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E는 한국 HPE 네트워킹 부문 총괄로 채기병 지사장을 임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채기병 한국 HPE 네트워킹 부문 지사장은 국내 사업 전략 수립과 실행을 총괄하며, 성장 가속화와 고객·파트너 관계 강화, 그리고 보안 및 AI 네이티브 네트워킹 솔루션 포트폴리오 도입 확대에 주력할 예정이다. 채 지사장은 IT 업계에서 30년 이상 경험을 쌓아온 전문가다. 세일즈 운영, 시장진출 전략, 모바일 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통합(SI) 분야에서 풍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그는 2012년부터 주니퍼 네트웍스 한국 지사장을 맡아 사업 개발과 시장 성장을 이끌었다. 2003년 주니퍼 네트웍스에 입사한 이후 영업 담당자와 오퍼레이팅 지역 리더를 역임했으며, 주니퍼 입사 전에는 테라욘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즈, 시스코 시스템즈, 쌍용정보통신에서 임원으로 근무하며 전략적 영업을 주도했다. 학력으로는 서울대학교 경영학 석사(EMBA)를 취득했으며, 예일대학교와 중국인민대학교에서 경영자 교육 과정을 수료했다. 인하대학교에서 해양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국가공인 정보처리기사 자격도 보유하고 있다. 채 지사장은 “HPE 네트워킹이 전환점을 맞는 시기에 총괄 지사장 역할을
엣지 투 클라우드 네트워크 구축 및 보호 자동화/가속화 위치 서비스의 새로운 혁신 아루바 센트럴 넷컨덕터, 표준 기반 네트워크 패브릭에 대한 관리 및 보안 제공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21일 개최한 간담회에서 ARUBA ESP(이하 아루바 ESP)에 대한 신규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새로운 아루바 ESP와 함께 제공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를 통해 기업이 분산되어 있는 네트워크 관리를 일원화하고, 유무선 및 WAN 인프라에서 정책 프로비저닝을 단순화하며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뿐만 아니라 제로 트러스트와 SASE 보안 정책을 적용하여 보다 민첩한 네트워크를 구현하도록 한다. 아루바는 GPS 수신기가 내장된 업계 최초의 셀프 로케이션 실내용 액세스 포인트, 그리고 AP에서 디바이스로 위치 정보를 공유하는 새로운 업계 표준인 오픈 로케이트도 발표했다. 아루바의 신규 업데이트를 통해 기업은 급변하는 비즈니스 요건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HPE 아루바 박정무 매니저는 ‘NETWORK MODERNIZATION'이라는 제목으로 네트워크의 트렌드와 더불어 이에 대응하는 HPE 아루바의 업
[헬로티]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에지-투-클라우드 보안 관련 아루바 ESP(Edge Services Platform)의 새로운 개선사항을 발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새로 발표한 내용에는 보안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플랫폼인 클리어패스 정책 매니저(ClearPass Policy Manager)와 SD-WAN 에지 플랫폼인 아루바 에지커넥트(Aruba EdgeConnect, 이전 실버피크)의 통합, 아루바 위협 방지와 에지커넥트 플랫폼의 통합, 그리고 아루바 ESP 멀티벤더 보안 파트너 에코시스템의 확장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엔터프라이즈 고객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업계 최고의 클라우드 기반 보안 액세스 서비스 에지(SASE) 보안 구성요소를 자유롭게 구축할 수 있다고 HPE 아루바는 밝혔다. 또한 기업은 최신 아루바 ESP 개선사항을 통해 에지에서 클라우드에 이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빠르게 완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지금까지 데이터센터와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중심, 그리고 VPN 기반이었던 네트워크를 엔드
[헬로티] 모바일 업무 확대에 따른 빠르고 안정적인 와이파이 6 무선랜 솔루션 도입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대한민국 육군에 와이파이 6 기반 무선랜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해당 육군 부대는 전국의 각급 부대의 노후화된 랜 장비와 시설을 교체하는 사업을 매년 시행해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안정적인 지휘통제 체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유선랜 구축과 더불어, 모바일 업무의 확대, 새로운 정보화 환경에 부합한 기반체계에 필요성을 느껴 무선랜 구축 사업을 추진되게 됐다. 교육 및 훈련기관을 제외한 부대 내 중요 망에 무선랜을 구축하는 것은 처음이다. 한국군 최초로 국방망과 연동하게 되는 무선 와이파이 사업으로 오는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전군에 확산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 부대는 새로운 정보화 환경에 적합하고 지속적으로 운용이 가능한 최신 기술의 확장성을 갖춘 무선랜 솔루션이 필요했다. 무엇보다 보안을 위해 안정적인 정보보호 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이에 국내 표준 보안 인증인 CC(Common Creteria)를 획득한 제품으로 설치됐다. 이번 사업에서 HPE 아루바는 다양한 국방&midd
