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인공지능(AI) 기반 첨단 운용 기술 개발 착수해 인재 관리, 행정 지원, 장비 운용 효율화 등 국방 분야 혁신에 ‘뜻모아’ 소버린 AI 기술 구축에 기여 퀀텀에어로와 국내 인공지능(AI) 기술 업체 콕스웨이브가 국방 AI 기반 첨단 운용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양사 협력 주체인 콕스웨이브는 글로벌 AI 기술 업체 앤트로픽(Anthropic)의 국내 파트너사로 활동하고 있다. 각종 문제 해결 중심의 최적 기술 조합(Orchestration) 능력을 보유한 업체로 알려졌다. 특히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Generative AI) 서비스를 직접 개발·운영하고 매각까지 성공시킨 경험을 통해 주목받았다. 김주원 콕스웨이브 대표는 "AI 서비스의 경험을 바탕으로, 퀀텀에어로의 국방 AI 기술 역량과 시너지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창의적 시나리오를 지속 구축해 국방 추진 방향의 완성도를 높이고, 문제 해결 중심의 최적 기술 조합(Ochestration) 능력을 강화할 것을 천명했다. 퀀텀에어로는 이 같은 콕스웨이브의 AI 역량을 발판 삼아 국방 분야 혁신을 본격화했다. 인재 관리, 행정 지원, 장비 운용 효율화 등 국방·방위 혁신 과제
(사)한국생성AI파운데이션(이하 KGAF)이 지난 3일, 경기도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KGAF 2024 워크샵 및 네트워킹 데이’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AI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로 구성된 KGAF 회원사들이 모여 최신 AI 기술 동향과 한국 AI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송세경 KGAF 회장의 강연이 주목을 받았다. 송 회장은 ‘생성AI 산업과 KGAF 글로벌 전략’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진행하며, 한국 AI 산업의 현황과 발전 방향에 대해 심도 있는 통찰을 제시했다. 강연에서 송세경 회장은 생성 AI가 생산성, 속도,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잠재력이 있다고 언급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생성 AI는 기존 AI 기술과 달리 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방식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한국이 이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송세경 회장은 한국의 AI 경쟁력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제시했다. 그는 한국이 AI 산업에서 국제적 역할이 부족하며, 비전 부재로 인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