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사토(SATO)는 전 세계 20여 개국으로 제품을 공급함과 동시에 고객 센터를 운영 중이며 세계 정상급의 파트너들과 손잡고 해외시장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회사다. 그리고 SATO 코리아는 2006년 설립되어 헬스케어, 리테일, 제조, 유통 및 정부과제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혁신적인 auto-ID 솔루션을 선도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질문. 2021년을 돌아봤을 때 주요 성과와 아쉬웠던 점을 꼽는다면 무엇이 있는가? A. 지난 2021년은 동종업계 모든 회사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매출에 타격이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당사 역시 기존 비즈니스들은 크게 성장시키지 못했다는 점이 못내 아쉬운 점이다. 이에 반해 기존 고객사외에 특정 산업군의 새로운 프로젝트에 역량을 집중해 2021년 하반기부터 주력모델인 CL4NX PLUS 공급 중이다. 이 부분이 큰 성과였다고 생각한다. 질문. 사토는 인더스트리4.0, 스마트제조, 스마트공장의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 A. 지금까지는 단순히 어느 곳에서든 사용하기 쉽게 하는 것이 소비자가 원하는 가장 중요한 점이었다. 그러나 현재 이런 추세는 변화해 단순한 제품의 공급이 아닌 통합된 솔루션을
[첨단 헬로티] JDA 소프트웨어 그룹이 최근 일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사토(SATO)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 이 기술 파트너십은 JDA Warehouse Management와 JDA Warehouse Labor Management를 사토의 Visual Warehouse Solution과 결합하여 IoT 및 빅데이터와 같은 디지털화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제휴를 통해 JDA와 SATO의 솔루션을 함께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물류 프로세스를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JDA와 SATO는 2019년 3월까지 5개의 주요 식품 및 음료 회사에 이 솔루션을 배치하기로 했다. 일본 기업들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품 라인업이 요구되는 소비자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노동력 부족과 공급망 복잡성 증가에 직면해 있다. 한편, 일본은 노동 생산성이 올해 최고치를 경신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노동 생산성 측면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국 중 18개국 중 가장 낮은 순위에 있다. 이것은 일본 기업이 작업에서 데이터의 힘을 완전히 발휘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형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