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저 일렉트로닉스가 아나로그디바이스 및 몰렉스와 협력해 최신 소형화 설계 동향을 담은 전자책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자책은 ‘소형화되는 전자 설계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문가 11인의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소형화 설계 과정에서 직면하는 과제와 해결 방안을 다양한 전문가 시각에서 다룬다. 오늘날 엔지니어들은 소비가전과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부터 첨단 계측·산업 자동화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더 작고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도 성능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제품을 설계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번 전자책은 이러한 산업적 요구와 함께 ADI 및 몰렉스의 통합·패키징·인터커넥트 솔루션을 소개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모두 마우저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EVAL-AD3530RARDZ 평가 보드는 ADI의 AD3530 및 AD3530R DAC(Digital-to-Analog Converter)를 활용한 프로토타이핑을 지원한다. AD3530과 AD3530R DAC는 출력 전압과 전류, 내부 다이 온도에 대한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는 통합 멀티플렉서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 디바이스에는 POR(Power-On Reset) 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유효한 쓰기 명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고동연 교수팀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화학공학과 T. 앨런 해튼 교수팀과 공동으로 전기에 의해 스스로 열을 내는 섬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직접 공기 포집’(DAC·Direct Air Capture) 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DAC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직접 분리해 탄소 배출 농도를 원천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기술이다. 다만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400ppm 이하로 낮아 대량의 공기를 처리하기 위해 막대한 열에너지를 필요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할 방법으로 전기 구동 기반의 ‘저항 가열’(Joule heating) 방식이 떠오르고 있다. 저항 가열은 전기 에너지를 직접 열로 전환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착제 자체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고온의 증기나 복잡한 설비가 필요 없다. 연구팀은 스마트폰을 충전할 수 있는 수준인 3V의 낮은 전압으로도 80초 만에 110도까지 가열할 수 있는 섬유 흡착제를 개발했다. 다공성 구조의 섬유 표면에 은 나노와이어(나노미터 굵기의 가는 실)와 나노입자 복합체를 3㎛(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했다. 전기가 매우 잘 통하면서도 이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채널당 최대 8.5 GHz(960 MHz의 변조 대역폭)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소형 4채널 벡터 신호 생성기(VSG)를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N5186A MXG는 키사이트의 X-시리즈 신호 생성기 포트폴리오의 차세대 고성능 VSG로, 조밀한 광대역 멀티채널 분야에 필요한 복잡한 다중 신호를 제공한다. 무선 통신 및 레이더 분야는 기술이 진화하면서 MIMO, 빔포밍 및 멀티플렉스와 같은 복잡한 변조 구조를 사용해 데이터 스루풋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더 높은 주파수 범위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더 큰 대역폭에서 뛰어난 변조 품질을 유지하는 신호 발생 장비가 필요하다. 더 높은 주파수, 더 큰 대역폭, 더 복잡한 변조 구조에 대응하기 위해 네트워크 및 설계 엔지니어들은 일반적으로 추가 테스트 장비와 픽스처를 설치할 수 있는 더 많은 벤치 공간을 필요로 한다. 키사이트 N5186A MXG는 외부 연결을 줄이고, 소형 2U 폼팩터에 최대 4개의 채널을 넣어 복잡한 설정을 간소화하고, 공간 문제도 해결하고 있다. 반사계가 내장된, 세계 최초의 신호 생성기인 N5186A MXG는 테스트 대상 디바이
정부가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 기술 개발에 544억 원을 신규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일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Direct Air Capture·DAC)과 디지털 기반 기후변화 예측 및 피해 최소화 사업에 총 544억6천만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DAC는 발전·산업 공정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CO₂)를 포집해 연료 등 경제적 가치를 지닌 제품을 생산하는 '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CCU) 중 하나로, 주변 공기에서 이산화탄소를 물리·화학적으로 분리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출 수 있다. DAC는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기술이지만, 기술 성숙도가 낮아 정부 주도의 원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판단이다. 