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용 바이터보 충전 각도 절단기 신제품 선보여 바이터보 브러시리스 기술 기반 듀얼 베벨, 듀얼 레이저, 소프트 스타트 기능 담아 보쉬가 절단 성능 및 정확도가 개선된 전문가용 바이터보 충전 각도 절단기 ‘GCM 18V-216 D’를 시장에 내놨다. 보쉬의 이번 각도 절단기 신제품은 알루미늄·PVC 플라스틱 대상 크로스 컷, 마이터 컷, 베벨 컷 등 각종 작업에서 활용된다. 특히 고출력 바이터보 브러시리스 기술을 적용해 최대 무부하 속도 5000rpm으로 66 x 305mm 크기까지 절단 가능하다. 여기에 듀얼 베벨·듀얼 레이저 기능을 담아 균일한 절단 성능을 갖췄다. 베벨 잠금 휠을 활용해 듀얼 베벨 설정 시 높은 난이도의 절단 작업에 편의성 및 유연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듀얼 레이저 기능을 통해 톱날 좌우 절단선이 레이저로 표시돼, 정밀하고 직관적인 양방향 작업 수행을 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GCM 18V-216 D는 사용자 보호 요소도 마련됐다. 보쉬 클릭앤클린(Click & Clean) 집진 시스템을 통해 하나의 포트로도 집진이 가능하면서도 유해 분진을 흡입한다. 또 모터 부하 및 토크 일시 감소 기능 ‘소프트 스타트(Soft Start)’
데스크톱 탑재용 파워 신모델 3종 출시 MSI가 규격 표준 ATX 3.0이 적용된 데스크톱 전용 전원 공급 장치(파워) 신모델 라인업 3종을 지난 16일 발표했다. PC 기술 수준이 고도화됨에 따라, CPU·GPU 등 PC 주요 부품 또한 고전력·고출력 전원 공급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해 MSI는 MSI MAG GL 시리즈 전격출력별 라인업 MAG A850GL PCIE5·MAG A750GL PCIE5·A650GL 등 3종을 출시했다. 해당 파워는 파워 표준 규격 ATX 3.0이 적용됐고, DC to DC 단일 레일 모듈식 구조로 설계됐다. 미국 에너지 효율 인증기관인 Ecos가 발급하는 80Plus 인증에서 Gold 등급을 획득해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도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능을 발휘할 것이라 기대받고 있다. 특히, GPU에 설치되는 듀얼 컬러 16핀 케이블 색상을 기존 검정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해 PC 조립 작업 시 실수를 경감하는 효과를 도모했다. 이는 커스텀 PC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 PC 조립 유저에게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헬로티 최재규 기자 |
[첨단 헬로티] 하이비젼시스템(대표 최두원)은 지난 12월 26일, 고속으로 고품질의 대형 출력물을 3D 프린팅 할 수 있는 ‘고속 Core-shell 광중합형 대형 3D 프린터’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발은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국책과제인 ‘장비연계형 3D 프린팅 소재기술개발사업’으로 2017년 4월부터 진행됐다. 그동안 하이비젼시스템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카메라모듈(CCM) 및 다양한 입력 센서들의 자동검사시스템 개발 업체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번 ‘고속 Core-shell 광중합형 대형 3D 프린터’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3D 프린터 분야에서도 인정받게 됐다. 광경화 소재를 경화시켜 출력물을 3D 프린팅 하는 방식은 SLA, DLP, LCD, CLIP, Jetting 등으로 다양하게 세분화 되며 각각의 방식은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개발에 성공한 하이비젼시스템의 기술은 SLA과 DLP 두 가지 방식을 한 번에 적용하여 각각의 방식이 가지는 장점만을 극대화 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광경화성 액체 수지가 담긴 수조에 레이저를 발사해 경화 시키는 SLA
▲ 인공근육으로 작동하는 손 골격 [첨단 헬로티] 성균관대학교 최혁렬 교수 연구팀이 감각기능을 갖춘 의수 구현에 필요한 고출력 경량의 인공근육으로 작동하는 생체근육형 구동기를 개발했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밝혔다. 기존의 기계형 팔과 손 등에 사용되는 모터형 구동기는 크기와 힘에 한계가 있었다. 무게가 무거우며, 상하·좌우 운동으로 움직임이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번에 세계 최초로 개발된 인공근육형 구동기는 가벼운 스판덱스(Spandex, 나일론과 여러 섬유를 혼합하여 만든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있는 합성섬유) 섬유를 꼬아서 제작한 것으로 기존 모터형에 비해 높은 힘을 낼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강도와 인성(靷性)을 갖춘 근골격으로 움직임이 훨씬 자유롭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신축성이 뛰어난 직물로 직조가 가능하고 동시에 생체근육과 유사한 수축·이완 및 회전운동이 가능해 절단환자용 의수·의족뿐만 아니라 착용형 기기나 인공지능 로봇 등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과기정통부의 바이오닉암 메카트로닉스융합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2014년부터 수행하고
