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과 LG전자가 인공지능(AI) 시대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의 전력 및 냉각 통합 최적화 사업을 추진한다. 양사는 지난 17일 서울 종로구 서린빌딩에서 ‘AI 데이터센터 에너지·냉각 통합 설루션 공동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SK이노베이션과 LG전자가 에너지 관련 MOU를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신사업인 에너지 설루션 영역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 간 벽을 허물고 협력에 나선 것이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국내외 데이터센터를 대상으로 통합 에너지 설루션 파일럿을 실행하고, 데이터센터 분야 기술 협력과 공동 연구개발(R&D)을 추진한다. 또한 양사 및 외부 사업장에 다양한 에너지 설루션과 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사업을 공동 추진하며, 데이터센터 폐열 회수 및 활용 설루션 개발에도 나선다. 양사는 공동 기술협력, 파일럿 실행, 상품화로 이어지는 중장기 로드맵을 기반으로 포괄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앞으로 협력 범위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협업 과정에서 LG전자는 냉각 분야에서 경쟁력을 바탕으로 냉각수 분배 장치(CDU), 수·공랭 인버터 칠러, 냉각 제어 설루션 공급
한국이콜랩은 지난 14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25 데이터센터코리아’에서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수처리 전략을 발표했다. 데이터센터코리아는 국내 최초의 데이터센터 전문 산업전으로 한국설비기술협회 데이터센터위원회와 메쎄이상이 공동 주최했다. 전시회에는 냉각 시스템, 네트워크 인프라, 전력 설비, 에너지 관리 솔루션, DCIM(데이터센터 인프라 관리) 등 최신 기술이 소개됐다. 한국이콜랩 데이터센터팀 손준석 부장은 컨퍼런스에서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를 위한 글리콜(Glycol) 실시간 모니터링과 수처리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데이터센터 냉각 기술인 다이렉트 투 칩(DTC, Direct To Chip) 및 액체 냉각(DLC, Direct To Liquid Cooling)에 활용되는 냉각수(PG25)의 안정적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PG25 농도가 낮아질 경우 미생물 증식과 부식으로 인해 냉각 효율이 저하되고, 이는 주요 IT 장비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한국이콜랩은 설계, 시공, 운영 전 과정에 걸친 수처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설계 단계에서는 기술 자문을, 시공 단계에서는 현장 맞춤형 솔루션
오페론은 1991년 창업 이래 극저온, 초저온 및 초고진공 분야의 기술개발 및 제조에 전념해 온 극저온, 고진공 전문 회사로 -156℃급 극저온 냉각 시스템의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동결건조기, 극저온 테스트 쳄버, 극저온처리기, 고도시험기, 항공유칠러 등을 제조한다. 이밖에도 -203℃급 극저온 다원냉동장치 및 원심진공농축기, 동결건조시스템 , Twin Heart 냉동고 시스템 등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이솔이 기자
2세대 지멘스 Sinamics G120은 높은 출력파워와 공간 절약형 프레임을 제공하는 모듈식 드라이브이다. 최신 PM240-2 전원 모듈로 인해 출력 파워는 더욱 높아지고 새로 설계된 드라이브 구성은 200V, 400V, 690V 라인에 연결되는 3개의 전압 버전으로 제공된다. ▲ 2세대 지멘스 Sinamics G120은 높은 파워와 공간 절약형 프레임을 제공하는 모듈식 컨버터이다. 분야별 애플리케이션 위한 모듈형 설계 Sinamics G120은 통합 DC 링크 인덕터를 사용하여 라인 변동에 강하다. 보호 등급 IP21은 드라이브 방수를 보장하기 때문에 다습한 환경에서도 제어 캐비닛 외부에 장착할 수 있다. 지멘스는 요구조건에 따라 출력 범위가 0.37kW부터 250kW까지 7개의 다양한 프레임 크기를 제공한다. 차세대 Sinamics G120은 출력 감소 없이 드라이브를 나란히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요구 사항을 충족할 뿐만 아니라 제어 캐비닛 구성비용을 최소화시켜 준다. 제어 캐비닛 내부의 열을 낮추기 위하여 Sinamics G120은 기존 캐비닛 환기 외에 혁신적인 푸시스루 냉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필터 내장 및 필터 비내장 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