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계량기 확인도 스마트하게' 비대면 상시 점검 서울시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수도계량기 원격검침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2030년까지 서울 지역 수도계량기 222만개의 30%에 해당하는 66만개를 원격검침 계량기로 바꾼다고 3일 밝혔다. 이를 통해 격월로 이뤄지던 방문 검침 방식을 상시 스마트 원격검침으로 전환한다. 서울 지역의 수도계량기 검침 방식이 본격적으로 바뀌는 것은 1924년 수도계량기 도입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안전한 검침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비대면 검침 요구 확대 등 생활 방식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 원격검침을 본격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스마트 원격검침'은 디지털 수도계량기와 원격검침단말기를 설치한 뒤 사물인터넷을 통해 검침 값을 전송받는 방식이다. 비대면으로 검침할 수 있고, 1시간 단위로 실시간 사용량도 확인할 수 있어 과학적인 수돗물 공급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서울시는 원격검침 본격 확대에 앞서 2018년부터 올해 4월까지 계량기 7만개를 원격검침 단말기로 교체했다. 현재 서울 시내 수도 계량기 222만개 중 94%인 20
헬로티 김진희 기자 |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이 스마트시티의 핵심요소인 초음파 스마트 가스미터 확산에 앞장선다. 스마트 가스미터는 정밀계량, 원격검침 및 첨단 관리(안전, 효율 등) 서비스가 가능한 가스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를 위한 차세대 계량 인프라다. KETI는 지난 23일 경기도 성남 본원에서 ㈜삼천리를 비롯한 6개 기업과 '초음파 스마트 가스미터 제조·공급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초음파 스마트 가스미터의 본격적인 보급을 위한 준비 단계로, 원천기술 지원 기관인 KETI, 가스미터 수요기업인 삼천리, 그리고 가스미터 제조·공급 기업 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초음파 스마트 가스미터는 기계적 가동부가 없는 전자식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가스의 유량을 정밀 측정하는 장치로, 기존 막식(다이어프램식) 계량기에 비해 정확도 및 내구성이 높아 가스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차세대 계량기로 주목받고 있다. KETI와 6개사는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 초음파 가스미터의 양산화 및 보급을 위한 회원사 홍보 및 선별 ▲ 초음파 스마트 가스미터 연합에 필요한 행정, 기술, 인력, 교육
[첨단 헬로티] 한국전력(사장 조환익)은 지난 8월 16일(수) 미국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개최된 제30회 ‘2017 CIO 100 Awards’에서 2년 연속 CIO Awards를 수상했다.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Awards는 세계적인 리서치 기관인 IDG(International Data Group)가 65명의 글로벌 CEO, CIO, 교수 등 전문위원의 심사를 거쳐, ICT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성과가 탁월한 기업을 선정하고 시상하는 것으로 올해는 IBM, 지멘스 등과 함께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2017 CIO 100 Awards’에 선정된 기업중에 전력회사로는 한국전력이 유일하며, 한전은 지능형계량인프라(AMI)의 요소기술 개발 노력과 상용화에서 그 혁신성과를 인정받은 것. 한국전력은 그동안 350만 개 전력계량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및 관련 시스템(MDMS)을 개발했다. 또한 도시, 농어촌 등 다양한 원격검침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력선통신(PLC), 근거리무선(Wi-SUN) 등 AMI 기반 통신 기술도 개발했으며
▲ ETRI의 '나노큐플러스'[사진=ETRI] [헬로티] 국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한 초소형 운영체제 ‘나노큐플러스’가 국내 기업을 통해 북유럽 노르웨이 시장까지 진출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고 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는 누리텔레콤의 원격검침 상용제품에 ‘나노큐플러스’와 최신 무선통신 기술을 탑재, 지난해 말 수주한 노르웨이 국제 프로젝트(SORIA Project)에 대규모 현장 검증을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12일 밝혔다. 누리텔레콤이 수주한 금액은 8백억 원 규모로 단말기 74만대 규모다. 현재 ETRI는 노르웨이 현지 프로젝트 실사단의 소규모 기능 검증을 통과한 상태로 대규모 현장 구축을 위한 자체 시험 환경을 구축하고 다양한 검증 과정을 진행 중이다. 나노큐플러스는 노르웨이 각 집마다 설치된 전력미터기 내부 통신모듈 부분에 내장돼 자동으로 전력소비량 데이터를 원격으로 전송한다. 원격 전기 검침은 집마다 설치된 나노큐플러스가 내장된 스마트미터기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해 나노큐플러스가 들어간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해 서버와 연결되는 방식이다. 스마트미터기는 전기 사용량을 15분 단위로 측정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