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2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의 날’ 행사를 열고 규제 샌드박스 승인 기업 관계자를 격려하고 사업 성과 및 우수 사례를 공유했다고 밝혔다. 규제 샌드박스란 아이들이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모래 놀이터(Sandbox)에서 유래된 말로, 신기술이나 신산업을 시도할 수 있도록 일정 조건에서 규제를 면제·유예해주는 제도를 뜻한다. 산업부는 지난 2019년 1월 산업융합 규제 특례심의위원회를 설치하고 신제품, 신기술을 신속히 출시할 수 있도록 불합리한 규제를 면제하거나 유예해주고 있다. 제도 시행 이후 지금까지 631건의 과제를 승인, 2조2000억 원 규모의 경제적 성과가 나타난 것으로 평가된다. 산업부는 2020년 시작한 승인기업협의회를 올해 ‘샌드박스의 날’로 개명하고 세부 행사를 진행했다. 이날 지능형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개발 업체인 엘토브, 이동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업체인 티비유 등 관계자 11명은 산업부 장관상을 받았다. 행사에서는 올해 신설된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 전용 펀드를 통해 파리티와 인터밸류파트너스, 플레토와 유니온투자파트너스가 각각 투자 협약을 맺었다. 승인 기업들의 투자유치 지원을 위해 승인
[헬로티] 이큐포올과 엘토브는 사회적 약자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한 공동 사업 추진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양해각서를 30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12월 10일(목)에 어린이, 고령자, 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농아인을 독립기념관으로 초청하여 ‘베리어프리 키오스크(Barrier-Free Kiosk)’ 현장 평가 양사는 올해 과기정통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추진하는 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 사업을 수주해, 독립기념관과 세종병원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접근성이 포함된 베리어프리 키오스크를 구축한 바 있다. 엘토브가 구축한 베리어프리 키오스크는 실증평가회를 통해 지체장애인과 시청각장애인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엘토브는 2021년에도 동일한 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 사업 과제 추진 기업으로 선정됐고, 기존 사업의 확대와 개선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2021년 사업에서는 이큐포올이2019년부터 2년간 구축한 청각장애인을 위해 응급상황 안내방송 수어 통역 앱인 ‘수어통’을 엘토브의 키오스크에도 적용해, 다중이용시설 내 응급 안내방송내용이 청각장애 방문객에게 키오스크를 통해서 제공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헬로티] 기존 키오스크에 음성인식 및 음성안내, 점자 입/출력, 수어 아바타 기능 추가 사용자 키 인식해 스스로 높이와 각도 조절해 ▲엘토브(대표 김지성)가 자체개발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사용에 대한 현장평가를 지난 10일 독립기념관에서 실시했다. 인공지능 안내 플랫폼 기업 엘토브가 지난 10일 어린이, 고령자, 지체장애인, 시각장애인, 농아인을 독립기념관으로 초청해 배리어프리 키오스크(Barrier-Free Kiosk) 사용에 대한 현장평가를 실시했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비대면 키오스크 서비스 시장은 갈수록 확대되고 있으나 사회적 약자(어린이, 고령자, 장애인 등)를 배려한 맞춤형 키오스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공공장소, 극장, 쇼핑몰 등에 설치된 일반 키오스크의 경우 사회적 약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요소가 많아 특히 장애인의 경우 이용을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엘토브와 독립기념관은 지난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한 ‘2020년 사회현안해결 지능정보화 사업 공모’에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사업주관사 및 실증기관으로 선정됐다. 엘토브가 개발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는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다양한 최신 기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