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AI 교육 평균 구매 금액 25% 상승...AI 역량 확보에 대한 학습 의욕 반영돼 AI가 직무 역량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으면서 실무 중심의 AI 교육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데이원컴퍼니의 실무 교육 브랜드 패스트캠퍼스가 22일 발표한 ‘2024 AI 학습 트렌드’ 분석에 따르면, 수강자들의 AI 교육에 대한 태도와 소비 패턴이 1년 사이 근본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수강자 1인당 AI 교육 평균 구매 금액은 2023년 23만5000원대에서 2024년 29만5000원대로 약 25% 상승했다. 이는 강의 가격 인상보다 개별 수강자의 구매 강의 수가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AI 역량 확보에 대한 실질적인 학습 의욕이 반영된 수치다. 실제로 거래당 평균 수강료는 16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5.3% 소폭 상승에 그쳤으나, 전체 거래 건수는 111%나 급증했다. AI를 업무에 접목하려는 시도도 뚜렷해졌다. AI 강의와 비AI 강의를 함께 수강한 비율은 2023년 20.2%에서 2024년 37.7%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AI가 단일 기술을 넘어 기존 직무 능력을 확장하고 보완하는 실무형 툴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헬로티] SK텔레콤이 자사 소속 AI 전문가들이 현업 경험을 토대로 기술 이론과 비즈니스 사례 등을 강의하는 ‘AI 커리큘럼’을 하반기부터 16개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제공한다고 10일인 오늘 밝혔다. ▲SK텔레콤이 AI 커리큘럼을 하반기부터 16개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제공한다고 밝혔다. AI 커리큘럼 도입을 희망하는 대학은 전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AI 커리큘럼은 음성인식 인공지능 플랫폼 'NUGU'를 포함해 음성인식, 영상인식, 추천기술 등 AI 기술 분야별 박사급 전문가 15명의 강의를 담아 총 49편의 교육 영상으로 구성된 실무형 교육 과정이다. 2020년에는 추가로 SK텔레콤 구성원 대상으로 제공해왔던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4차 산업 관련 교육 콘텐츠 113편도 강의 보조자료로 함께 제공하며 학생들이 전문가와 직접 소통하는 Q&A 세션도 추가로 운영할 계획이다. 2017년에 시작한 AI 커리큘럼은 대학 2곳과 협약을 맺고 진행됐다. 2018년에는 3개 대학, 2019년에는 5개 대학으로 점차 확대됐다. 2020년으로 4년 차인 AI 커리큘럼은 서울대 등 16개 학교를 대상으로 30개 이상의 학점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