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지난 25일 모바일 시상식인 '리딩 라이트 어워즈(Leading Lights Awards) 2023'에서 '가장 혁신적인 5G 코어 구축' 부문을 수상했다고 26일 밝혔다. 리딩 라이트 어워즈는 글로벌 ICT 리서치 기관인 인포마(INFORMA)와 통신 분야 전문 매체인 라이트리딩(Light Reading)이 주관하는 시상식으로 매년 각 분야 최고의 통신사업자 및 서비스에 상을 수여한다. KT는 이번 시상식의 '가장 혁신적인 5G 코어 구축' 부문에서 글로벌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이 부문은 5G의 핵심인 코어 네트워크 분야에서 앞선 기술과 혁신적인 서비스로 탁월한 성과를 달성한 기업에 수여하는 상이다. KT는 삼성전자와 함께 20년 11월, 5G NSA와 SA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동시 처리가 가능한 통합코어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고 21년 7월부터 5G SA 전국 서비스 상용화에 성공했다. KT는 5G 통합코어에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와 MEC(Mobile Edge Computing) 기술을 결합한 고품질·저지연의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해 스마트폰 중심의 기존 5G 서비스를 IoT 기반 공공·기업고
[첨단 헬로티] ▲ ETRI 연구진이 다중 엑세스 트래픽 결합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5세대 이동통신망(5G)에서 무선망과 유선망을 하나로 묶어 서비스 속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KT와 랜버드테크놀러지, 에스넷아이시티 등 국내 중소기업들과 공동 연구를 진행해 5G·와이파이(WiFi)·유선 인터넷망을 결합, 최대 40Gbps급 대용량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원천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이번에 발표한 기술은 세 개의 망을 하나로 묶는 다중 액세스 트래픽 결합 기술이다. 서로 다른 유·무선 접속 환경을 하나의 5G 코어망에서 제어해 4G 대비 40배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이 기술로 5G와 와이파이, 유선 인터넷망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이론적으로 LTE보다 최대 20배 빠른 5G의 최고속도 10Gbps, 유선인터넷 10Gbps를 합쳐 최대 40Gbps 전송속도를 낼 수 있다. 이때, 액세스 망 상황 즉각 제어가 가능해 사용자에게 최적의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5G 이동통신망 내부에서 제어 기존 LTE와 와이파이를 묶는 결합 기술이 이동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