 지불하고 교육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자체적으로 구축 가능하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도입을 원하는 고객은 '구축형' 패키지를 선택해 1년간 라이센스 비용을 지원받는다. CALS 애널리틱스는 설립 이후 20년간 CRM 시장 점유율 1위를 지켜온 퀸텟시스템즈의 노하우와 경험을 살려 마케팅 전략과 시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