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학 부품 및 어셈블리의 선도적인 글로벌 제조 및 공급업체인 에드몬드 옵틱스(Edmund Optics)가 son-x 인수를 발표했다. 독일 아헨에 본사를 둔 이 첨단 기술 기업은 2011년 프라운호퍼 연구소에서 분사한 회사로, 초음파를 이용한 정밀 광학 제조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전략적 인수로 에드몬드 옵틱스는 글로벌 광학 및 포토닉스 산업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게 되었다. 초음파를 이용한 다이아몬드 선삭 분야에서 son-x의 획기적인 기술과 전문성을 통합함으로써 정밀 광학 제조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이를 통해 직경이 1mm에 불과한 마이크로 부품부터 최대 1m의 대형 공작물까지 여러 축(최대 5축)으로 매우 복잡한 표면을 가공할 수 있다. 에드몬드 옵틱스의 마리사 에드몬드(Marisa Edmund) CEO 겸 이사회 의장은 “이번 파트너십은 고정밀 광학 및 포토닉 솔루션의 선도적인 주소가 되고자 하는 우리의 사명을 진전시키는 또 다른 중요한 단계다. son-x와 함께 전 세계 고객에게 더 많은 혁신과 부가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son-x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인 올라
자이스(Zeiss)가 플라네타리움 광학 및 분광학 등 광범위한 응용 분야와 서비스를 통합하는 새로운 포토닉스 사업부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10월부터 운영을 시작할 예정인 이 새로운 사업부의 이름은 '자이스 포토닉스앤옵틱스(Zeiss Photonics & Optics)'로 정해질 예정이다. 자이스에 따르면, 현재 자이스 그룹의 전략적 기업 개발 책임자인 안드레 쿠츠(André Kutz)와 경영 이사회에서 자이스의 '공유 생산 부서'를 대표하는 베른하르트 오네소게(Bernhard Ohnesorge)가 이끄는 이 사업부는 4개의 주요 자이스 부문 이외의 기존 사업을 포함할 것이다. 새로운 사업부를 총괄하게 될 스테판 뮐러(Stefan Müller) 자이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자이스 포토닉스 & 옵틱스의 설립은 소규모의 전문화된 사업부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각 사업부의 요구에 맞는 관리, 문화 및 비즈니스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이 새로운 전략 사업부의 목표는 개별 사업부가 경제적으로 번창하고 자이스 브랜드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적으로 자이스 포토닉스앤옵틱스의 연간 매출은 약 2억 유로로, 이
에드몬드옵틱스는 포토닉스의 경제 및 기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협업에 참여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컨소시엄은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지역 혁신 엔진(Regional Innovative Engines, NSF 엔진 프로그램)으로부터 보조금을 지원받으며, 이는 광기반 포토닉스 혁신 지원 R&D와 지역 기술 인력 양성을 추구하는 Advancing Photonics Technologies 그룹의 기반이 된다고 에드몬드옵틱스는 전했다. 에드몬드옵틱스의 제품 전략 및 신제품 개발 담당 부사장이자 Advancing Photonics Technologies 그룹의 수석 파트너 겸 공동 연구자인 Gregory Hollows는 "뉴저지주가 포토닉스 개발에 있어 항상 진원지였고 에드몬드옵틱스는 역사적으로 이 지역의 핵심 후원자이면서 기회를 창출하는 존재였다"고 말했다. 이어 "이 지역에서 포토닉스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러한 활동에 주목하고 있는 산학협력 파트너사와 에드몬드옵틱스가 함께하게 되어 기쁘다"고 덧붙였다. 에드몬드옵틱스는 지원받은 보조금으로 Advancing Photonics Technologies 협업이 진행되면 업계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다양한
PI는 정밀 운동 제어 시스템, 나노 포지셔닝 기술을 기반으로 광학 산업을 이끌고 있는 글로벌 선도 기업이다. PI코리아는 2011년에 설립돼 국내 기업, 대학교, 연구소 등에 우수한 품질의 PI 포지셔닝 시스템과 고객이 요구하는 맞춤 드라이브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술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광학 산업에서 레이저는 절삭, 용접, 가공, 측정 등에 사용되면서 고정밀 가공 필요한 부품 제조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오늘날 레이저는 생산 공정을 더욱 최적화하고 높은 작업물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XY 평면에서 레이저 빔의 고주파 진동을 통해 레이저 가공 공정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레이저 가공 공정은 평면에서의 빠른 모션뿐만 아니라 작업물 내 빔 에너지의 빠른 능동 수직 위치 변화를 요구한다. 예를 들어 두꺼운 판금의 레이저 빔 절단 시 사용 가능한 공급 속도를 더욱 높이거나 레이저 빔 용접 시 용접 심 품질 및 공정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새로운 Z축 포커스 시프터 모듈을 사용하면 빔 축 방향으로 역동적인 이동에 의해 XY 가공면에서 기존 방식과 2-D 빔 조작을 확장할 수 있어 가공 속도를 높이고 가공 품질을 향상시
