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파인이 아트센터나비미술관이 추진하는 '무빙 미디어 아트 갤러리: 미디어버스' 프로젝트에 XR 콘텐츠 구현을 위한 기술을 공급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아트센터나비미술관이 뉴 미디어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새로운 아트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자 기획됐다. 이에 예술경영지원센터 아트코리아랩 ‘예술기술 신규분야 개척 사업’에 선정돼 진행됐다. 딥파인은 증강현실 콘텐츠와 투명 디스플레이 TOLED 콘텐츠를 활용해 고궁 버스 투어 관광객이 AR 글라스를 착용하고 창덕궁을 지나면, 안경 화면에 도슨트 역할을 하는 3D 캐릭터가 나타나 관련 역사 등 관광 정보를 제공하도록 했다. 이러한 방식은 음성만으로 진행되는 기존 버스 투어보다 모빌리티 이용 관광객의 몰입도를 극대화한다. 차량 측면에는 TOLED를 부착해 AR 글라스를 착용하지 않고도 증강된 콘텐츠를 즐기도록 한다. 딥파인은 GPS와 VPS(시각측위시스템)를 결합해 AR 콘텐츠를 구현한다. 사용자의 GPS가 사전에 설정된 AR 증강 포인트와 일치하면 AR 글라스는 주변 환경의 이미지 데이터를 촬영해 VPS 서버로 보내고, 이미지 데이터와 VPS 서버 내 데이터가 일치하면 정확한 위치에 AR 콘텐츠가 증강
XR 공간정보 구축 솔루션 ‘DSC(DEEP.FINE Spatial Crafter)’ 선보일 예정 딥파인은 오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5’에 2년 연속 참가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딥파인은 부스를 통해 XR 공간정보 구축 솔루션 ‘DSC(DEEP.FINE Spatial Crafter)’를 선보일 예정이다. DSC는 딥파인이 자체 개발한 고정밀 VPS(Visual Positioning System·시각측위시스템) 기술과 비전(Vision) AI 기술을 활용해 현실 공간을 스캔하고 보다 정밀한 위치 정보를 구현해 디지털 공간으로 변환하는 딥파인의 주력 서비스다. 고가의 장비나 전문 인력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CES 참관객들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된 DSC를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다. 산업 분야의 경우 모바일 기기 하나만으로 사진을 찍듯 공장을 스캔하고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모든 과정을 확인한다. 구현된 디지털 트윈에 공장 설비의 사용법이나 실시간 공정을 파악할 수 있는 패널을 배치하며, 임직원 교육 및 안전 관리를 강화하
딥파인은 디지털 공간 구축과 관련한 신규 기술 특허 2건을 등록하며 운영 솔루션의 기술 경쟁력을 강화했다고 23일 밝혔다. 딥파인은 지난달 ‘제작 복잡도 및 난이도를 저감하는 3차원 맵 생성 방법 및 시스템’, ‘증강현실 콘텐츠 배치가 가능한 증강 콘텐츠 처리 시스템’ 등 2건의 국내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제작 복잡도 및 난이도를 저감하는 3차원 맵 생성 방법 및 시스템은 디지털 공간 정보 구축 시 사용자 입력을 더해 제작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사용자는 특정 위치를 강조하거나 일부 공간이 누락됐을 경우 직접 수정할 수 있다. 벽의 재질·바닥 특성 등의 세부 데이터도 추가한다. 스캔 데이터만으로는 복잡하거나 작은 구조물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해 오류나 누락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보완해 빠르고 정확히 3D 공간을 생성하는 방식이다. 증강현실 콘텐츠 배치가 가능한 증강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AR 콘텐츠를 쉽게 추가하거나 배치할 수 있는 기술이다. 스마트폰·태블릿 등의 디지털 기기와 영상 데이터 처리 서버를 통해 2D 영상에 AR 콘텐츠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활용된다.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면 2D 영상의 공간을 입체적으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