[첨단 헬로티] 현재 우리는 와이파이 6 및 사물인터넷(IoT), 5G 등으로 인해 더 빨라지고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 때문에 기업들은 향상된 성능과 더 높은 대역폭에 의존해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지만 이를 지속하기에는 비용과 공간 등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 네트워크 관리자는 지점 사무실, 엔터프라이즈 캠퍼스, 데이터센터를 관리할 때 유연성이 떨어지는 개별 아키텍처와 씨름해야 했다. 이러한 개별 아키텍처는 여러 운영 체제에 걸친 수동 프로세스가 필요해 운영 모델이 분산되고, 네트워크 최신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실행 불가능한 비정형 데이터가 생산된다. 특히 노후화된 인프라로는 IT 민첩성과 디지털화를 따라가지 못한다. 더불어, 분산된 데이터와 원격 분석으로는 당장 필요로하고 실행가능한 깊이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기 힘들다. 이에 대해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는 기업 캠퍼스와 지점, 데이터 센터까지 제어 가능한 단일 플랫폼과 클라우드 네이티브 운영 체제를 갖춘 새로운 CX 시리즈 스위치가 이러한 데이터시대의 디지털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29일, 여의도 소재 HPE 아루바 사무실
[첨단 헬로티]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가 개인병원, 레스토랑, 카페, 스타트업 등 소규모 사업장의 IT 환경 문제 해결하기 위한 무선 솔루션 아루바 인스턴트 온(Aruba Instant On) 제품군을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3분의 2가 2023년 말까지 IT 전략의 핵심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계획하고 있으며, 디지털 혁신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무선랜을 포함한 통신 인프라에 대한 새로운 요구가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손쉽게 확장 가능하며 끊김 없고 관리가 쉬운 무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맞춤형 Wi-Fi 솔루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아루바 802.11ac Wave 2 기술이 탑재된 인스턴트 온 제품군은 간단하고 쉬운 설정의 솔루션에 비즈니스급 Wi-Fi를 결합함으로써 확장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인스턴트 온 모바일 앱 또는 클라우드 기반 웹 포탈을 통한 2개의 관리 모드, WPA2/WPA3 등 최신 인증 프로토콜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메시(Smart Mesh) 기술을 통해 배선이 어려운 지역에서 쉽게 네트워크 확장이 가능하며, 다
[첨단 헬로티] 차세대 네트워크 액세스 솔루션 선도기업 한국 아루바 휴렉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가 대진대학교 캠퍼스 전역에 Wi-Fi 6 (802.11ax) 초고속 무선랜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대진대학교는 국내 최초로 대규모 Wi-Fi 6 통합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한 캠퍼스가 되었다. 최근 1인 멀티 디바이스 시대에 접어들면서 더 넓은 범위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초고속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대진대학교 역시 이번 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강의실과 야외를 불문하고 캠퍼스 어느 곳에서나 제한 없이 무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했다. 더불어 변화하는 초고속 IT 환경을 감당할 수 있는 무선 인프라의 부재와 기존 통신사 AP(Access Point)들이 제공하는 저속 및 저품질의 무선 네트워크 환경도 문제점 중 하나로 꼽았다. 또한 무분별한 무선 공유기 사용으로 인해 네트워크 장애가 수시로 발생해 다양한 IoT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할 시스템도 필요했다. 아루바는 이러한 대진대학교의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3S(Smart, Secure, Stab