한국전기연구원(KERI?원장 박경엽)이 개발한 ‘고출력 전자기펄스(HPEMP) 보호용 핵심소자 기술’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가 선정한 ‘2017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올해 4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선정한 ‘출연(연) 10대 우수 연구성과’에 이은 연이은 우수성과 선정으로 뛰어난 기술력을 대외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우수성과 100선 선정은 대국민 공개 검증을 통해 과학기술 개발효과 및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질적 우수성을 평가해 선정됐다. 정부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개발과제 총 5만 4천여 과제 중 각 부?처?청으로부터 784건의 후보 과제를 추천받아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우수성과 선정위원회의 엄정한 심사를 거쳤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환경연구센터(센터장 이재복)가 개발한 ‘고출력 전자기펄스(HPEMP) 보호용 핵심소자 기술’은 고출력 전자기펄스 보호장치와 서지보호기(SPD)의 핵심소자인 '바리스터(Varistor)' 제조 기술이다. 강력한 전자기파(EMP)를 방출해 적의 전자장비를 무력화하는 미래전쟁 수행 개념이 현실화되고
히트싱크 사용한 친환경 LED 기업 아이스파이프는 ICEPIPE라는 히트싱크를 사용하여 고효율·고출력·초경량의 LED 램프를 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는 기업이다. LED&OLED EXPO 2017에서는 공장등, 가로등, 터널등용으로 주로 쓰이는 고출력 LED 벌브 OBM, OBB 시리즈와 더불어 스마트 실내등 POP201DP, 가로등용 고출력 벌브 OB230 100W 등의 신제품도 함께 선보였다. Q. 아이스파이프는 어떤 업체인지요. 아이스파이프는 세계 최초로 히트싱크를 개발했으며 이를 이용한 고효율 고출력 초경량의 LED 램프를 개발, 제조,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급변하는 시장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차세대 제품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출력 LED 램프 시장에서는 성능, 가격 등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60개국에 LED 램프를 수출하고 있습니다. Q. 전시회 주요 출품 제품과 참가 목적은 무엇인지요. 전시회를 찾는 많은 고객을 대상으로 아이스파이프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전시회에 참가했습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공장등, 가로등, 터널등용으로 주로 쓰이는 고출력 LE
한국전기연구원(원장 박경엽)이 개발한 ‘고출력 전자기펄스(HPEMP) 보호용 핵심 소자 기술’이 ‘2016년 출연(연) 10대 우수 연구성과’에 선정됐다.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환경연구센터(센터장 이재복)가 개발한 ‘고출력 전자기펄스(HPEMP) 보호용 핵심 소자 기술’은 고출력 전자기펄스 보호장치와 서지보호기(SPD)의 핵심 소자인 '바리스터(Varistor)' 제조 기술이다. 강력한 전자기파(EMP)를 방출해 적의 전자장비를 무력화하는 미래전쟁 수행 개념이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가 핵심 기간시설(에너지, 국방, 항공우주, 방송/통신, 교통/수송 등)에 대한 은밀한 HPEMP 공격 또는 천재지변 낙뢰(직격뢰)의 피해를 막아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지난해 착수기술료 5.5억원(VAT 포함)에 해당 부품 매출액에 따른 일정비율의 경상기술료를 지급받는 조건으로, 관련 전문기업인 ㈜아이스펙에 해당 기술을 이전하여 상용화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선정으로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2014년 ‘펨토초 레이저 기술’, 2015년 ‘고효율 신
도시바 코퍼레이션(Toshiba Corporation) 산하 반도체·스토리지 제품 컴퍼니가 고출력 백색 LED ‘TL1L4 시리즈’ 라인업에 140lm(min.)의 고광속을 구현한 신제품 4종을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새로 나온 ‘TL1L4 시리즈’(4A5B 타입)은 동 시리즈의 기존 제품(130lm)보다 높은 140lm 1]의 고광속을 구현한다. 신제품 4종의 상관 색온도(CCT)는 6500K/5700K/5000K/4000K이며, 연색지수는 Ra70이다. 이 제품은 110lm/W 이상의 조명기구 효율을 달성하도록 해 주며, LED 조명 제품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조명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김혜숙 기자 (eltred@hello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