과기정통부는 해당 사업을 DAC 원천기술 개발과 공기 중 이산화탄소 동시 포집·전환(RCC) 원천기술 개발의 두 개 과제로 구성해 2025년까지 3년간 총 197억 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한다. 디지털 기반 기후변화 예측 및 피해 최소화 사업에는 2026년까지 4년간 347억6천만 원이 지원된다. 이 사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폭우·가뭄·한파 등 이상기후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와 손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ME)가 기존 3.3V 부품으로는 지원되지 않는 최신 저전력 시스템 설계를 위해 2.5V에서 동작하는 방사선 내성 강화 DAC(Digital-to-Analog Converter) 'RHRDAC121'을 출시했다. 12bit 1Msps SAR(Successive-Approximation Register) DAC는 최대 속도 및 공급 전압에서 0.6mW만을 소모하며, 차세대 위성의 크기, 무게, 전력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이 DAC는 일반적으로 원격측정, 상태정보, 정밀 센서 이득 조정을 위한 회로에 사용되며, 그 기능에는 SPI호환 직렬 출력, 내부 전압 레퍼런스, 제로 전압 출력에 대한 자동 전원켜기 재설정 등이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부품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정밀도를 보장함으로써 회로의 복잡성과 보드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최대 100krad(Si)의 총 이온화 선량(TID)에 이르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성능 파라미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최대 125MeV.cm²/mg까지 단일 이벤트 래치업이 발생하지 않는다. 단일 이벤트 과도 현상 및 단일 이벤트 업셋에도 특성화돼 있으며, 추가 업스크리닝을 수행하지 않아도 바로
[첨단 헬로티]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가 초소형 정밀 데이터 컨버터 IC 제품 4종을 출시하면서 산업용, 통신, 개인용 전자기기 등의 시장에서 요구하는 니즈를 충족시킨다는 전략이다. 이들 제품은 집적도가 보다 높아지면서 시스템 보드 공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이와 관련해 TI코리아는 12월 7일 기자 간담회를 통해 한국 시장에 공식으로 데이터 컨버터 출시를 알렸다. 카식 바산스(Karthik Vasanth) TI 데이터 컨버터 부문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는 “시장에서는 배터리 하나로 5년 이상 작동할 수 있는 수준의 저전력과 더 작아진 배터리 크기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향상된 퍼포먼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크기가 작아지면 발생하는 열도 많아지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시키는 기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카식 바산스(Karthik Vasanth) TI 데이터 컨버터 부문 부사장 겸 총괄 매니저 구체적으로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는 자동화 공장이 고성능, 작은 사이즈 센싱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통신(네트워크) 분야에서는 2019년 5G 서비스를 앞두면서 기지국에 많은 안테나가 도입되고 있는데, 전 세대 비해 안테나
[첨단 헬로티] 마우저 일렉트로닉스(이하 마우저)가 실리콘랩스의 EFR32BG12 및 EFR32BG13 Blue Gecko SoC(시스템온칩)를 공급한다. 마우저가 공급할 실리콘랩스의 제품은 무선 Gecko 포트폴리오에 속하는 저전력 Bluetooth® SoC이다. RF 성능 개선, 암호화 가속 증가, 메모리 옵션 확대, 온칩 정전식 터치 제어, 저전력 주변장치 및 센서 인터페이스 추가 등 성능이 개선된 제품이다. ▲실리콘랩스의 Blue Gecko Bluetooth 5 SoC 실리콘랩스의 EFR32BG12 및 EFR32BG13 Blue Gecko SoC는 고성능 32비트 40MHz ARM® Cortex®-M4 코어를 2.4GHz 및 서브 1GHz 무선 트랜시버와 통합됐다. EFR32BG12는 1MB 플래시 메모리 및 256KB RAM을, EFR32BG13는 512KB 플래시 메모리 및 64KB RAM을 제공함으로써 이전 세대 Blue Gecko 제품보다 높은 용량의 메모리를 제공한다. 이렇게 확장된 메모리를 기반으로 복잡하고 기능이 풍부한 IoT(사물인터넷) 용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중 프로토콜 스택,
[첨단 헬로티] 인더스트리4.0은 은 제조 분야에서 공장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방식을 바꿔놓고 있다. 인더스트리4.0은 공장 자동화와 프로세스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분산형 시스템과 지능적 의사결정 시스템의 확산이라는 변화를 가져왔다. 분산형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모듈식이고 유연해야 한다. 이같은 시스템이 가능하려면 효율성과 저전력 그리고 열적으로 최적화된 설계가 담보되어야 한다. 지능적 의사결정 시스템은 조기에 결함을 감지하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모듈이다. 공장 자동화 및 프로세스 제어 애플리케이션에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센서 트랜스미터의 아날로그 출력에 많이 사용된다. 두 경우 모두 DAC를 사용해 전압 출력이나 전류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DAC8775는 기능 통합이 우수한 TI의 최신 고정밀 DAC 제품으로 4~20mA 드라이버, 전압 출력, 온칩 적응식 전원 관리를 포함하고 있다. DAC8775와 관련된 설계 기법과 업계 최신 설계 트렌드에 대해 살펴보자. ▲하이사이드 전압-대-전류 컨버터 센서 수가 빠르게 늘어남으로써 많은 시스템 컨트롤러로 수백 개의 입/출력(I/O)을
