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이 택배 라스트마일(Last Mile) 배송로봇 도입을 테스트한다. 분류·피킹 등 물류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뿐 아니라 최종 배송 단계까지 물류 전 단계에 걸쳐 첨단 기술을 적극 접목해 미래 물류기술 구현에 앞장선다는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은 기아, 현대건설, 로봇전문 스타트업 디하이브와 함께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로봇개 ‘스팟(SPOT)’을 활용한 택배 라스트마일 로봇배송 실증 사업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실증 사업은 고객에게 마지막으로 상품이 전달되는 라스트마일 배송 단계에서 로보틱스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진행됐다. 실증 사업은 지난 17일부터 25일까지 고양시에 위치한 힐스테이트 라피아노에서 진행됐다. CJ대한통운 택배기사가 차량에 스팟과 택배 상품을 상차해 배송지로 이동한 뒤, 스팟과 택배 상품을 하차시키면 스팟이 적재함에 택배를 실은 채 고객의 집 앞까지 물품을 배송하는 방식이다. 배송완료 후 스팟은 차량으로 복귀해 남은 택배를 실은 후 추가 배송을 이어간다. CJ대한통운은 실증 사업을 위해 필요한 택배차량과 물량 등 제반 환경을 제공했으며 실제 택배상품이 안정적으로 고객에게 전해지며 성공적으로 테스트를 마쳤다. 이
첨단 로봇으로 시설물 안전 점검…첨단화된 공정 관리 기대 SK이노베이션이 핵심 사업장인 SK 울산콤플렉스(CLX)에 첨단 로봇을 도입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한 로봇은 근로자의 안전한 근무 여건 조성과 안정적 설비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CLX가 도입한 로봇은 '로봇개'로 불리는 4족 보행 로봇 '스폿(SPOT)', 뱀이 기어가는 듯한 모습의 '가디언S' 등 2종이다. 두 로봇은 826만㎡의 울산CLX에서 시설 안전을 점검하는 데 쓰일 예정이다. 울산CLX는 여의도 면적의 약 3배에 달하는 데다 60만㎞에 달하는 파이프라인이 혈관처럼 복잡하게 얽혀 있어 촘촘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두 로봇은 다양한 기능의 기기, 센서와 결합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들을 갖출 수 있다. 스폿은 시·청각, 인지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물건을 잡거나 옮기는 물리적 임무도 가능하다. 가디언S는 직선은 물론 S자 형태로 기어 다닐 수 있고, 자성을 갖고 있어 금속 벽과 계단을 쉽게 오르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두 로봇 모두 카메라를 장착해 배관, 설비 사이 틈처럼 사람이 들어가기 어려운 부분을 확인하는 데 편리하게 쓸 수 있다. 앞으로 울산CLX의 공정들을 순회하며
[헬로티=이동재 기자] ▲국제인공지능대전 전시장 내 위고 로보틱스 부스에 전시된 자율주행 모빌리티. (출처 : 이동재 기자) 위고 로보틱스가 코엑스에서 열린 인공지능국제대전에서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기술을 뽐냈다. 위고 로보틱스는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 기업이다. 자율주행 로봇기술을 기반으로 순찰로봇, 물류이송로봇, 방역로봇, 자율주행 교육로봇과 같은 다양한 주제의 목적형 로봇을 위한 시스템 통합과 개발을 주로 하고 있다. 위고 로보틱스는 전시회에서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위고 로보틱스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실제 자율주행 상황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가상의 환경에서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시뮬레이터가 구현한 가상 환경에는 차량, 주행환경, 센서 등이 실제와 똑같이 모델링되어 있어 자율주행차 개발을 가상환경에서 진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터에서는 차량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가 실제 사용되는 센서와 동일한 값으로 출력되고 속도와 조향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현장에서 위고 로보틱스 관계자는 최근 자사의 자율주행 솔루션들이 대학교나 경진대회 같은 자율주행 교육 현장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