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티 김진희 기자 | 두산중공업이 가스터빈 개발로 구축한 국내 산∙학∙연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수소터빈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두산중공업은 지난 17일, 가스터빈 국산화 기술개발에 기여한 국내 대학들과 ‘두산가스터빈 차세대 기술협력 연구실’ 인증 수여식을 가졌다고 19일 밝혔다. 두산중공업 창원 본사에서 진행된 수여식에는 두산중공업 박홍욱 파워서비스BG장, 손정락 산업부 R&D 전략기획단 에너지산업 MD를 비롯해 10여 개 대학 연구실 교수들이 참석했다. 이 날 선정된 인하대, 서울대, 창원대 등 10여 개 대학 연구실은 가스터빈의 압축기, 연소기, 터빈, 열유체 등 핵심기술 개발에 우수한 성과를 내며 국내 최초 가스터빈 개발에 협력했다. 두산중공업은 연세대 최승영 연구원, 항공대 김기문 연구원, 카이스트 이태송 연구원 등 개별 과제 담당 연구원에게는 우수연구과제 상장을 수여했다. 두산중공업 박홍욱 파워서비스 BG장은 “오늘 선정된 대학 연구실을 비롯해 여러 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으로 국내 최초 발전용 가스터빈의 성능시험까지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며 “그 과정에서 국내 가스터빈 분야의 기반 기술과 경쟁력이 확보되고 있으며, 역량있는 우수
헬로티 김진희 기자 | 경남도는 혁신데이터센터 구축사업의 핵심 시설인 데이터 혁신지원공간인 MDCG를 23일 창원 태림산업에서 개소했다. MDCG는 'Manufacturing Data Community Ground'(제조 데이터 커뮤니티 현장)의 약자다. 태림산업 내부 공장의 실제 생산라인과 연계해 제조데이터 수집·가공·분석 등 제조데이터 활용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국 최초 공간이다. MDCG는 총 2층 규모로 지어졌다. 1층에는 태림산업의 실제 생산라인이 가동되고, 2층에는 제조데이터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관제실을 비롯해 상담·회의 등을 위한 공간이 마련돼 제조데이터와 관련한 컨설팅, 교육, 홍보 등의 활동을 한다. 경남도는 MDCG를 활용해 도내 스마트공장 수요·공급기업들의 제조데이터 활용과 관련한 이해도를 넓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동시에 아직 스마트공장을 도입하지 않은 국내외 전통 제조업체들을 위한 제조혁신 투어를 진행해 제조데이터 생태계 저변을 확산할 계획이다. 앞서 경남도는 지난해부터 혁신데이터센터 구축사업을 추진 중이다. 창원국가산단 내 기업들의 제조데이터를 바탕으로 공정 개선과 같은 스마트공장 고도화 서비스를 개발·거래하는 등
[첨단 헬로티] 연구센터, 마크포지드와 관련 경험·기술지원·노하우 공유 등으로 적층제조 기반의 제조 첨단화 플랫폼 구축 나서 창원대학교 지역선도연구센터는 현재 추진 중인 극한환경용 고부가가치 기계부품의 설계, 스마트 제조 및 성능평가, 기술개발과 관련해 마크포지드코리아와 적층제조 기술기반의 제조업 첨단화 플랫폼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창원대학교 지역선도연구센터인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부품 설계·제조 혁신센터(이하 혁신센터)’는 2019년부터 2026년까지 7년간 정부 지원금 91억5000만 원과 경남도, 창원시, 대학, 기업지원금 30억5000만 원 등 총 122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아 구축된 연구 시설이다. 혁신센터는 동남권 주력산업 관련 극한환경용 고부가가치 기계부품 설계, 스마트 제조 및 성능평가 기술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혁신센터는 제조혁신 기술을 활용한 극한환경 스마트 기계부품의 설계 및 응용연구, 고부가가치 기계부품 생산을 위한 적층제조·복합가공 시스템 및 스마트 팩토리 요소 기술 개발, 고부가가치 기계부품·소재의 극한환경 시험 및 성능
[첨단 헬로티] 한글 자연어처리 기술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며 고도화해 온 네이버가 창원대학교와 함께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처리) Challenge”를 진행한다. NLP Challenge는 네이버 자체 클라우드 플랫폼인 NSML(NAVER Smart Machine Learning)과 창원대학교가 제공하는 다량의 한글 데이터를 활용해, 자연어처리와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는 온라인 경진대회이다. 해당 챌린지는 오는 12월 14일까지 온라인 페이지를 통해 진행되며, 한글 자연어처리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개인 또는 팀(최대 3명)으로 참여할 수 있다. 과제는 총 두 가지로, ▲사람, 장소, 시간 등에 해당하는 단어(개체명)를 문서에서 인식하여 추출, 분류하는 개체명 인식(Named-entity Recognition, NER) ▲문장에서 각각의 표현과 단어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내는 의미역 결정(Semantic Role Labeling, SRL)에 대한 과제를 NSML을 활용해 해결하는 것이다. 네이버는 12월 말 우수 참가자를 발표하는 워크샵을 진행하고, 각 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