모션 컨트롤 전문기업 PI는 50년 노하우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정밀 포지셔닝 기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다. 섬세함을 요구하는 광학 산업에서 고정밀 모션 컨트롤은 필수적이다. PI코리아는 국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고정밀 모션 제어 솔루션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 광학 산업 부흥을 이끌고 있는 PI코리아의 양승묵 지사장을 만났다. Q. PI코리아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A. PI는 50년의 노하우와 기술력을 토대로 혁신적인 정밀 포지셔닝 기술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피에조 시스템을 비롯해 DC&Stepper 모터, 마그네틱 드라이브, 헥사포드, 에어베어링 기술을 이용해 정밀 모션에 특화된 포지셔닝 제품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센서와 컨트롤러도 자체 제작하고 있습니다. 피아이코리아는 PI의 한국 지사로서 국내 기업, 대학교, 연구소 등에 우수한 품질의 PI 포지셔닝 시스템과 고객이 요구하는 맞춤 드라이브 솔루션을 제공하며 기술 서비스 지원을 통해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Q. 광학 산업에 고정밀 모션 컨트롤은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합니까? A. 광학 산업은 특성상 섬세한 고정밀을 요구합니다. 광학 어셈블리의 요소
글로벌 광학 부품 제조 업체이자 공급 업체인 에드몬드옵틱스는 메타 머티리얼즈와 제휴해 취급 제품을 확충하면서 META holoOPTIX Notch Filter를 출시했다고 20일 밝혔다. 에드 케이 에드몬드옵틱스 리테일 파트 부사장은 "제품 및 기술 개발을 위해 대형 OEM 업체와 협력해온 메타 머티리얼즈와 광학, 이미징, 포토닉스 제품 원스톱 쇼핑을 제공하는 에드몬드옵틱스가 손잡으면 전 세계 고객에게 신기술을 쉽게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며 "에드몬드옵틱스가 메타 머티리얼즈와 파트너십을 맺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조지 팔리카라스 메타 머티리얼즈 사장 겸 CEO는 "에드몬드옵틱스와 새롭게 파트너십을 체결하면서 고객에게 당사의 고품질 홀로그램 노치 필터를 제공할 수 있게 돼 기대가 크다"며 "이 제품이 전 세계 엔지니어와 과학자에게 보급되면 다광자 현미경, 레이저 형광 기기는 물론 그 외 어플리케이션에도 사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META holoOPTIX Notch Filter에는 입사각이 클 때 s 편광과 p 편광에서 노치 중심 파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고유한 기능이 있다. 보유 중인 마운트 구성은 FLEX와 STRATA 두 가지로, FLEX 노치 필터
모듈 용량 늘려 생산성 높이고, 아키텍처 개선을 통해 장비 풋프린트 축소 EV Group(이하 EVG)은 자사의 리소그래피 솔루션 포트폴리오에 속하는 차세대 200mm 제품으로서 EVG150 자동화 레지스트 처리 시스템을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새로운 디자인의 EVG150 플랫폼은 이전 세대 플랫폼과 비교해 최대 80퍼센트까지 더 높은 생산성, 우수한 범용성, 50퍼센트 더 작은 풋프린트가 특징이다. 범용 플랫폼으로서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코팅 및 현상 공정을 가능하게 하므로, 첨단 패키징, MEMS, RF, 3D 센싱, 전력 반도체, 포토닉스를 비롯한 다양한 디바이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 나흘간 독일 뮌헨의 메세 뮌헨에서 개최되는 세미콘 유로파(SEMICON Europa) 전시회에서 EVG 부스를 방문하면 EVG의 임직원들로부터 직접 차세대 EVG150 레지스트 처리 시스템에 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세계적인 EBS(electronic based system) 연구 센터인 실리콘 오스트리아 랩스는 차세대 EVG150 시스템의 첫 번째 고객이다. 실리콘 오스트리아 랩스의 마이크로시스템 연구 부문장인 모센 모리디