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자원 순환 등 지속 가능한 철도 모빌리티 실현에 ‘뜻모아’ 슈나이더, 알스톰 탄소 배출량 감축 SBTi 실현에 관련 솔루션 지속 공급 슈나이더일렉트릭과 유럽 철도 업체 알스톰이 철도 모빌리티 분야에 지속가능성을 불어넣기 위해 협력한다. 알스톰은 열차, 신호 시스템, 인프라, 유지보수 서비스 등 철도 산업에 요구되는 각종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양사는 오랜 기간 지속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철도 모빌리티 산업의 환경적 위해성을 저감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힘을 합치기로 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지속가능성 슬로건 ‘임팩트(IMPACT)’를 토대로 한 기술 및 솔루션을 알스톰에 제공한다. 특히 전력기기 분야 환경오염 주범으로 인식되는 육불화황(SF6)을 배제하는 친환경 디지털 고압 스위치 기어 ‘SF6 프리 에어셋(SF6 Free AirSet)’ 공급이 양사 협력의 시발점이 될 전망이다. 해당 솔루션을 통해 유해가스 저감, 장비 수명 연장 및 자원 순환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으로 알스톰이 보유한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달성을 지원하고, 이 밖에 관련 데이터 수집부터 설비 예측 유지보수까지 가능하도록 인프
한국전기연구원, 친환경 절연가스 개발 및 전력기기 적용, 국제 규격 차단 성능 시험 통과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이 전력기기 분야에서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SF6(육불화황)를 대체하는 ‘친환경 절연가스’를 개발하고, 이를 초고압 송전급 차단기까지 적용할 수 있는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전력기기는 돌발사고 대비 및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전기를 차단하는 ‘절연(insulation)’ 기능이 반드시 필요하다. SF6 가스는 절연 성능이 우수하고, 계통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전류를 차단하는 아크소호 성능이 뛰어나 전력기기 분야에서 50년 넘게 사용돼 왔다. 하지만 SF6는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가 이산화탄소의 2만 3500배에 이르며, 대기에 한 번 누출되면 무려 3200년을 존재하면서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역시 한국전력이 배출하는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SF6 가스가 차지하고 있어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대체제 개발 연구가 시급하다. 이러한 SF6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가스 개발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지만
SM AirSeT, RM AirSeT, GM AirSeT 3종...다양한 전력 용량 커버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육불화황(이하 SF6)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배전반 AirSeT 제품군을 제안했다. 절연성이 뛰어나 반도체 전자제품 생산공정에 주로 사용되는 육불화황(SF6) 가스는 기후 변화에 영향을 주는 온실가스의 주범으로 꼽힌다. 특히 이산화탄소(CO2)보다 온난화 지수가 2만 3900배 높으며, 대기 중 잔존 시간도 최대 3200년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유럽을 비롯해 전 세계가 SF6 가스 사용을 규제하고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다각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완전한 SF6 Free AirSeT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친환경 스위치기어로 시장의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 AirSeT 제품군은 1차 배전반용인 GM AirSeT 외에도 2차 배전반용인 SM AirSeT, 링 메인 유닛 (Ring Main Unit, RMU)인 RM AirSeT 등 3가지 라인업을 갖추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친환경배전반 AirSeT 제품군은 가스 대신에 공기 절연 션트 진동 차단 기술(Shunt Vacuum Interruption, 이하 SVI)을 이용해 공기를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프랑스 자동차 그룹 ‘르노(Renault)’의 리팩토리 공장에 고압 수배전반 ‘SM AirSeT’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F6(육불화황)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약 2만 배 강한 지구 온난화 유발 물질이다. 이에 현재 미국 및 유럽 등은 SF6 가스 사용에 대해 징벌적 세금을 부과하는 등의 규제를 시행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SM AirSeT’은 친환경 디지털 고압 수배전반이다. ‘공기 절연 션트 진동 차단 기술(Shunt Vacuum Interruption)’을 활용해 ‘SF6’ 가스절연 수배전반을 SF6가스가 없는 친환경 고압 수배전반으로 대체하도록 설계했다. SM AirSeT는 데이터센터와 산업 현장 및 상업용 빌딩 등 2차 배전 시장에 활용한다. 너비 최소 37mm, 높이 최소 1,600mm인 고압 수배전반으로, 설치 공간에 제약이 있는 현장에 설치한다. 통합 스마트 센서를 통해 각종 계측치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해 보안과 유지보수, 전력 신뢰성 향상 등을 가져온다는 장점이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해당 기술을 통해, 온실가스 중 하나인 SF6 가스를 공기로 대체해 ESG 경영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오늘날 전 세계 산업에서는 ‘친환경 전력 관리’를 주목하고 있다. 