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헬로티] 동남보건대학교 보건3D프린팅융합과가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NIDS)으로부터 ‘의료기기 규제과학(RA) 전문가 교육기관’으로 지정됐다. ▲김학성 보건3D프린팅융합과 학과장(좌), 이규선 동남보건대학교 총장(우) 동남보건대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지난 7일(화) 대학본부 1층에서 현판식을 거행했으며, 이날 이규선 총장을 비롯한 교무위원 및 보건3D프린팅융합과 교수들이 참석했다. 의료기기 규제과학(RA) 전문가 교육기관은 '의료기기 규제과학(RA)전문가 자격 관리·운영 규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시설과 장비, 강사 및 지원인력 수준, RA 교육과정 개설 적합성 등 엄격한 기준을 거쳐 지정됐다. 의료기기 규제과학(RA) 전문가는 법적·과학적 규제기준에 근거해 의료기기 전체 주기에 필요한 국내외 적합성 인정, 인허가, 사후관리, 품질관리, 임상 등에 대해 지식을 갖춘 전문가다. 동남보건대학교 보건3D프린팅융합과는 지정일(2020년 2월 28일)로부터 3년간 RA 전문가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보건3D프린팅융합과에 개설된 교과목 중 지정된 교과목을 이수한 학생에게 수료증 발급 및 RA전
[첨단 헬로티] 국내 유일의 보건·의료 관련 3D프린팅 학과로서 3D프린팅 교육 시스템 구축에 매진할 것 3D프린팅은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신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특히 3D프린팅은 의료 분야에 적용되면서 의료 기기 부품과 더불어 바이오프린팅 등 각종 의료 서비스에 활발히 기여하고 있다. 지난 2018년, 동남보건대학교는 이러한 기술 수요를 고려해 국내 최초로 보건3D프린팅융합과를 개설했다. 이에 김학성 학과장을 만나 학과에 대한 소개와 비전을 들어봤다. 학과가 개설된 배경을 듣고 싶습니다. 동남보건대학교는 지난해 2018년 국내 최초로 보건3D프린팅융합과를 신설했습니다. 총 3년 과정으로 개설된 저희 학과는 현재 2학년 학생까지 있어요. 작년에는 편제정원 21명 외에 정원 외 5명을 포함해 26명으로 시작했습니다. 올해는 작년보다 약 2배 증원된 40명과 정원 외 학생 6명이 입학을 했죠. 학과 개설을 계획할 당시 저는 기획처장으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지속 가능하고, 발전성 있는 학과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당시에 제 눈에 들어온 건 3D프린팅이었습니다. 3D프린팅은 융합적인 학문인데다 의료, 보건 계통에 활발히 활용되는 기술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