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 모니터링 시스템, 무선통신 시스템 등 기술력 피력 로봇·그리퍼·컴프레서·통신 및 에어 관리 시스템·온조장치 등 일체화한 ‘스마트 아키텍처’도 선보여 서보스타가 에어 모니터링 시스템과 무선통신 시스템을 KIMEX 2024 부스에 내놓고 참관객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제15회 한국국제기계박람회(Korea International Machinery Expo, KIMEX 2024)’는 지난 1997년 경상남도 최초로 개막한 기계산업 기술 전시회다. KIMEX 2024는 이달 25일부터 4일 동안 개막한다. 디지털 전환(DX)에 직면한 기계산업에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시각을 제시하기 위해 인공지능(AI)·로봇·빅데이터·오토메이션·IoT 등 기술이 접목된 솔루션이 총출동했다. 17개국, 160개사, 350개 부스 규모로 열린 이번 나흘간의 여정에는 머시닝센터, 고속 및 복합 가공기, 절단기 등 금속 절단 및 절삭 솔루션부터 센서, 액추에이터, 드라이브, 모션 컨트롤, 유공압기기, 로보틱스, 각종 소재·부품 등 제품이 최신 기술과 접목된 사례를 참관객에게 제공한다. 특히 탄소중립 및 에너지 전환 트렌드를 이끌 각종 친환경 솔루션도 전시돼 기계산업에 또 다른 방향성을
헬로티 김진희 기자 | 삼성전자가 차세대 가전제품에 적용할 핵심 부품 기술 개발을 위해 서울대와 협력한다. 삼성전자와 서울대는 9일 서울 관악구 소재 서울대 전력연구소에서 이기수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 이병호 서울대 공과대학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가전 구동기술센터(센터장 하정익 교수)’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삼성전자와 서울대는 전기전자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전공의 인재로 연구 인력을 구성하고 가전제품의 성능을 결정 짓는 핵심 부품인 컴프레서와 모터에 적용할 차세대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주요 연구 과제는 컴프레서와 모터의 △에너지 고효율화 △저진동·저소음 구현 △내구성 강화 등을 위한 세부 기술 확보로 구성된다. 특히 삼성전자 냉장고와 에어컨은 컴프레서가 전체 사용 에너지의 약 70~80%, 세탁기는 모터가 약 50%의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에너지 고효율 제품 개발에 있어 핵심 부품과 관련된 원천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삼성전자는 2021년형 신제품을 시작으로 디지털 인버터 컴프레서와 모터가 고장 나면 기한 없이 무상 수리 또는 교체해 주는 ‘평생보증’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산학 협력을 통
[첨단 헬로티] 독일 전시 전문 기업인 라인메쎄는 오는 11월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열리는 국제 밸브 전시회 ‘Valve World Expo(밸브월드엑스포) 2018’ 참가사를 모집한다. ‘밸브월드엑스포’는 밸브, 밸브 부품, 피팅, 액추에이터, 포지셔너, 컴프레서,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다루는 전시회로 밸브 산업 최대 규모 행사 중 하나이다. 2년 주기로 개최되는 이 전시회는 2016년의 경우 40개국에서 722개사가 참가했으며, 89개국에서 12,420여 명이 방문해 높은 성과를 기록했다. 또한 한국에서만 19개 업체가 참가했다. 지난 회 방문객 구성을 살펴보면 구매 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문객이 86%에 해당했으며, 전시회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한 비율은 98%, ‘추천’한다고 답한 비율은 95%에 이르렀다. ‘밸브월드엑스포’는 밸브 기술이 적용되는 석유화학, 식품, 폐수 처리, 자동차, 제약, 발전 등 다양한 분야의 관계자들이 찾아온다. 또한 ‘밸브 월드 컨퍼런스(VALVE WORLD Conference
[첨단 헬로티] Fluidcomp는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주관으로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2017 한국기계전에 참가해 고효율 에너지 절감형 인버터 컴프레서를 선보였다. Fluidcomp의 고효율 에너지 인버터 컴프레서는 반영구적인 수명을 자랑하는 고효율 영구자석 모터를 장착하고 VSD(가변 속도 드라이브) 인버터 제어를 통해 필요한 적정량의 압축 공기만을 생산하므로 약 30~40%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IE3 모터보다 효율 높은 최신 오일 냉각 방식인 PM 모터는 180℃의 높은 온도에 작동한다. 모터의 자성을 잃지 않도록 보장한 PM 모터는 25~100% 가변이 가능한 효율적인 컴프레서 중 하나다. 고효율 PM 모터를 채택하여 일정한 압력을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다. 모든 구성 요소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앤드와 모터가 테이퍼로 연결되어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2017 한국기계전은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주관으로 10월 24일부터 27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되며 제조업의 기반이 되는 부품 및 기계 분야 기술을 비롯해 제조업 혁신을 견인하는 IT 융합 기술, 스마트 공장, 드론 등이 한 자리에 총 망라되어 미래
