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오늘,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인 5세대 이동통신(이하 ‘5G’)을 선도하고 주요국가 간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제4차 글로벌 5G 이벤트’를 개최했다. 글로벌 5G 이벤트란, 5G 5대 선도국(한국, 미국, 중국, 일본, 유럽연합)이 5G 준비현황을 공유하고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국제협력 회의이다. 제 1차는 작년 5월 베이징에서, 제 2차는 작년 11월 로마에서, 제 3차는 올해 5월 도쿄에서 회의가 개최된 바 있다. 이번 회의는 평창올림픽 5G 시범서비스를 앞두고 있는 시점에 개최돼 세계 각국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부터는 브라질이 새롭게 참여했다. 각국의 5G 정책방향을 공유하는 장이었던 이번 행사에서는 5G와 타 산업(자율주행차, 가상·증강현실 등)간 융합서비스 관련 추진동향을 발표하고 관련 주요국 전문가들이 융합생태계 조성방안 등을 논의했다. 과기정통부 김용수 제2차관은 “5G는 초연결 지능화 기술을 실현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반으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우리 정부는 2018년 평창에서
[첨단 헬로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가 오늘 KISA 서초청사 회의실에서 주요 보안업체, 통신사업자 등과 함께 사이버공격 대응태세 점검을 위한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 참여한 기관은 과기부와 KISA, 통신사(KT, LGU+, SKB), 백신사(안랩, 하우리, 잉카인터넷), 보안관제·장비업체(이글루시큐리티, SK인포섹, 윈스, 시큐아이), 정보보호산업협회 등이다. 이번 간담회는 북한의 제6차 핵실험(9.3) 후 사이버테러 등 추가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분야별 사이버위협 현황 및 대응태세를 점검하고 신속한 사이버 공격 대응을 위한 민·관의 긴밀한 공조 및 협력을 당부하기 위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사이버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빈틈없는 대비태세를 갖춰 줄 것”을 참석기관에 당부하고,“ 특히, 공공기관ㆍ기업에 각종 보안서비스를 제공하는 백신ㆍ관제업체 등은 사이버공격 대응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자체 보안관리 체계를 점검하는 한편, 비상한 경각심과 사명감을 갖고 유관기관과 적극적 정보공유 및 긴밀한 공조 대응태세를 유지해
‘5G’는 5세대 이동통신을 일컫는 말로, 현재 국내에 상용화 중인 이동통신은 4세대인 ‘4G’이다. 한국과 일본은 4G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세계적으로는 아직 4G의 확산이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는 2018년이면 5G가 구현될 예정이다. 당장 얼마 남지 않은 이 시기에 정말 5G는 구현될 수 있을까? 5G, 국제 표준은 아직 5G는 아직 상용화되지 않은 기술이고 평창올림픽을 통해 구현할 예정이라고 해도 각계 전문가들은 2020년 정도는 되어야만 5G가 지금의 4G만큼 상용화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렇다면 현재 표준화는 얼마나 진행되고 있을까? 국제전기통신연합(이하 ITU)를 대표적인 5G 표준화 진행 기관으로 꼽을 수 있다. ITU의 ITU-R WP5D는 3G와 4G의 이동통신 국제표준을 제정한 기관이기도 하다. 4G 표준은 2003년에 4G 비전을 완성한 후 9년동안의 연구 개발 기간을 거쳐 2012년 M.2012 권고서로 승인됐는데, 5G 또한 이와 비슷한 과정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에 ITU에서 5G 비전을 발표했으며, 올해부터 3GPP 등 사실표준화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