[첨단 헬로티] 네트워크 액세스 솔루션 전문 기업인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와 조달 파트너 랜오아시스는 서울 구로디지털단지 지하이시티에 ‘익스피리언스 존 아루바 (Experience Zone Aruba, 이하 EZ Aruba)’를 개관했다고 22일 밝혔다. EZ Aruba는 아루바의 스위치, 무선 AP 등의 유무선 장비는 물론 클리어패스(ClearPass), SD-branch(Software-Defined Branch)와 같은 최신 소프트웨어까지 집약된 체험 공간으로 기존 고객뿐만 아니라 향상된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잠재적 고객들에게도 아루바의 강력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 솔루션의 가치와 경험을 제공한다. 오피스 업무환경, 학교, 호텔, 공장, 리테일 매장 등 5개의 컨셉 존으로 구성된 EZ Aruba는 각각의 공간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배치함으로써, 고객들이 원하는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네트워크 제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하고 경험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공간마다 에코 파트너십(Eco-Partnership)을 맺은 써드파티 솔루션과의 연계를 통해 아루바가 지향하는 디지털 생태계의 모습을 한눈에
[첨단 헬로티] 네트워크 액세스 솔루션 기업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가 원광대학교 병원(병원장 윤권하)에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표준인 Wi-Fi 6(802.11ax)를 구축했다고 1일 밝혔다. 1980년 개원한 원광대학교 병원은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구형 무선랜 솔루션 및 액세스 포인트로 인해 접속 지연, 끊김 현상 및 무선 서비스의 속도 지연과 품질 저하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좁은 커버리지 영역이 야기하는 음영 지역 발생, 유/무선 공유기 사용으로 인한 주파수 채널 중첩 및 간섭 현상에 대한 해결 역시 필요했다. 더불어 전북지역 권역외상센터를 새롭게 오픈함에 따라 많은 환자들과 최신식 의료기기를 지원할 수 있는 첨단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해야 했다. 이에 따라 원광대학교 병원은 인프라 구축과 함께 사용자 접근 제어 및 보안 정책을 강화해 환자 정보 및 의료 관련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아루바의 최신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 표준인 Wi-Fi 6(802.11ax)를 구축했다. 아루바는 "Wi-Fi 6는 OFDMA(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
[첨단 헬로티] 차세대 네트워크 액세스 솔루션 선도기업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가 스타필드 시티 위례에 통합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해 매장 이용객과 내부 임직원들의 네트워크 환경을 향상시켰다고 25일 밝혔다. 스타필드 시티 위례는 위례 신도시에 위치한 도심형 라이프 스타일몰로, 단일 공간에 많은 수의 고객이 집결하는 만큼 연결성 및 보안성과 관련된 다양한 네트워크 요구 사항을 갖고 있었다. 해당 시설은 주차장 관제 카메라 및 CCTV 카메라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필요로 했으며, 동시에 폐쇄망을 통해 강력한 보안을 구축하기를 원했다. 또한 고객 및 내부 임직원들에게 고도화된 네트워크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객용 무료 와이파이 환경 및 내부 업무 네트워크의 효율성을 높여야 했다. 아루바는 액세스 포인트, 스위치, 컨트롤러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등을 기반으로 통합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며 네트워크 성능을 향상시키고 기존 장비 대비 비용 절감을 실현했다.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 및 시스템을 통한 고객과 내부 임직원의 네트워크 경험 동시 상향 먼저 주차유도관제망과 CCTV망에 이중화 백본으로 아
[첨단 헬로티] ▲ 파타 나라시만(Partha Narasimahn) HPE 아루바 글로벌 CTO 매일 1천 4백 만 대 이상의 새로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추가되며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전 세계의 기업들은 사물인터넷(IoT) 전략 수립에 있어서 보안성 및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를 갖게 됐다. 또한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한 디바이스 유형이 증가함에 따라 자동화가 IoT 보안의 핵심 요소로 떠오르며 수동 디바이스 프로파일링 기법을 대체하고 있다. 아루바는 이러한 기업들의 요구를 반영해 인공지능(AI) 기반의 클리어패스 디바이스 인사이트(ClearPass Device Insight) 및 와이파이(Wi-Fi) 6의 확장된 포트폴리오 선보였다. 이 회사는 이를 통해 보안, 연결성 및 분석을 혁신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아루바)는 5월 30일 삼성동 소재 써밋갤러리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파타 나라시만(Partha Narasimahn) HPE 아루바 글로벌 CTO는 “오늘 소개하는 클리어패스 디바이스 인사이트는 자동화된 디바