에릭슨엘지는 전 세계 5G 가입자 전망과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등 최신 인사이트를 담은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2030년 글로벌 5G 가입 건수가 약 63억에 달하고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80%를 5G가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2024년 말 인도와 미국의 5G 미드밴드 커버리지는 비율은 각각 95%, 90%에 이르며 2030년경 6G가 출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에릭슨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 전 세계 5G 가입은 약 63억 건으로 이는 전체 모바일 가입자의 67%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5G 단독모드(5G Standalone, 이하 5G SA)는 약 36억 건으로 5G 전체 가입 건수의 약 60%에 해당한다. 지역별 분석 결과로는 북미가 가장 높은 5G 가입률을 기록했고 동북아시아가 그 뒤를 이었다. 중국은 5G Advanced의 상용 구축을 시작했고, 일본 통신사들은 5G 성능 향상에 집중하며 5G SA 도입 및 커버리지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은 일부 통신사를 제외하고 5G SA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모바일 네트워크 데이터 트래픽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특히 모바일 데이터 트래
부품 제조·유통 업체 미스미(MiSUMi)가 ‘매뉴팩처링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에 참전했다. 이달 11일 열린 이번 전시장에서 기계부품 설계·생산·조달 플랫폼 ‘meviy’를 강조했다. 매뉴팩처링월드는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개최되는 일본 제조 산업 연례 박람회다. MWF 2024는 ‘디지털 전환(DX) 달성’을 슬로건으로, 올해 2회차로 개최했다. MWF 2024에서 사흘간 소개된 meviy는 다양한 기계부품을 다루는 웹 기반 플랫폼으로, 국내 시장에서도 올해 2월 론칭했다. 설계·디자인·견적·생산·조달 등 기계부품 라이프사이클을 한데 관장한다. 설계·디자인 과정에서 meviy 웹 페이지에 3D 기반 컴퓨터지원설계(CAD) 도면을 업로드하면, 플랫폼에 이식된 인공지능(AI) 모델이 형상을 분석해 결과를 도출한다. 이는 3D CAD 도면을 2D로 변환해야 하는 기존 작업이 생략된다. 도면 업로드 과정은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 방식을 채택해 직관성을 확보했다. 특히 AI 모델은 도면 분석 후 설계상 오류·문제점이 발견되면
이달 11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매뉴팩처링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인공지능(AI) 엔지니어링 업체 ‘메노우(MENOU)’가 품질검사 특화 AI 모델을 참관객에게 소개해 이해를 도왔다. 매뉴팩처링월드는 글로벌 제조 산업 연례 행사로,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개최한다. MWF 2024는 올해 2회차로 개막했다. 올해 전시회는 ‘디지털 전환(DX) 달성’을 테마로 사흘간의 여정을 진행했다. 메노우는 AI 모델 개발·운용 플랫폼을 제공한다. 마사히로 네이 메노우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자사 플랫폼은 노코드 기반 AI 모델을 제공하고 있으며, AI 전문지식 및 프로그래밍 역량 없이도 직관·효율적인 모델 구축을 지원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메노우 솔루션은 각종 제조공정 내 외관 품질검사 과정에 도입돼 활약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센서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보 집합(DateSet)과 학습 데이터를 구축한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AI 모델이 생성되고, 데이터 학습 환경이 조성된다. 이후 매개변수(Paramet
일본 로봇 엔지니어링 업체 ‘OMKS’가 ‘매뉴팩처링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 전시장에서 중국 협동로봇(이하 코봇)의 가동 모습을 연출했다. 이달 11일 일본 후쿠오카 소재 전시장 마린멧세(Marine Messe)에서 글로벌 제조업 축제 MWF 2024가 열렸다. 매뉴팩처링월드는 매년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열리는 제조 산업 연례 전시회다. OMKS는 일본 로봇 하드웨어 대리점 ‘코보타로(Cobotaro)’와 협력해 로봇 관련 설비 설계, 로봇 시스템통합(SI, 일본명 Sler), SI 소프트웨어 개발 등 로봇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설비 설계 측면에서 전기부터 소프트웨어까지 다양한 엔지니어링 기술을 수요 업체에 전파하는 중이다. 이번 전시장에는 코보타로에 공급받은 코봇을 시연했다. 코보타로는 아우보(AUBO)·자카로보틱스(JAKA Robotics)·엘리트로봇(ELITE ROBOT)·두봇(DOBOT)·유팩토리(uFactory) 등 코봇을 자국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여기에 전동 그리퍼, 전동 실린더, 힘·토크 센서 등 다양한
