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버노바는 한국전력공사(KEPCO)가 발주한 500kV(킬로볼트) 동해안-동서울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직류송전) 변환설비 건설 프로젝트(2단계 사업)에 자사의 첨단 전류형(LCC, Line Commutated Converter) HVDC 기술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내 최대 전력망 구축 사업인 동해안-수도권을 연결하는 4GW(기가와트) HVDC 건설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GE버노바는 한국전력과 GE버노바의 합작회사인 카페스(KAPES)를 통해 동해안-신가평 구간을 연결하는 1단계 사업에 이어 이번 동해안-동서울을 잇는 2단계 사업에서도 협력하게 된다. 동해안-수도권 HVDC 건설 프로젝트(1단계, 2단계 사업)는 국내 에너지 수요의 약 40%를 차지하는 수도권에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전력 공급을 목표로 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GE버노바의 첨단 HVDC 기술을 통해 효율적인 장거리 송전을 가능하게 하고,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에 대응해 전력망의 탄력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GE버노바는 이번 2단계 사업에서 안정적인 대용량 전력 송전을 위해 전류형(LCC) 기술 기반의 HVDC 밸브, 제어
GE버노바가 최근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29)에서 GE버노바의 LM6000VELOX 패키지 솔루션에 포함된 LM6000 가스터빈이 남호주 어퍼 스펜서 만의 와이알라 수소 발전소에 설치돼 100% 수소로 운전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GE버노바는 2026년 초 시운전을 목표로 ATCO오스트레일리아와 함께 LM6000VELOX 패키지 4기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100% 수소 연소 기술로 가동되는 GE버노바의 첫 상업적 규모의 항공엔진 기반 가스터빈 발전소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GE 버노바의 항공엔진 기반 가스터빈 솔루션은 와이알라 단지에서 생산되는 그린 수소로 가동 가능하며, 100% 그린 수소 연료 발전 시 가스터빈 작동 중 배기가스에서 이산화탄소(CO2)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 부지에는 세계 최대 규모 중 하나인 수소 생산 및 저장 플랜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와이알라 수소 발전소가 완공되면 대규모 풍력 및 태양광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남호주의 잉여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그린 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저장해 LM6000VELOX 4기를 가동한다. GE버노바의 가스파워 사업부 에릭 그레이 CEO는 “GE버노바는 지난 수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