[첨단 헬로티]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가 802.11ax(Wi-Fi 6) IoT 지원 무선 액세스 포인트 및 상호 보완용(Complimentary) 액세스 스위치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된 새로운 제품군은 혁신적인 보안과 지능형 전력 관리,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자동화 및 서비스 보장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기업 및 조직은 사용자들에게 탁월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향상된 성능과 단순성, 신뢰성이 높은 고도화된 네트워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최신 Wi-Fi 표준을 지원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새로운 WPA3(Wi-Fi Protected Access 3) 및 향상된 개방성 보안 표준에 대해 WFA(Wi-Fi Alliance) 인증을 받은 최초의 제품으로, 강력한 암호화 및 간단한 IoT 보안 구성을 제공한다. 아루바는 블루투스5(Bluetooth5)를 지그비(Zigbee)가 탑재된 액세스 포인트에 통합한 최초의 Wi-Fi 벤더이며, 이러한 새로운 기능을 통해 스마트 도어락 및 전자 가격 표시기(Electronic Shelf Labels, 전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가격을 포함한 구체적인 정보를 나타내
[첨단 헬로티] 모바일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차세대 네트워크 액세스 솔루션 기업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가 ‘모바일 퍼스트 아키텍처(Mobile First Architecture)’ 솔루션과 함께 인공 지능 기술,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자율적인 네트워킹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한 업무 환경을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 점차 많은 IT 조직들이 모빌리티, IoT, 클라우드를 도입함에 따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비즈니스 탄력성을 실현시키고자 한다. 이에 아루바는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를 보장 할 수 있는 인공 지능 기반의 분석 솔루션인 ‘넷인사이트(NetInsight)’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CRE(Corporate Real Estate, 기업 부동산) 리더기업, 커넥티드 가구 회사, 기술 벤더 등을 포함한 ‘아루바 엣지 기술 파트너 프로그램(ArubaEdge Technology Partner Program)’에 ‘스마트 디지털 워크플레이스(Smart Digital Workplace)’ 관련 파트너를 새롭게 추가했다. 이를 통해 아루바는 조직
[첨단 헬로티] HP(www8.hp.com)가 10월 11일(수)부터 13일(금)까지 개최되는 ‘2017년 사물인터넷 국제전시회’에 참가하여 자사의 IoT 브랜드인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의 솔루션을 선보였다. 아루바는 업무와 일상의 모든 면에서 클라우드 기반 비즈니스 앱을 활용하는 모바일 세대인 GenMobile 사용자들을 지원하는 조직을 위한 IT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에 선보인 아루바의 모바일퍼스트 플랫폼(Mobile First Platform)의 ArubaOS 8.0은 무중단 장애 복구(Hitless Failover), ISU(In-service Upgrade) 등을 통해 엔터프라이즈 무선 연결을 지원하기 때문에 고객들은 이를 통해 서버 어플라이언스 상에 VM 형태로 구축되어 컨트롤러 기반 WLAN을 관리할 수 있다.이로써 소비 모델을 획기적으로 간소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번 전시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사물인터넷협회 등이 주관하는 IoT 진흥주간(IoT Week Korea 2017)의 행사 중 하나로, 일상생활은 물론 제조, 건설, 가전, 의료, 에너지 등 전 산업 분야에 사물인터
[첨단 헬로티] 아루바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 컴퍼니(이하 HPE 아루바)는 모빌리티, 클라우드 및 IoT 시장의 요구사항에 맞춰 고안된 기업용 코어 스위치 아루바 8400 시리즈와 최신 운영체제인 아루바 OS-CX를 출시했다. HPE 아루바는 또 낭비되고 있는 자산을 추적해 자본 및 운영 비용을 절감시키고, 기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아루바 어셋 트래킹 솔루션(Aruba Asset tracking solution, 이하 AATS)도 발표했다. AATS의 경우 아루바 무선 인프라와 통합돼 비용 절감은 물론 간편한 도입이 가능하다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HPE 아루바는 "전세계 많은 기업들이 고가 설비나 비품을 분실하거나 도난 당해 매년 수백만 달러의 손실을 입고 있다"면서 "어셋 트래킹은 아루바 와이파이 인프라에 통합된 솔루션을 통해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며 별도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 기업은 AATS를 직관적인 위치 기반 모바일 앱이나 기존 트래킹 솔루션과 통합해 사용함으로써 중요한 물품을 정확하게 추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