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실증 추진 및 AI 데이터 센터에 적합한 전력 시스템 표준 마련 협력 AI 데이터 센터가 차세대 사회기반시설(SOC)로 주목받는 가운데, 국내 스타트업 두 곳이 손을 맞잡고 에너지 효율성과 안정성을 강화한 새로운 AI 전력 인프라 모델 개발에 나선다. 리벨리온과 스탠다드에너지는 ‘AI 데이터센터 특화 에너지 솔루션 공동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AI 인프라의 전력 효율을 높이고,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운영을 가능케 할 새로운 에너지 솔루션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은 글로벌 AI 인프라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추진된다. 리벨리온이 보유한 저전력 AI 추론용 반도체 ‘아톰(ATOM)’과 스탠다드에너지의 화재 위험이 낮고 고출력 운영이 가능한 바나듐 이온 배터리(VIB)를 기반으로 한 ESS 기술을 결합한 시스템이 핵심이다. 양사는 이미 해당 기술을 활용해 AI 서버랙과 ESS가 전력망에 연동되는 모델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검증해 왔다. 향후 양사는 이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외 실증을 추진하고, AI 데이터 센터에 적합한 전력 시스템 표준 마련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또한, 공동 브랜드를 런칭해 글로벌 AI 인프
스탠다드에너지·머카바파트너스와 3자 MOU 바나듐이온배터리(VIB)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 무선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개발 ‘맞손’ 기술 개발부터 사업화까지 원스톱 협력 솔루엠이 스탠다드에너지·머카바파트너스와 함께 바나듐이온배터리(VIB) 에너지저장장치(ESS) 전용 무선 배터리관리시스템(BMS) 개발에 착수한다. 삼사는 도심에 배치 가능한 ESS 기술 혁신을 위해 각자의 역량을 융합한다. 이 과정에서 무선 BMS 기술을 고도화한다. 솔루엠은 저전력 설계, 고정밀 계측, 빅데이터 실시간 처리 등 기존 역량을 무선 BMS에 적용한다. 솔루엠은 초저전력 무선 통신 기술 기술을 통해 안정적인 배터리 셀 제어를 목표로 한다. 스탠다드에너지는 VIB 기술, ESS 솔루션, BMS 시스템 등 원천기술을 제공한다. 이 중 VIB 기술은 스탠다드에너지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술로, 수계 전해액을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발화 위험 저감, 97% 이상 고에너지·고출력 효율 및 운영 안정성 확보 등이 가능하다. 머카바파트너스는 양사의 기술로 탄생한 차세대 BMS 기술을 전 세계에 전파하고 사업화한다. 동시에 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원재료 조달도 담당한다. 향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