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육 플랫폼 엘리스LXP가 1년 사이 누적 이용자 수 100만 명 이상 증가하며 기업·공공 중심 AI 실습 교육 시장에서 빠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엘리스그룹은 올해 7월 기준 누적 이용자 수가 275만 명을 돌파하고 도입 기관은 9500개로 1년 새 2.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엘리스LXP는 클라우드 기반 SaaS형 교육 플랫폼으로, 고도화된 실습 환경과 AI 기능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초중고, 대학, 공공기관은 물론,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이 AI·SW 교육을 위해 플랫폼을 도입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전공이나 연령과 무관하게 실무자 대상 교육 수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엘리스그룹은 재계 10위권 대기업부터 국방·의료·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을 대상으로 AI 맞춤 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는 건설기계 및 소재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민간 분야에서는 뷰티·식품·미디어 등 빠르게 변하는 트렌드에 대응할 수 있는 실무형 AI 프로젝트 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공공 부문에서도 국방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 등과 협력해 현장 기반 AI 교육을 꾸준히 이어왔다. 국방 분야에서는 장병 3천 명을 대상으로 SW·AI 교육을 진행했고 의료 분야에
SK텔레콤이 유·무선통신과 인공지능(AI) 전 사업 부문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2024년 연결 매출 17조9406억 원, 영업이익 1조8234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9%, 4.0%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은 1조4388억 원으로 집계됐다. SK브로드밴드는 유료방송 가입자 증가와 B2B 사업 확대로 전년 대비 매출이 3.1% 증가한 4조4111억 원, 영업이익이 13.7% 증가한 3517억 원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은 AI 기술 및 서비스 경쟁력을 바탕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을 가속화하며, 이를 통해 AI 사업의 본격적인 수익화를 실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AI 데이터센터 △GPU 클라우드 서비스 △에지AI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AIDC 사업 강화를 위해 SK텔레콤은 글로벌 GPU 클라우드 기업 람다(Lambda)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으며, AI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 기업 펭귄 솔루션스에 2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이를 기반으로 지난해 12월 람다와 협력해 가산 AI 데이터센터를 오픈하고, ‘SK텔레콤 GPUaaS’를 선보이며 AI 인프라 사업에 속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