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이동재 기자] “제조 경험 없는 레이저 오퍼상, 제대로 된 사후관리 불가능해” 30년 업력, CNC 제조에 대한 경험 데이터로 우후죽순 오퍼상과 차별화 ▲송영준 한터테크놀러지 기술영업부 이사와 21일 안양시 본사에서 인터뷰를 진행했다. (출처 : 이동재 기자) 파이버 레이저는 철판,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구리 등을 절단하는 가공기다. 기존의 CO2 레이저보다 정교할 뿐 아니라 경제적이고 반영구적이어서, 5~6년 전 한국 시장에 들어온 이후 빠르게 CO2 레이저를 대체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CO2 레이저가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질 수 있다고 말한다. CO2 레이저의 존재감을 완전히 지울 수 있을 만큼 파이버 레이저의 장점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파이버 레이저가 본격적으로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한 초기부터 해당 제품의 수입 및 판매 사업에 뛰어든 한터테크놀러지의 송영준 이사에게 자세한 얘기를 들어봤다. Q. 파이버 레이저와 CO2 레이저, 뭐가 다른가. A. 파이버든 CO2든 결국 빛을 이용해 소재를 절단하는 것이다. 쉽게 얘기하면 돋보기와 같은 원리인데, CO2의 경우 빛을 발생시켜 절단시킬 소재까지 떨어뜨리는 과정이 복잡하다.
[첨단 헬로티]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이 와이어 방전가공기 ‘MP 시리즈 Water Technology’를 국내 출시하며, 방전가공기 시장의 재편을 예고했다. 최근 방전가공 기술은 전자부품, IT 관련 부품 등의 고정도화, 초미세화 요구에 대응하여 고부가 가치 제품 가공을 위해 새로운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에 출시한 미쓰비시전기의 MP 시리즈도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개발된 제품이다. 미쓰비시전기 방전·레이저가공기영업팀 박찬석 그룹장은 “MP 시리즈는 특수 재료 및 최첨단 산업에 필요한 초정밀 가공을 할 수 있는 방전가공기 제품”이라며, “기본 탑재된 Remote4U와 함께 사용할 시 스마트폰, 태블릿에서 가동 상황을 원격으로 확인이 가능해 작업 공정 관리, 가공불량 개선 등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방전가공기 최근 이슈와 미쓰비시전기의 영업 계획을 박찬석 그룹장에게 들어봤다. ▲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방전·레이저가공기영업팀 박찬석 그룹장 Q. 방전가공은 금형 제작을 비롯하여 금속가공에는 없어서는 안 되는 기술이다. 앞으로 요구되는 방전가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