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함수미 기자 | Soomvi(숨비)는 오는 19일부터 5일간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 2021(이하 서울 ADEX)’에 참가해 자체 기술이 집약된 개인용비행체(PAV)의 실물 기체를 처음 공개한다고 밝혔다. 1996년 '서울 에어쇼'로 출발한 서울 ADEX는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와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항공우주·방산 전시회다. 숨비의 PAV는 국내 최초로 개발 완료 단계에 와 있는 기체로 인천테크노파크관 중 PAV관의 핵심 전시품으로 배치된다. 숨비는 PAV와 주요 부품을 함께 공개해 앞으로 PAV 시장을 선도할 숨비만의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에 공개하는 PAV는 축간거리 4m, 높이 2.5m에 약 60분 이상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했다. 특히 해당 기체는 숨비가 수년간 연구개발한 ‘FCM 비행제어 시스템’과 ‘LCM 통신 모듈’이 적용됐다. 기술은 PAV 제어와 운용에 핵심적인 기술이다. FCM 비행제어 시스템은 비행체의 모든 시스템에 대한 통합 운용을 담당하며, 자체 고장진단 및 비상 백업 시스템 등을 갖춘 고신뢰 제어 시스템이다. PAV의 효율성과 확장성을 고려해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사장 김종갑)이 19일, ‘미래형 마이크로그리드(MG)’를 개발하기 위한 ‘KEPCO Open MG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KEPCO Open MG’는 기존 MG에 에너지솔루션과 블록체인 등의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개방형 에너지 커뮤니티’를 말한다. 이전까지의 MG는 소규모 태양광(PV: PhotoVoltaics)과 풍력(WT: Wind Turbine), 에너지저장장치(ESS) 위주로 구성돼 안정적 전력공급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에 개발하는 ‘KEPCO Open MG’에는 연료전지 등이 발전원으로 추가돼 있어 신재생만으로도 에너지자립이 가능하다. P2G(Power to Gas)기술을 활용해 남는 전력을 수소(Hydrogen)로 전환해 저장하고 필요할 때 연료전지 등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다시 바꿔낼 수 있다. 기존 MG보다 에너지자립율과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특히 다가오는 수소경제사회 화석연료인 석유가 고갈되고 수소가 그 자리를 대신해 주요 연료가 될 거라
[헬로티] 스마트시티는 ICT 기반 융합산업의 결정체로서 전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미래형 첨단 도시이다. 앞으로 도시 방향이 스마트시티로 귀결되면서 시장조사업체들도 스마트시티 시장의 장밋빛 전망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각 국가들은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첨단 기술을 활용해 도시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 저감 및 생태환경을 개선하는 미래 도시를 일컫는 스마트시티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스마트시티의 인프라를 이루는 기술들은 교통관리 시스템, 스마트 그리드, 물 관리 시스템, 에너지 효율화 시스템 등이 주축이 될 것이며, 세부적으로는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미터, 스마트 빌딩, 빌딩에너지 관리 시스템(BEMS), 홈에너지관리 시스템(HEMS), 스마트 자동차, LED, 유무선 기가급 통신 네트워크, 정보보안 등이 활용될 것이다. 이들 시스템과 기술들은 대부분 ICT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융합 기술들이다. 이러한 기술들이 융합될 스마트시티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여러 시장조사업체들은 스마트시티 시장에 대해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