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 시스템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검증하는 핵심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성과를 거뒀다. 연구진은 5년여에 걸친 노력 끝에 이뤄낸 이번 결과를 통해 대한민국이 AI 기술뿐 아니라 AI 규범과 신뢰성 검증 기준까지 선도하게 됐다고 자평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AI 시스템의 테스트 절차와 방법론을 정의한 ‘AI 시스템 테스팅 개요’ 표준이 국제표준화기구(ISO/IEC JTC1)에서 지난 3일 공식 제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우리나라가 ISO/IEC 인공지능 기술위원회(SC 42)에서 주도적으로 제정한 최초의 AI 테스팅 핵심 국제표준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성과는 ETRI가 글로벌 AI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를 넘어 ‘선도자(First Mover)’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ETRI는 이번 성과가 인공지능의 데이터 품질, 모델 성능, 편향성 등 AI 전주기 테스트 방법론을 최초로 정의한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본 기술은 향후 국제 공인시험, 국제 적합성 시험 평가 등에 활용될 최초의 국제표준 제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인공지능 기본법 및 EU
지난 6월 출범한 ‘산업AI국제인증포럼’ 홍보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산업 인공지능 인증체계 마련...산업 인공지능 적합성 인증서 발급 산업기술시험원(이하 KTL)이 인공지능(AI) 전시회 ‘The AI Show 2023(TAS 2023)’에 참가해 ‘산업AI국제인증포럼’을 소개한다. TAS 2023은 AI 전시회를 비롯해 컨퍼런스, 시상식 등이 함께 열리는 AI 축제다. 올해 첫 걸음을 떼는 TAS 2023에서는 화두인 생성형 AI 관련해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기업, 대학이 참가해 대중에게 AI 기술을 쉽게 알릴 예정이다. KTL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 시험인증기관으로, 시험인증·엔지니어링 컨설팅·기술교육·수출지원 등 우리나라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활동 중이다. KTL이 이번 전시회에서 소개할 산업AI국제인증포럼(Industrial AI International Certification Forum)은 올 6월 출범한 산업용 AI 분야 민관 협력 네트워크다. 해당 협력체는 산업용 AI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연구·논의하는 조직인데, AI 사용 및 개선을 촉진하고, AI 국제인증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한다. KTL 관계자는 “산업AI국제인증포럼은 AI 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