이달 11일 일본 후쿠오카 소재 전시관 마린멧세(Marine Messe)에서 글로벌 제조업 축제 MWF 2024가 개막했다. 매뉴팩처링월드는 매년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열리는 제조 산업 연례 전시회다. ‘매뉴팩처링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 현장에는 수많은 일본 제조 기술이 저마다의 존재감을 자랑하고 있었다. 이 가운데 대한민국 국가대표 참가업체가 국내 제조 역량을 가감 없이 뽐냈다. ‘경기도 뿌리산업 中企 육성’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글로벌 유망 업체와 나란히 ‘출격’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GASA)은 지역 특화 프로젝트 ‘레전드 50+’를 주력 사업으로, 국내 뿌리산업 중소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패뉴팩처링월드에는 프로젝트 참여 업체 ‘센테크이엔지’, ‘엠케이폴렉스’와 함께 공동 부스를 마련했다. 레전드 50+는 경기 지역 금형·용접 분야 업체 104개사가 속한 지원 사업이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진행하는 ‘중소기업 혁신 바우처’, ‘중소기업 수출 바우처’, ‘정책자금 지원’ 등 사업과 연계돼 업체를 지원한다. 여기에 창업진
▲ MWF 2024 전시장 한편에는 일본 전국 매뉴팩처링월드에 참가할 업체 명단과 부스 위치를 한눈에 확인 가능한 전당이 배치돼 있다. 현장에서는 상담을 통해 참가가 확정된 업체를 실시간으로 전당에 올리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출처 : 헬로티) 이달 11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글로벌 제조업 축제 ‘매뉴팩처링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가 서막을 열었다. 매뉴팩처링월드는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열리는 제조 산업 연례 전시회다. MWF 2024는 설계·제조 솔루션, 제조DX, 산업용 AI·IoT, 산업용 ODM·EMS, 기계기술, 헬스케어·의료기기, 항공·우주기기, 공장 설비기기, 계측·검사·센서, 차세대 3D 프린팅 등으로 10가지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설계·개발·생산·조달·IT·정보통신·품질검사·시설관리 등 글로벌 제조 업계 관계자가 각자의 시각으로 각 존을 선정해 차세대 제조 기술을 조망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이달 11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글로벌 제조업 축제 ‘매뉴팩처링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가 서막을 열었다. 매뉴팩처링월드는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열리는 제조 산업 연례 전시회다. MWF 2024는 설계·제조 솔루션, 제조DX, 산업용 AI·IoT, 산업용 ODM·EMS, 기계기술, 헬스케어·의료기기, 항공·우주기기, 공장 설비기기, 계측·검사·센서, 차세대 3D 프린팅 등으로 10가지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설계·개발·생산·조달·IT·정보통신·품질검사·시설관리 등 글로벌 제조 업계 관계자가 각자의 시각으로 각 존을 선정해 차세대 제조 기술을 조망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이달 11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글로벌 제조업 축제 ‘매뉴팩처링월드 2024 후쿠오카(Manufacturing World 2024 Fukuoka 이하 MWF 2024)’가 서막을 열었다. 매뉴팩처링월드는 나고야·도쿄·오사카·후쿠오카 등 일본 주요 도시 네 곳에서 열리는 제조 산업 연례 전시회다. MWF 2024는 설계·제조 솔루션, 제조DX, 산업용 AI·IoT, 산업용 ODM·EMS, 기계기술, 헬스케어·의료기기, 항공·우주기기, 공장 설비기기, 계측·검사·센서, 차세대 3D 프린팅 등으로 10가지 전시 테마로 구성됐다. 설계·개발·생산·조달·IT·정보통신·품질검사·시설관리 등 글로벌 제조 업계 관계자가 각자의 시각으로 각 존을 선정해 차세대 제조 기술을 조망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일본 생산·제조 잔치 ‘매뉴팩처링월드 후쿠오카’ 개막 축포...제조업 DX 방법론 제시해 글로벌 20개국 420개사 규모...참관객 1만5000명 운집 예고 “글로벌 생산·제조 분야 이해관계 총출동...에코시스템 선진화 도모할 것” 이 시각 글로벌 제조업계의 핵심 미션은 ‘디지털 전환(DX)’이다. 수많은 분석·지표에서도 이 트렌드를 중점으로 다루고 있다. DX는 데이터 기반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각종 체제 내 다양한 요소를 변혁시키는 차세대 방법론이다. 