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솔루션, 머신비전 기술, 변위·초음파·근접 등 센서, 라이다 등 한자리에 오토닉스가 베트남판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이하 AW)인 ‘AW VIETNAM 2024’에 전시부스를 꾸려 참관객을 모집한다. AW는 국내 산업 자동화 전시회로, 지난 3월 34회차 행사가 개막해 전 세계 자동화 산업에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했다. AW VIETNAM 2024은 해당 전시회의 베트남 버전으로, 이달 25일(현지시간) 글로벌 생산기지로 평가받는 베트남에서 올해 첫 개최됐다. 오토닉스는 이번 AW VIETNAM에서 라이트 커튼, 컨트롤러, 도어 스위치 등 세이프티 제품군을 필두로 라이다(LiDAR), 변위 센서, 포토마이크로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리모트 I/O, 온도조절기, 스위치드 모드 전원공급장치(SMPS), 전력 조정기 등 각종 솔루션을 부스에 배치했다. 현재 자동차·포장·반도체 등 산업에서 활약하는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였다. 오토닉스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베트남 산업 자동화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공꼬히 할 것”이라고 포부를 드러냈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헬로티] 씨크가 차세대 초소형 광전 센서 W4F를 선보였다. 새로운 ASIC 플랫폼은 제품 라인의 성능에 수많은 플러스 요인을 가져온다. 덕분에 이 센서는 새까맣거나 반사가 심하거나 납작하거나 투명한 물체도 확실하게 감지한다. 또한 W4F는, 예를 들어 물체의 높이 등에 대한 거리 정보를 제공하고 이로써 공정 오류를 감지할 수 있다. 첫 사용자들은 이 센서가 시중 제품 중 환경광 및 일광 억제가 가장 뛰어나며, 잘 알려진 모든 광학적 간섭에 대해 최고의 내성을 가졌다고 증언한다. Blue Pilot 조작 콘셉트와 혁신적인 모니터링 옵션 덕분에 센서의 설정과 감시가 전례 없이 간편하다. 이로써 커미셔닝 시간이 절약된다. IO-Link 그리고 센서 감시 및 진단을 위한 스마트한 신규 기능이 센서를 기계 및 애플리케이션의 디지털 세계와 연결한다. 즉, W4F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최소한의 설치 공간에서 최대한의 성능을 제공하고, 더 확실하게 스위칭 되며, 공정 안정성과 미래 안정성을 보장한다. 성능을 높여주는 새로운 ASIC 매우 강인한 Vistal 플라스틱 하우징을 갖춘 W4F Next Generation은 씨크의 더 큰 제품 라인인 W16 및 W26의
[헬로티] 에너지 효율 혁신을 주도하는 온세미컨덕터가 SiPM(실리콘 광증배관) 기술 기반 직접 비행시간거리측정(dToF) 라이다 솔루션을 새롭게 공개했다. 라이다 애플리케이션은 밀리미터 단위의 정확성이 필수인 로봇산업 및 산업용 근접 센싱 등을 포함한 모든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주로 근적외선(NIR) 파장 거리에서 빛 펄스가 물체를 오갈 때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인 dToF를 기반으로 한다. ▲ 온세미컨덕터의 SiPM dToF 라이다 플랫폼 해당 방식의 원리는 단순하지만, 강한 태양 광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적용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거리를 정확히 측정하려면 수신기가 가능한 한 많은 신호를 포착해야 한다. 기존 방식의 광다이오드는 이러한 부분에서 반응 시간과 민감성 등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온세미컨덕터의 SiPM 센서는 응답시간을 단축하고 검출 효율을 높임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했다. 레퍼런스 플랫폼은 온세미컨덕터의 2세대 SiPM 센서인 RB-시리즈를 사용해 적색과 NIR 사이의 파장에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온세미컨덕터의 SiPM dToF 라이다 플랫폼은 OEM이 산업용 거리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그
[첨단 헬로티] 아즈빌 코퍼레이션(Azbil Corporation)이 조절식 근접 센서인 ‘모델 H3C(Model H3C)’를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모델 H3C는 2개의 출력을 보유하고 있고, 컴퓨터에서 동작 설정과 확인이 가능해 센서 설치 작업 시간을 줄이고 설비 가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아즈빌이 조절식 근접 센서인 ‘모델 H3C(Model H3C)’를 출시했다. (사진 : 아즈빌) 근접 센서는 기계 가공 및 운송 공정 등의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검출 영역 안에서 금속 물체 감지 여부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기존의 근접 센서는 출력이 하나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 영역에서 동작점이 고정돼 있다. 모델 H3C는 센서 하나에 센서 2대의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로써 감지 영역에 2개의 동작점을 설정해 물체(공작물)의 이동에 대응하고 각 점에서 온·오프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 H3C 하나로 각 지점의 온·오프 동작 로직을 조합해 최대 4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특정 공정에는 기존의 일반 근
[첨단 헬로티] 새로운 TMF8701 센서, 탁월한 얼룩 및 오염 방지, 주변광 간섭에 대한 높은 내성, 우수한 화각 제공 고성능 센서 솔루션 선도기업인 ams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통합형 1D ToF(time-of-flight) 거리 측정 및 근접 센싱 모듈을 출시한다. 새로운 센서는 대상물 감지(presence detection) 기능을 구현하는 데 매우 적합하다. 예컨대 스마트폰 사용자의 얼굴이 정해진 범위 안에 들어왔을 때 얼굴 인식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2.2mm x 3.6mm x 1.0mm 크기의 패키지로 제공되는 새로운 TMF8701 센서는 소형 베젤(narrow bezel)에 적합하여 스마트폰 제조회사는 이를 활용해 높은 단말기 본체 대 화면 비율(screen to body ratio, SBR)을 가진 와이드스크린 단말기 설계를 구현할 수 있다. ams 통합 광학 센서 사업부의 데이브 문(Dave Moon) 선임 제품 마케팅 매니저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오늘날의 1D FoT 센서의 결점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있다. 크기가 너무 크고, 역광 상황이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더러울 때 성능이 확연
KACON(한국자동제어)는 1955년에 자동화 부품을 제조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릴레이, 스위치 제품부터 센서, 터치스크린 제품에 이르기까지 기본적인 자동화 부품들을 취급하고 있다. 오토메이션 월드 2017에 참가한 KACON은 ICT 기술 트렌드에 맞춘 마그넷 수명 카운터 CM, 근접 센서, 신호용 터미널 블록(RXT-G04), 안전 보호 커버, 음성신호기 KSV, 온도조절기 KTM, 컬러 센서 KO91 등 다양한 제품군을 선보였다. 그중 고정식 단자대 안전 보호 커버인 KTB1-C 시리즈는 원하는 Pole 수만큼 분리,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감전 방지를 위한 보호 범위가 확장되었고, 근접선과의 절연이 강화되엇다(절연벽 구현). 또한 PC 재질을 사용해 강도와 내열성이 우수하다. (주)첨단, 코엑스,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공동 주최로 3월 29일부터 사흘간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오토메이션 월드 2017은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으로 구성되었다. 올해는 스마트공장 관련 융합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스마트공장엑스포 2017’도 동시 개최되며, 스마트공장 관련 전문 지식을 습득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