[첨단 헬로티] LG전자는 프리미엄 냉장고 핵심 부품인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를 올해 연말까지 1도어, 업소용 냉장고와 같은 일부 모델을 제외하고 모든 신제품에 탑재한다. LG전자에 따르면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는 일반 컴프레서보다 에너지 효율이 30% 이상 뛰어나고 소음이 적다. 냉장고는 컴프레서가 냉매를 압축하고 순환시켜 온도를 낮춰주는 원리로 작동한다. 일반 컴프레서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동력 변환 과정에서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고, 별도의 장치들이 필요해 부품 구조가 복잡하다. 선형의 모터가 ‘직선 운동’을 하는 리니어 컴프레서는 부품이 구조적으로 단순해 내구성이 뛰어나며 동력 전달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없다. 모든 리니어 방식은 모터의 속도를 자유자재로 구현하는 인버터 기술을 적용하고 있어 냉장고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LG전자는 2001년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를 개발한 후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는 5세대까지 진화해왔다. 5세대는 1세대 대비 △에너지 효율은 55% 높아지고 △소음은 15% 줄었으며 △냉장고 내부 온도의 편차를 0.5℃ 이내로 세밀하
1992년 영일 패키징 시스템즈라는 사명으로 설립된 영일산기는 마킹 분야 전문 업체로서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영일산기에서 취급하고 있는 히타치의 잉크젯 프린터 중 UX-D150S 모델은 데이터 메모리가 최대 2,000개로 확장되었으며, 일반 USB 메모리로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다. 기계 전면에서 순환계통 커버를 개방할 수 있어 잉크카트리지 및 필터 교환 등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 아니라, 분리형 조작 패널 사용으로 원격 조작이 가능하다. 또 협소한 공간을 위해 프린터헤드가 90도 전환되고, 배기 순환 시스템 개발로 용제 증발량이 반감되었다. 이 제품은 라인 설정 및 폰트 사이즈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이 단일 스크린 상에서 사용되며 인터페이스와 유지보수 기능이 간편하다. ▲ 잉크젯 프린터 그리고 오일프리 스크류 콤프레셔는 지속적인 압력 제어로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고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다. 이 제품을 사용하면 스케줄 작동 및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며, 대형 LCD 모니터링 화면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로터는 뛰어난 내식성 및 내구성을 가진 특수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고정밀 그라인딩 로터
[첨단 헬로티] 삼성전자가 냉장고 핵심부품인 컴프레서(압축기) 누적 생산량 2억대를 돌파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지구 한 바퀴가 넘는 수량이다. 이번 2억대 돌파는 삼성전자가 컴프레서를 처음 생산한 1976년 이후 40여년만에 달성한 성과로, 이는 3초당 컴프레서 1대를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한 것이라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컴프레서는 냉매를 압축, 순환시켜 냉장에 필요한 냉기를 만들어내는 냉장고 엔진에 해당하는 부품으로, 모터 제작기술과 냉매 압축기술 그리고 초정밀 가공기술 등 다양한 기술력이 집약됐다. 삼성전자는 컴프레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기술혁신으로 효율성과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크기를 줄이는데 주력해왔다. 이를 통해 냉장고 1대에 2개 컴프레서를 채용하는‘듀얼 컴프레서’ 기술을 실현해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의 독립냉각 기능을 완성했다. 삼성전자 ‘디지털 인버터 컴프레서’는 냉장고 사용 빈도에 따라 전력 사용량을 정밀 조절해 일반 컴프레서 대비 최대 35%의 전력절감이 가능한 고효율 제품으로, 전세계 인버터 컴프레서 시장의 52%를 점유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컴프레서는 24시간 내내
스크류 에어 컴프레서의 제어 시스템 ‘알콘’의 에어 소모량 정밀 예측 알고리즘은 공회전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최대 80%까지 줄여 준다. 알콘은 기존 스크류형 에어 컴프레서의 일반 제어 방식과 인버터(VSD) 제어 방식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알콘을 인버터 제어 방식에 적용할 경우, 절전 효과가 높아지며 모터의 열화 누적 현상까지 해소돼 장비의 수명연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김희성 기자 (npnt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