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중심의 통합 AI 생태계로 전환 가속화 마이크로소프트가 5월 20일(한국시간) ‘마이크로소프트 빌드 2025’를 개최하고, AI 에이전트 중심의 차세대 개발 생태계를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개인과 조직을 넘어 인터넷 전반에서 작동하는 AI 시스템을 ‘오픈 에이전틱 웹(Open Agentic Web)’으로 정의하며, 기존의 앱 중심 디지털 환경에서 AI 중심 웹 생태계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이번 빌드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GitHub, Azure, Windows 등 자사 대표 서비스 전반에 걸쳐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한 신규 플랫폼과 도구, 거버넌스 기능이 공개된 자리였다. 특히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과 개방형 에이전틱 웹 프레임워크 ‘NLWeb’ 발표가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현재 15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GitHub Copilot을 중심으로 AI 기반 개발 환경을 전면 강화하고 있다. 이번 빌드에서 공개된 주요 업데이트 중 GitHub Copilot에는 비동기 코딩을 지원하는 새로운 에이전트 기능이 추가됐다. 여기에 프롬프트 관리, 경량 평가 기능, 기업용 제어 기능이
콕스웨이브와 '클로드(Claude)'의 개발사 앤트로픽(Anthropic)이 공동 주최한 '코리아 빌더 서밋(Korea Builder Summit)'이 지난 19일 시그니엘 서울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한국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콕스웨이브가 주도적으로 기획한 이번 서밋은 국내 주요 기업 대표, CTO, AI 개발자, 기술 리더 등을 포함한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콕스웨이브는 글로벌 AI 기업과 국내 기업 간 가교 역할을 하며, 클로드의 정교한 기능과 앤트로픽의 최첨단 연구 성과를 한국에 소개하는 장을 마련했다. 앤트로픽도 인스타그램 공동창업자이자 앤트로픽 최고제품책임자(CPO)인 마이크 크리거(Mike Krieger)와 케이트 얼 젠슨(Kate Earle Jensen) 매출 총괄 책임자(Head of Revenue)를 비롯한 핵심 구성원들이 대거 참석하며 한국 시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콕스웨이브 김주원 대표는 인사말에서 “앤트로픽과의 공동 주최로 한국 AI 산업의 전환점을 만들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콕스웨이브는 앞으로도 기업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케이트 얼 젠슨 매출 총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