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무하유, GPT킬러 173만 건 검사…전체 문서 중 56%가 챗GPT 사용
무하유가 작년 GPT킬러로 검사된 문서 데이터를 집계한 결과, 총검사 문서가 173만 건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검사된 문서 55.9%에서 챗GPT 활용이 감지됐다. 특히 대학 과제물과 자기소개서 등 주요 평가 문서에서 AI 활용이 확인돼 생성형 AI가 일상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대학 과제물 중 높은 표절률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2024년 2학기 기간 내에 과제물 평가용 서비스인 CK 브릿지로 검사된 문서는 총 29만 4239건이다. 이 중 27.33% 문서가 표절률 30% 이상으로 나타났다. CK 브릿지는 학습관리시스템(LMS)과 연동해 교수들이 제출된 과제물을 검사하는 서비스다. 검사 문서를 유형별로 조사한 결과 대학 과제물이 70.04%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어 자기소개서 8.92%, 학위논문 6.22% 순으로 집계됐다. 검사 문서 유형은 hwp이 38.77%로 가장 많았으며, GPT킬러 사이트에 내용을 직접 입력한 경우가 33.63%였다. 이어 doc 19.71%, pdf 7.47% 순으로 나타났다. GPT 킬러는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해 주는 디텍트 GPT 솔루션이다. AI가 문단 단위로 문서를 쪼갠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