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경량화 설치형 모델과의 협업 공유해 포티투마루가 ‘소프트웨이브 2024’에서 생성AI 기반 AI Agent를 통한 AX사례를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12월 4일(수)부터 6일(금)까지 3일간 삼성동 코엑스 1층 A홀에서 개최되는 ‘소프트웨이브 2024’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및 다양한 부처 및 기관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디지털 대전환, 소프트웨어가 미래다’를 슬로건으로 300개사 550부스의 기관, 기업 및 학계가 참여하며 전시, 서밋, 해외바이어 수출상담회 및 다양한 부대행사가 함께 진행된다. 포티투마루는 1층 A홀 전시장 입구 안쪽에 위치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특별관 입구에 부스를 준비하여 자체 초거대 언어모델인 LLM42, 네이버의 경량화 LLM인 하이퍼클로바X-DASH의 설치형 모델인 HCX42, 엘지 유플러스의 익시젠 및 구글 제미나이 프로 등 다양한 경량화 설치형 모델과의 협업을 소개한다. 또한, 초거대 언어모델 활용의 핵심인 검색증강생성 기술인 RAG42와 생성형 AI를 활용한 전문가 업무 지원 AI Agent인 ‘DocuAgent42’의 AX(AI Transformation)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obotic Process Automation 이하 RPA)’는 업무 자동화 트렌드의 지평을 연 기술로 평가받는다. 그동안 다양한 산업 안에서 수많은 레퍼런스를 축적했다. 단순 반복을 요구하는 업무에 자동화(Automation) 요소를 이식해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비즈니스 혁신에 기여한 핵심적인 기술이다. RPA가 활용성을 극대화하던 2010년 대 중반,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먹거리 기술로 급부상하면서 프로세스에 AI를 이식하는 차세대 방법론이 등장했다. 1차원적인 자동화에 그쳤던 RPA에 ‘지능화’를 불어넣는 신기법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거대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이하 LLM) 기반 생성형 AI(Generative AI)가 탄생하면서 가속화됐다. 이 같은 개념에 정점을 찍은 것이 바로 ‘AI 에이전트(AI Agent)’다. 시키던 업무만 하던 RPA에서 벗어나, 학습된 자율적 판단에 의해 규칙적이지 않은 ‘비정형’ 업무를 수행하고, 효율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비서 혹은 동료다. AI 에이전트는 각종 업무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파악·차단하고, 비즈니스 목표에 최적화된 결정·
최태원 SK회장이 지난 11일 SK텔레콤 AI 관련 구성원들과 타운홀 미팅을 가졌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 을지로 SK텔레콤 본사 수펙스홀에서 SKT의 AI 사업을 실행하고 있는 350여 명의 아폴로TF 구성원들과 AI를 중심으로 한 회사의 비전과 개선 과제 등에 대해 2시간에 걸쳐 자유롭게 토론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방역조치로 타운홀 현장에는 최 회장과 유영상 사장을 포함한 30여 명이 참석했으며, 나머지 구성원은 화상회의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미팅으로 참여했다. 이번 미팅은 아폴로 TF가 추진하고 있는 SKT의 차세대 AI 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사업 방향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최 회장과 5명의 아폴로TF 구성원 대표가 진행한 패널토론과 이어지는 질의응답 시간에는 SKT의 AI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격의 없는 토론이 진행됐다. 특히 최 회장은 이 자리에서 앞으로 더 수평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본인을 SKT 방식대로 영어이름인 ‘Tony’로 불러줄 것을 요청하며 솔직한 소통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플랫폼 기업들과 그들의 룰대로 경쟁하긴 어려우니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의미있는 도전을 하자”고 제안했다. 또 “아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