이는 현시점 기술 최대어인 ‘인공지능(AI)’의 대중화로까지 연결된다. 특히 생산·제조 측면에서의 DX는 설계부터 유지보수까지 제조 라이프사이클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제품·설비·인프라 등 다양한 요소의 혁신을 불러올 것이라 기대받는다. 현재 글로벌 제조 시스템은 AI·빅데이터·IoT·로봇 등 차세대 기술을 업고 디지털화되고 있다. 이에 각국은 각기 다른 형태로 제조 DX를 가속화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을 전개하는 중이다. 제조 강국으로 평가받는 일본은 전통적으로 정밀하고, 직접화된 제조 기술을 보유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강점을 기반으로, 탄탄한 내수 시장과 세밀한 공정 노하우를 갖추고 있다. 반면
엑스리얼(XREAL)이 시네마틱 AR 글래스 ‘엑스리얼 원(XREAL One)’을 11일 공개했다. 엑스리얼 원은 자체 개발한 공간컴퓨팅 칩 X1을 탑재해 물리적 스크린과 동일한 공간 디스플레이 경험이 가능하며 기존의 AR 글래스 한계를 뛰어 넘는 새로운 AR 경험이 가능하다. 2025년 출시 예정인 AI 카메라로 사진 및 비디오 촬영, AI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독일 티유브이 라인란드의 눈 건강 인증을 획득해 안전성을 더했다. 엑스리얼 원은 글래스에 내장된 X1칩을 사용해 3DoF 공간 컴퓨팅이 가능한 최초의 시네마틱 AR 글래스다. X1 공간 컴퓨팅 코프로세서를 통해 접속이 가능한 기기에 공간 디스플레이를 생성한다. X1는 광학 투과형(OST) AR 글래스용 최초의 맞춤형 칩으로, 120Hz에서 최대 3ms에 불과한 매우 짧은 M2P(Motion-to-Photon) 지연 시간을 제공해 블러현상이나 이미지 지연없이 부드럽고 안정적인 공간 스크린을 구현한다. X1이 제공하는 M2P 지연 시간, 공간 앵커링(물리적 디스플레이와 동일하게 디스플레이를 공간에 고정하는 기능) 및 이미지 안정성은 기존 업계 벤치마크인 최대 20ms를 뛰어넘는다. 사용자는 어느 각
딥파인은 오는 4일부터 3일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대한민국 소프트웨어대전, 소프트웨이브 2024’에 참가해 XR 공간정보 구축 솔루션 ‘DSC(DEEP.FINE Spatial Crafter)’를 선보인다고 2일 밝혔다. 올해 9회째를 맞이한 소프트웨이브는 소프트웨이브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서울시 등 관련 부처 및 지자체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등 ICT 전문 기관이 공동 후원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소프트웨어 전문 비즈니스 박람회다. DSC는 누구나 손쉽게 현실 공간을 디지털 공간으로 변환할 수 있는 딥파인의 주력 솔루션으로 고가의 장비나 전문 인력 없이 모바일 기기만으로 공간정보 모델을 구축한다. 딥파인은 참관객들이 다양한 산업에 적용된 DSC를 직접 경험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딥파인은 산업 현장의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고 AR 매뉴얼을 제작해 비숙련 근로자의 작업 효율을 높이는 데 사용되는 DSC 체험 공간을 마련했다. 작업 물질이 믹서로 투입되고 혼합 및 저장되는 등 작업의 전 과정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공정 데이터를 AR 패널로 배치
아티, 문맥·감정 반영해 실감 효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 몰입감 높여 아티젠스페이스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CES 2025' 행사를 앞두고 인공지능(AI) 부문 혁신상을 수상하며 글로벌 무대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CES 혁신상 프로그램은 소비자 기술 협회(CTA)에서 주관하며, 매년 소비자 기술 제품 카테고리 33개에서 뛰어난 디자인과 엔지니어링을 기리는 대회로, 높은 평가를 받은 제품은 혁신이라는 영예를 부여받는다. 이번에 혁신상을 수상한 AI 기반 증강현실 엔진 '아티(arti)'는 인공지능(AI)과 증강현실(AR)을 결합한 기술로, 종이 속 텍스트를 실시간으로 인식해 맥락에 맞는 다양한 청각적 시각적 이펙트를 생성한다는 특징이 있다. 아티는 텍스트를 단순히 읽는 것을 넘어, 문맥과 감정을 반영해 실감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몰입감 있는 경험을 높인다는 점에서 심사위원들의 호평을 받았다. 이 기술은 'AI와 AR의 융합'을 통해 교육, 마케팅, 엔터테인먼트는 물론 산업 현장까지 다양한 분야에서의 확장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받고 있다. 아티젠스페이스 관계자는 “아티는 사용자의 실감 경험을 극대화하는 인터랙티브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