탄소중립에 대한 중요성이 산업 분야에서 높아짐에 따라, 기업들은 전력 관리 부문에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해법 찾기에 나서고 있다. 친환경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해온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선보인 배전반은 탄소중립에 한 걸음 다가선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슈나이더 일렉트릭 신형호 매니저를 만나 SF6-free 배전반에 대한 소개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당사의 미래 전략을 들어봤다. AirSeT 배전반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부탁한다. AirSeT 배전반은 공기 절연 션트 진동 차단 기술(Shunt Vacuum Interruption, 이하 SVI)을 사용해 SF6 가스 대신 공기를 사용하는 고압 스위치 기어다. SF6 가스가 배전반 내에 전혀 사용되지 않으므로 환경영향을 줄이고, 가스를 사용하지 않기에 배전반 폐기 시 가스 처리 비용도 절감한다. 더욱이 AirSeT 장비는 다른 대체 가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향후 규제 조치와 관련된 염려사항도 전혀 없으며, 가스를 취급할 시 운영 인원에 특별한 주의사항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 제품을 개발하게 된
한전 SF6 분해기술, 1200°C로 열분해 후 유해물질 냉각·중화시켜 '22년 6월 연간 60만톤 처리…'50년까지 6000여톤 SF6 전량 무해화 한국전력(이하 한전)은 자체 개발한 SF6 분해기술로 국가철도공단(이하 철도공단)이 보유한 이산화탄소(CO2) 837만톤(SF6 350톤)을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전과 철도공단은 12월 28일 ‘2050 탄소중립’의 적기 달성을 위하여 'SF6 분해기술 공동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이 날 협약식은 한전이 개발한 SF6 분해기술을 철도공단에 확대하여 공동 활용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기술의 상호공유 등을 협력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SF6(육불화황)는 ‘황’과 ‘플루오린(불소)’의 화합물로 절연성능이 우수하여 전력설비인 개폐기 등에 절연가스로 사용되고 있으나,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이산화탄소의 23,900배에 달하는 대표적 온실가스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전은 2020년부터 SF6 분해기술 연구개발에 착수하였고, 고농도의 SF6를 1200°C의 고온으로 열분해하고 유해물질을 냉각·중화하여 무해화하는 기술을 자체 개발하였다. 2022년 6월 분해설비 1기 건설이 완공되면 연간 60톤 규모
헬로티 서재창 기자 |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SF6(육불화황)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 및 디지털 고압 스위치 기어 SM AirSeT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2차 배전 제품군 중 하나인 SM6의 친환경 버전이다. SF6(육불화황)가스는 수 십년간 중전압 및 고전압 전류를 절연하고 차단하는데 사용됐으나, 이산화탄소보다 2만3500배 강력한 온실가스라는 점이 밝혀지며, 지구 온난화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기존에 사용하던 SF6가스를 대체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과거 전력 개폐기에서 SF6를 제거한 제품이 있었으나, 보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경우에는 스위치를 진공 회로 차단기로 교체해 사용하기에 장비가 복잡해지고, 변압기의 퓨즈 보호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회로 차단 장치인 스위치 기어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어야 하고, 자체 절연되고 안전한 작동을 보장해야 한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공기 절연 션트 진동 차단 기술(이하 SVI) 을 사용해 공기와 진공으로 SF6 고압 스위치 기어를 SF6가스가 없는 고압 스위치 기어로 교체한다. 이전처럼 사용이 간편하지만, 스위치의 성능이 동
[헬로티] ▲전기·전자 탄소중립 위원회 출범식이 15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출처 : 산업통산자원부) 전자·전기·전지 업계가 2050년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산‧학‧연‧관 협의체인 “전기전자 탄소중립 위원회” 출범식을 개최하고, “2050 전자·전기·전지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전자·전기·전지업계 대표기업 8개 사는 “2050 전자·전기·전지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에 서명해, 탄소중립에 대한 적극적 동참 의지를 공식 표명했다. 참석기업들은 향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업계의 노력과 공감대를 주요 수요기업 및 협력사 등으로 확산시켜 나가기로 약속했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각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 현황, 탄소중립 도전을 위한 혁신기술 과제, 향후 탄소중립 실행방안 등이 논의됐다. 전기전자 산업은 연간 9.7백만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다양한 제품·부품 제조과정에서 전력사용에 따른 간접배출과 제품에 직접 포함되는 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