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스웨이브와 '클로드(Claude)'의 개발사 앤트로픽(Anthropic)이 공동 주최한 '코리아 빌더 서밋(Korea Builder Summit)'이 지난 19일 시그니엘 서울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한국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콕스웨이브가 주도적으로 기획한 이번 서밋은 국내 주요 기업 대표, CTO, AI 개발자, 기술 리더 등을 포함한 약 200여 명이 참석했다. 콕스웨이브는 글로벌 AI 기업과 국내 기업 간 가교 역할을 하며, 클로드의 정교한 기능과 앤트로픽의 최첨단 연구 성과를 한국에 소개하는 장을 마련했다. 앤트로픽도 인스타그램 공동창업자이자 앤트로픽 최고제품책임자(CPO)인 마이크 크리거(Mike Krieger)와 케이트 얼 젠슨(Kate Earle Jensen) 매출 총괄 책임자(Head of Revenue)를 비롯한 핵심 구성원들이 대거 참석하며 한국 시장에 대한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콕스웨이브 김주원 대표는 인사말에서 “앤트로픽과의 공동 주최로 한국 AI 산업의 전환점을 만들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콕스웨이브는 앞으로도 기업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케이트 얼 젠슨 매출 총괄
표철민 대표가 이끄는 AI3는 생성형 AI의 대중화와 기업 맞춤형 솔루션 제공에 주력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초기 B2C 모델로 시작해 B2B 솔루션으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마친 웍스AI는 대기업 및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생산성 도구로 자리 잡았다. 특히 LS그룹과 서울시 교육청 같은 주요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커스터마이징된 AI 환경을 구축하며 한국형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기능과 가격 경쟁력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웍스AI는 단순히 대기업에 한정된 기술이 아닌, 중소기업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가격 정책을 통해 소규모 감자탕집부터 대규모 건설사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웍스AI는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국내 특화형 생성형 AI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대기업부터 공공기관까지, 웍스AI에 흠뻑 빠지다 웍스AI는 단순한 AI 솔루션 개발을 넘어 한국형 업무 환경에 특화된 AI 플랫폼을 만들겠다는 목표에서 시작됐다. 표철민 대표는 챗GPT가 글로벌 시장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던 시기에 이를 활용한 맞춤형 제품을 구상했다. 초기에는 번역을 기반으로 한 네이티브 스피커용 AI로 출발했지만, 챗GPT의 빠른 한국어
하정우 센터장 "안전한 AI, 내년에는 올해보다 더 중요한 화두가 될 것" 네이버는 최근 경기도 성남시에 있는 제2사옥 '1784'에 방문한 영국 AI 기업·기관 관계자들에게 내년에 생성형 AI가 실제 사업과 사회에 적용돼 가치를 창출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견해를 밝힌 네이버클라우드 하정우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안전한 AI는 올해보다 더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2021년 AI 윤리 준칙을 발표한 네이버가 서비스 기획 단계부터 AI 윤리 점검 과정을 운영하고, 안전한 AI 생태계를 위한 데이터세트를 공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정우 센터장은 "앞으로 글로벌 AI 신질서가 수립되는 과정에서 네이버는 글로벌 AI 안전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혁신과 안전이 조화된 초거대 AI 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영국 기업·기관의 1784 방문은 지난 12일부터 이틀간 개최된 '한·영 공동 인공지능 안전·신뢰성 세미나' 직후에 이뤄졌다. 세미나는 지난달 영국에서 개최된 'AI 안전성 정상회의' 논의의 연장선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주최로 열렸다. 하 센터장은 세미나에서 네이버가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