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푸진, 레이저 푸진 프로 출시 130° 각도 조절 틸트 시트 베이스, 높낮이 조절 요추지지대, 3D 팔걸이 및 머리 받침대, 4D 쿠션 손목 받침대 등 담아 레이저가 새로운 게이밍 의자 라인업 레이저 푸진(Razer Fujin) 두 종을 내놨다. 이번에 출시된 제품 두 종은 레이저 푸진과 레이저 푸진 프로(Razer Fujin Pro)로, 두 종 모두 메시 소재를 담은 특징을 지녔다. 여기에 130° 각도 조절 틸트 기능을 넣은 시트 베이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지지대, 상하·앞뒤·좌우 조절 기능을 장착한 3D 팔걸이 등으로 설계됐다. 이 중 레이저 푸진 프로는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을 이식했고, 높이 및 깊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지지대, 상하·앞뒤·좌우·안팎 등 조절 기능이 탑재된 4D 쿠션 손목 받침대, 높이·깊이·위아래로 움직이는 3D 머리 받침대로 구성됐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헬로티] 마이크로소프트가 현지시간 2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그나이트(Microsoft Ignite) 2021’에서 회복탄력성과 미래 재건의 혁신 기반이 되는 새로운 기능을 대거 공개했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마이크로소프트 CEO 이그나이트는 마이크로소프트가 IT 전문가, 관리자, 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가장 큰 연례행사 가운데 하나로, 이번 행사는 48시간 동안 기술 리더 등 15만 명 이상의 참석자가 디지털로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마이크로소프트 CEO는 이그나이트 2021 기조연설에서 “10년 전 클라우드 시대의 도래를 이야기했다면, 이제는 우리 삶을 완전히 바꿔버린 클라우드가 다음 단계의 대단위 경제 성장을 어떻게 이끌지 이야기할 때”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어디에나 존재하고 탈중앙화된 컴퓨팅, 독립된 데이터와 생활환경지능, 능력이 향상된 창작자들과 커뮤니티, 모든 글로벌 인력에 확장된 경제적 기회, 그리고 신뢰를 기반으로 한 기술이 향후 클라우드의 혁신을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먼저 알렉스 키프만(Alex Kip
[헬로티] 온세미컨덕터가 초저전력 RSL10 SIP(System-in-Package) 기반의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메시 네트워킹 솔루션을 새롭게 선보였다. RSL10 메시 플랫폼을 통해 엔지니어들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기술을 사용하여 초저전력 메시 네트워킹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스마트 홈, 빌딩 자동화,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원격 환경 모니터링, 자산 추적 및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이 솔루션은 메시 네트워크 개발 및 구축에 필요한 필수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다. 또한, 온세미컨덕터의 클라우드 기반 개발 플랫폼인 스트라타 개발자 스튜디오(Strata Developer Studio™)에 연결하기 위한 2개의 RSL10 메시 노드와 스트라타 게이트웨이로 구성된다. 온세미컨덕터는 RSL10 SIP를 보완하기 위해, 주변 광 센서(LV0104CS), 온도 센서(N34TS108), 자기 센서, LED 표시기, 그리고 색상 혼합용 3중 출력 NCP5623B LED 드라이버를 포함한 일련의 센서 및 표시기 장치가 노드 하드웨어에 통합했다. 또한, 새로운 솔루션에는 리튬 이온(Li-Ion) 또는 리튬 이온 폴
[첨단 헬로티] 비즈니스용 메시 무선 와이파이 공유기– 넷기어 오르비(Orbi™)프로 SRK60 모델(SRR60+SRS60) 넷기어(한국지사장 김진겸)는 메시 와이파이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와이파이 대비 속도 및 무선 커버리지를 대폭 향상시킨 무선 와이파이 시스템 오르비(Orbi™)의 비즈니스용 모델인 오르비 프로(Orbi™ Pro)를 20일 국내에 정식으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출시하는 넷기어 비즈니스용 메시 무선 와이파이 공유기 오르비 프로 SRK60 모델은 외부 인터넷 회선과 연결되는 오르비 프로 라우터 SRR60 모델과 이 라우터와 트라이-밴드 전용 무선 커넥션으로 연결되는 오르비 프로 새틀라이트 SRS60 모델로 구성된 제품이다. 기존 무선 와이파이 공유기들이 멀리 떨어진 무선 장비와 연결 시 속도 저하가 심해지고 무선 거리 확장을 위한 브릿지, 리피터, 무선 증폭기 및 익스텐더를 추가 장착할 경우 속도가 현저히 감소되는 문제점을 보완한 제품으로 엔터프라이즈급에서 사용하는 무선 메시(Mesh) 기술을 적용했다. 즉 다수의 무선 단말기가 추가로 연결되더라도 오르비 프로 라우터 및 새틀라이트간의 무선 데이
ⓒGetty images Bank [헬로티] 전주시가 미래먹거리인 드론산업과 탄소산업을 융합한 드론 축구를 도입한다. 전주시는 ‘2016년 지역 융복합 스포츠산업 발굴 공모사업’의 일환으로 드론 축구를 도입하기로 하고 홍보를 위해 적정 장소에 상설 드론 축구 체험장을 마련, 시민들과 프로축구팬들이 일정기간 드론 축구 게임을 직접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드론 축구는 LED로 색 조명과 효과음, 센서로 무장한 양 팀 5대씩의 드론들이 광학펜스 안에서 축구게임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기는 관중들의 눈높이에 맞춰 1.5m 정도의 높이에서 진행된다. 한편, 전주시는 지난 8일 서울 한국스포츠개발원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공동 주최한 ‘2016년 지역 융복합 스포츠산업 발굴 공모사업’ 추진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전주시는 앞으로 3년간 캠틱종합기술원과 함께 총 7억 원을 투입해 드론과 탄소로 융복합된 신개념 ICT 드론 축구 인프라를 갖추는 등 드론 축구를 스포츠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강창수 전주시 탄소산업과장은 “관내 중소기업들이 ICT기술을 적용한 탄소복합재 및
각종 3D프린터가 필요로 하는 메시/폴리곤 데이터(STL)의 수정 및 최적화 처리, 서포트 부가나 스트랙처 구조화를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새로운 판이다. 정기적인 버전업에 대한 무상 대응이나 테크니컬 서포트 서비스의 제공도 개시했다. 2차원 네스팅 기능, 자동 라벨링 기능을 추가했으며, PDF 레포팅 커스터마이즈 기능도 추가했다. 서버 라이센스에 대응한다. 김정아 기자 (prmo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