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의 열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산업계의 새로운 열풍을 일으키며 데이터센터에도 비상이 걸렸다. 24시간 안정적으로 가동돼야 하는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 소비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연산 장치가 천문학적 분량의 AI 데이터를 연산할 때 내뿜는 열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에 데이터센터 총 사용 전력의 약 45%가 데이터센터의 열을 식히는 ‘쿨링’에 사용될 정도로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으며 ‘냉각 시스템’의 중요성도 그에 걸맞게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은 매년 20~30%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5년 안에 4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국내의 36배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각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쿨링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에서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쿨링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프리쿨링 냉동기(Fre
4차 산업혁명은 초지능화, 초연결성, 초융합성을 근간으로 폭발적인 정보처리량을 도출했다. 즉 산술적으로 형용하기 여려운 양의 ‘빅데이터’가 현대인의 삶에 침투했고, 이 양은 매일 약 25억기가바이트(GB)에 해당한다. 쉽게 말해 인류가 지난 5000년 동안 생성한 데이터가 현대에는 하루만에 만들어지는 것이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2025년이 되면 전 세계에서 생성되는 하루 데이터가 463엑사바이트(EB), 약 5000억기가바이트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된다. 이처럼 방대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탄생한 방안이 데이터 센터다. ‘서버 호텔’이라고도 불리는 이 시설은 데이터를 한 데 모아 관리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재 전 세계에 구축된 크고 작은 데이터 센터는 약 2000개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5000대 이상의 서버 구성, 초당 40기가바이트를 처리하는 하이퍼 스케일 데이터 센터는 2021년 말 기준 전 세계 700개를 웃돈다고 시장조사기관 시너지 리서치 그룹(Synergy Research Group)이 발표했다. 이런 데이터 센터는 현재 전 세계 각지에서 우후죽순 설치되는 중이다. 데이터 센터는 각종 최신 고성능 컴퓨팅 기술이 집약된 시설로, 열 관리가
[첨단 헬로티] 글로벌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수행하고 있는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쿨링 솔루션인 에코플레어 인다이렉트 에어 이코노마이저(Ecoflair™ Indirect Air Economizer)를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기존의 냉수식, 냉매 기술에 비해 데이터 센터의 쿨링 비용을 60%까지 절감해준다. Ecoflair는 옥상 또는 지상에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쿨링 장치를 데이터센터 내부에서 시설 외부로 옮길 수 있게 함으로써 IT 장비를 위한 여유 공간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Ecoflair는 250kW, 500kW의 두가지 모듈로 제공되며 유연한 설계가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쿨링 요구 조건과 환경, 기후 상황에 따라 고객 맞춤형 설치가 가능하며, 모듈형 구조가 배치와 설치를 간편하게 만들어주어 서비스의 가능성을 높여주고 유지보수 비용은 낮춰준다. 또한 튜브형 설계 방식을 갖추고 있어 기존의 플레이트형 열 교환기가 갖는 냉각수 잔여물 축적에 의한 오염 발생의 단점을 완벽히 보완하여 데이터센터의 유지보수가 최소화하고 성능을 향상시킨다. 전체가 폴리머 구조로 이루어져 다습한 환경이나 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