[헬로티]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정밀도를 기반으로 전력 공급 장치 설계를 간편하게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제품(DAC8775)을 출시한다고 13일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에 출시된 16비트 DAC8775는 12V~36V의 넓은 범위의 단일 전력 레일로 동작하며 통합된 벅/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해 필요한 내부 전력을 생성해 설계 시간, 비용, 상당한 보드 공간을 절약한다 4채널 DAC8775는 보다 작은 공간에서 많은 채널을 제공해야 하는 입/출력(I/O) 모듈을 사용하는 최근 공장 자동화 및 공정 제어 장비 트렌드에 적합하다. 이같은 시스템을 설계하는 엔지니어는 소형 폼팩터에서 전력 소모를 관리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정밀한 레퍼런스를 내장한 4~20mA 전류 및 전압 드라이버와 벅/부스트 컨버터를 결합함으로써 DAC8775는 경쟁 제품과 비교해서 최대 25% 소형화된 전체 시스템 풋프린트를 가능케 한다고 TI측은 설명했다. TI의 다양한 정밀 데이터 컨버터 포트폴리오가 확장되면서 고도로 통합된 DAC 제품은 크기는 작지만 효율은 더욱 우수한 제품 설계를 가능하게 하고 보다 향상된 진단 기능을 제공한다. DAC8775는 TI 스토
[헬로티] 자일링스 코리아가 16나노 올 프로그래머블 MPSoC에 RF급 아날로그 기술을 융합하여 5G 무선통신에서 획기적인 통합 및 아키텍처 혁신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자일링스가 발표한 새로운 올 프로그래머블 RFSoC는 디스크리트 데이터 컨버터를 제거한 기술로, 5G 매시브 MIMO 및 밀리미터파 무선 백홀 애플리케이션에서 50~75%의 전력 및 풋프린트(footprint) 감소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자일링스에서 발표한 올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RFSoC 대규모 2D 안테나 어레이 시스템은 5G에 필요한 스펙트럼 효율성 및 네트워크 고밀화를 높이는 핵심 요소로, 제조사는 상용화에 필요한 엄격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방식을 찾아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일링스는 올 프로그래머블 SoC에 고성능 ADC와 DAC를 통합했다. 전파 및 무선 백홀 장치가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전력 및 폼팩터(form Factor) 요건을 충족시키면서 채널 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새로운 RFSoC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제조사는 5G 배치 일정에 맞춰 설계 및 개발 주기를 간소화할 수 있다. 통합 16나노 기반 RF 데이터 변환 기술은 아날로그
[헬로티] 아나로그디바이스(한국 대표 양재훈 이하, ADI)는 현재 가정에서 TV를 보는 시청자들이 텔레비전의 미래를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DAC 'AD9162'를 발표했다. AD9162 DAC은 고품질의 스트리밍과 빠른 다운로드 속도를 지원, 더 많은 채널에서 UHD(Ultra High Definition) 및 4K 텔레비전을 즐길 수 있다. 회사 관계자는 "새로 출시된 AD9162 DAC는 광대역 및 무선 서비스 산업을 타깃으로 만들어졌고, 넓은 대역폭 및 동적 범위 제공을 통해 비싼 비용을 들여 큰 규모의 아키텍처 혹은 컨버터의 설계를 바꾸지 않더라고 더 높은 품질의 상시 접속 데이터(1always-on data) 및 동영상 스트리밍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늘어나는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AD9162는 2.5GHz 대역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케이블 업계의 DOCSIS 3.1표준의 optional future requirement인 1.794GHz 대역폭을 40% 가까이 초과하는 수치다. 대역폭이 더 넓어지면 케이블 사업자는 컨버터 설계를 바꾸지 않고도 차세대 네트워크를 위한 업그레이드와 용량 확장을 계획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신호 발생 애플리케이션은 이미지 주파수를 좀 더 바깥쪽으로 밀어내고 출력 필터의 복잡성을 낮추기 위해높은 샘플 레이트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오늘날 신호 발생 애플리케이션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샘플 레이트와 성능을 제공하는 리니어 테크놀로지의 LTC2000에 대해 살펴본다. 고속 신호 발생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는 대역폭과 분해능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오늘날 신호 발생 애플리케이션은 고속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를 이용, 단일 톤에서 수백MHz 대역폭의 복잡한 다채널 파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의 파형을 발생시킨다. 이들 애플리케이션은 아날로그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정확한 파형들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빠른 DAC를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신호 발생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위상 잡음(Phase Noise)이 동작 채널 수와 채널 간격을 제한하는 요소이다. 위상 잡음은 통상적으로 DAC 클록 입력을 구동하는 클록에 의해 정해진다. DAC에서 어떤 위상 잡음이 첨가되면 이것이 출력 스펙트럼에 나타나고, 발생시키는 신호를 제한할 수 있다. 어떤 범용 신호 발생 애플리케이션에 이용해도 적합한 DAC는 가능한 한 빨라야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