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예술 생태계의 변화와 대응 과제 논의 ·예술가·연구자·기업가가 창작과 정책의 방향 제시 ·AI는 동료로, 책임은 인간이 지켜야 할 영역으로 AI 시대 예술 생태계의 변화와 대응 과제를 모색하는 ‘AI×예술 포럼’이 지난달 26일 서울 아트코리아랩에서 열렸다.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이번 행사는 예술인, 연구자, 기업가가 한자리에 모여 인공지능(AI)이 예술계에 가져온 변화와 현장의 대응 방안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개회사를 맡은 김장호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는 “AI를 비롯한 기술은 이미 예술 활동 속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며 “AI가 문학 작품을 집필하고 미술 작품을 창작하는 시대가 열린 만큼 기술 활용과 저작권, 데이터 이용 문제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AI 시대 예술 활동과 정책 대응을 함께 논의하는 오늘 자리가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 변지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은 ‘국내외 예술계의 AI 인식과 수용’을 주제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변 연구원은 937명의 예술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제시하며 “예술계 응답자의 56.1%가 AI를 활용해본 경험이 있다고
헬로즈업 세줄 요약 ㆍ한국과의 AI 협력 기반으로 창의성과 산업 혁신 가속화하겠다는 비전 발표 ㆍ제미나이, 아스트라, 알파폴드 등 창작·과학·비즈니스에 변화 이끄는 AI 기술 공개 ㆍ한국 기업과의 협력으로 AI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파트너십 확대 계획 밝혀 구글코리아가 7월 2일 ‘세계적인 문화강국 및 기술강국 대한민국의 오늘, AI와 함께’를 주제로 ‘구글 포 코리아 2025(Google for Korea 2025)’ 행사를 개최했다. 올해 5회째를 맞은 이 행사는 구글이 한국 사회와 어떻게 협력할 것인지, 그리고 AI 기술이 창의성과 산업에 어떤 변화를 이끄는지를 조망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서울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는 윌슨 화이트 구글 아시아태평양 대외정책협력 부사장을 비롯해 마니쉬 굽타 딥마인드 시니어 디렉터, 앤드류 김 구글 리서치 기술 및 사회 부문 디렉터,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 등 국내외 AI 및 정책 전문가들이 참여했으며, LG, SK텔레콤, 카카오헬스케어, 넥슨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도 현장에 함께했다.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영상 축사에서 “Google for Korea는 글로벌 협력의 상징이자,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라이언로켓이 생성형 AI 시대의 저작권 논의에 목소리를 더한다. 라이언로켓의 이광섭 경영그룹장은 19일 한국콘텐츠진흥원 CKL 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리는 '글로벌 저작권 고위급 회의'에 참가해 AI 기술과 저작권 보호 방안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주관하는 행사로, 19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다. 아시아태평양, 라틴아메리카, 아랍, 아프리카 등 15개국의 저작권 담당 고위 공무원과 관계자들이 참석해 생성형 AI를 포함한 최신 기술 발전이 저작권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행사는 문화체육관광부 정향미 저작권국장의 환영사와 한국저작권위원회 강석원 위원장의 축사, WIPO 하산 클레이브 지역국가개발국장의 개회사로 시작된다. 첫째 날 세션에서는 WIPO의 저작권 혁신 프로젝트, 저작권 활용과 성장 기회, AI가 저작권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이 주요 주제로 다뤄진다. 이광섭 경영그룹장은 이날 ‘한국 창의적 산업의 최근 동향과 새로운 이슈: 저작권 환경에 미치는 인공지능의 영향’ 세션에서 웹툰 분야 대표 연사로 나선다. 라이언로켓이 개발한 생성형 AI ‘젠버스 알파(Genvas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