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이 ‘기술 주도 성장’ 경영 기조에 맞춰 기존 연구소 명칭을 변경하고 미래 기술 확보에 본격 시동을 건다. 차세대 기술을 신속히 확보해 미래 성장을 위한 결정적 모멘텀을 마련하고 성장을 더욱 가속한다는 전략이다. SK온은 대전에 있는 ‘SK온 배터리연구원’의 명칭을 ‘SK온 미래기술원’으로 변경했다고 3일 밝혔다. 박기수 초대 SK온 미래기술원장(구 R&D 본부장)은 “글로벌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시장 환경 변화도 빨라지고 있다”며 “선명한 연구개발(R&D) 전략을 바탕으로 SK온을 기술 주도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SK온 미래기술원은 전고체 배터리·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각형 배터리 등 케미스트리와 폼팩터를 다변화하며 전략적 과제들을 수행할 계획이다. 특히 미래 기술의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단기적 전략 과제로 ‘가격 경쟁력’과 ‘제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술 개발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가격 측면에서는 셀투팩(배터리 셀을 팩에 바로 조립하는 방식)과 건식 전극 공정 기술 상용화를 추진하고, 안전 관련해서는 반고체 배터리와 열폭주 방지 설루션 개발 기간을 단축하는 등 미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미래
SK온은 미국의 최고 권위 발명상인 '2023 에디슨 어워즈'에서 동상을 수상했다고 23일 밝혔다. 스타트업이나 연구개발 전문기업이 아닌, 글로벌 배터리 제조기업이 에디슨 어워즈를 수상한 것은 처음이라고 SK온은 전했다.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을 기리기 위해 1987년 제정된 에디슨 어워즈는 비영리 재단 '에디슨 유니버스'가 매년 시상하며 출품된 7천개 이상의 제품을 전문 경영인과 학자, 엔지니어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7개월에 걸쳐 평가한다. SK온의 NCM9 배터리는 에디슨 어워즈 'EV 배터리 향상' 부문에서 수상했다. NCM9 배터리는 니켈 비중을 약 90% 수준까지 높인 고성능 하이니켈 배터리로, SK온이 2019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니켈 함량이 높은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주행거리와 출력 등에서 우수하지만, 니켈 함량 증가로 수명과 열적 안정성이 낮아질 가능성도 있어 고도의 제조 기술력이 필요하다. SK온은 배터리 내부 분리막을 지그재그 모양으로 쌓은 자체 'Z-폴딩' 기술을 적용해 이를 보완했다. NCM9 배터리는 에디슨 어워즈 수상에 앞서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3'에서 2년 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